여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문서분리 (여천시, 여천동 (여수)), 동음이의어 문서로 전환)
1번째 줄: 1번째 줄:
[[전라남도]]있었던 시, 군의 명칭이자 [[여수시]] 산하의 동이다.
'''여천'''에는 다음 뜻이 있다.
* '''[[여천군]]'''은 [[전라남도]] 산하에 있었던 행정구역이다.
* '''[[여천시]]'''는 [[전라남도]] 산하에 있었던 행정구역이다.
* '''[[여천동 (여수)]]'''는 [[전라남도]] [[여수시]] 산하의 행정동이자 법정동이다.
* '''[[여천동 (울산)]]'''은 [[울산광역시]] [[남구 (울산)|남구]] 산하의 법정동이다.
* '''[[여천동 (포항)]]'''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포항)|북구]] 산하의 법정동이다.
* '''[[여천동 (경산)]]'''은 [[경상북도]] [[경산시]] 산하의 법정동이다.


== 여천군 ==
{{동음이의}}
{{참고|여천군}}
전라남도 동남부 여수반도에 있었던 군이다.
 
== 여천시 ==
전라남도 남동부에 있었던 시이다.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며 인구가 늘어난 여천군에서 삼일읍, 쌍봉면이 1976년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로 분리되고, 1986년에 여천시로 승격되었다. 여천군과 마찬가지로 1998년 여수시, 여천군과 통합하여 12년 만에 사라지고 통합 여수시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통합했음에도 구 여수지역과 시가지가 분리되어있다. 삼려통합 이후 행정기관들이 대부분 여천지역으로 이전하고 쇠락해가는 구도심과 달리 상권이 계속 성장하고 있다. 또한 여수와 같은 버스터미널이나 기차역을 이용하지 않는다. 여천시외버스정류장과 [[여천역]]이 여천지역 주민들의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다만 여수종합버스터미널<ref>교통의 요지인 오림동 소재</ref>이나 [[여수엑스포역]]<ref>버스터미널만큼은 아니지만 2번 버스가 수시로 들어온다. 또한 자주 오지는 않지만 333이 여서동 인구를 담당하고, 일출시간에 맞춰 111이 향일암까지 데려다준다.</ref>과는 달리 둘 다 버스편이 별로이다. 하지만 여천시 시절에는 [[여천역]]이 시내에 들어와 있어 접근성이 여수역보다 좋았었고, 버스정류장도 여천고등학교 부근에 있었는데 둘 다 이전했다.
 
통합 이후에는 구 여천시청을 여수시청으로 사용하고, 행정기관들이 다수 들어오고, 웅천택지지구 개발 등으로 성장하고 있는 지역이다. 통합 당시 인구는 약 7만명이었지만 현재 구 여천시지역 거주 주민은 약 10만명이다.
 
참고로 이 여천산단에서 나오는 돈이 생각보다 엄청난데, 여수시는 물론이고 [[광양시]]<ref>제철소가 들어서 있다. 이곳도 장난아닌 곳인데, 광양제철소에 있는 용광로가 세계에서 가장 크다고 한다.</ref>와 함께 전라남도를 먹여살리고 있다.
 
다른 도농복합시들이 1995년에 통합한 것과 달리 통합 당시에 통합 방법에 대해 찬반이 갈려서 3년 동안 여수와 여천시민들이 대립하다가 결국 반강제적으로 통합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간혹 여수와 여천이 행정기관 위치 등을 놓고 다투기도 했었다. (대부분이 여천으로 갔지만) 하지만 엑스포도 개최하면서 {{ㅊ|빚도 져보고}} 동고동락한 처지인데다 율촌산단 땅따먹기와 전남도립미술관 입지를 두고 순천, 광양이라는 공공의 적이 생겨서 동질감이 많이 생겼다. 적어도 벌교와 보성 급으로 이질감을 갖지는 않는다. 여천사람도 타지에 나가면 여수출신이라고 한다.
 
== 여천동 ==
위의 여천군, 여천시와 달리 현존하는 지명으로 법정동으로 여천동, 선원동, 화장동이 있다. 여천시외버스터미널과 [[여천역]]이 위치하여 여천지역의 교통을 책임지고 있으며, 대형마트인 롯데마트 여천점이 입점하였다.
 
=== 여천동 ===
넓직한 길과 논밭이 있는 동네이지만 북쪽에 [[여천역]]이 위치했다. 북쪽, 동쪽으로 봉계동, 남동쪽으로 학용동, 남서쪽으로 선원동, 서쪽으로 화장동과 닿는다. 버스는 31, 33, 35, 37, 61, 62, 68, 76, 330, 610, 666, 광양 270, 순천 960 이 다닌다. 도로는 쌍봉~삼일로 이어지는 왕복 6차선 시청로<ref>삼일동까지 가는 도로는 직결되는 여수산단로</ref>가 남북으로 관통하였으며 바로 아래가 시내이다. 또한 석창사거리를 통해 산단, 순천, 광양, 여수 등 타 지역으로 가는 길이 바로 이어져있다.
 
=== 화장동 ===
흔히 "무선지구"라 불리는 곳이며 석유화학고등학교, 선사유적공원 등이 자리잡았다. 원룸촌이면서 군데군데 아파트가 있다. 북쪽으로 해산동, 동쪽으로 여천동, 동쪽, 남쪽으로 선원동, 서쪽으로는 소라면(덕양리, 죽림리)와 맞닿는다. 교통편은 시가지가 가까운 것 같으면서 은근히 신호가 꼬여서 복잡하다. 그래도 해산, 석창 방향으로 길이 뚫려서 순천이나 공단 가는데는 좋아졌다. 옛날에는 순천에 나가려면 덕양의 좁은 길을 달려야 했다.. 버스는 [[여수 버스 80, 81|80, 81번]]이 화장동을 종점으로 하여 수시로 오간다. 여천뿐만 아니라 여수지역도 가는 버스. 그리고 여천순환노선인 1000, 2000번도 무선에 온다. 그 외에 32, 34, 38, 91번 버스가 닿는다.
 
=== 선원동 ===
아파트가 많이 자리잡은 동으로 화장동과 붙은 쪽은 화장동과 엮어서 "무선지구"라 부른다. 무선에 '''여천시외버스터미널'''과 롯데마트 여천점이 위치했다. 남쪽은 흔히 "도원"이라 불리는 곳으로 도로 건너편의 안산동과 붙어있다. 여천고등학교가 속해있다. 북쪽으로 주삼동, 북동쪽으로 봉계동, 동쪽으로 여천동과 학동, 남쪽으로 안산동, 서쪽으로 소라면(죽림리)와 화장동과 접한다. 동이 커서 위치별로 볼 수 있는 버스가 다르다. 도원쪽은 죽림가는 버스<ref>21, 22, 23, 24, 24-1, 25, 25-1, 26, 26-1, [[여수 버스 28|28]], 29, 82, 83, 84, 92, 95, 1000, 2000</ref>가, 무선쪽은 화장동과 같고, 여천고쪽은 여천동과 같다.
 
== 기타 ==
* [[여천역]]
* [[여천시외버스정류장]]
* [[여천선]]
 
{{각주}}
 
[[분류:여수시]]

2021년 8월 3일 (화) 11:44 판

여천에는 다음 뜻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