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템플릿에 맞춰 내용 추가)
1번째 줄: 1번째 줄: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에 중앙부에 위치한 [[시 (행정구역)|시]]이며, 전라북도의 도청 소재지다.
{{마을 정보
|이름 = 전주시
|그림1 =
|그림1 설명 =
|그림2 =
|그림2 설명 =
|국가 =대한민국
|소속지역 =전라북도
|지도자 직함 = 시장
|지도자 =김승수
|지도자 정당 =
|하위 행정구역1 명칭 = 구
|하위 행정구역1 = 2
|하위 행정구역2 명칭 = 행정동
|하위 행정구역2 = 35
|하위 행정구역3 명칭 =
|하위 행정구역3 =
|하위 행정구역4 명칭 =
|하위 행정구역4 =
|하위 행정구역5 명칭 =
|하위 행정구역5 =
|인구 = 657,745
|인구 조사연도 = 2020년 11월
|인구밀도 = 3189.53
|면적 = 206.22
|시간대 = UCT+9 (대한민국 서울)
|상징1 종류 = 시화
|상징1 = 개나리
|상징2 종류 = 시목
|상징2 = 은행나무
|상징3 종류 = 시조
|상징3 = 까치
|상징4 종류 =
|상징4 =
|상징5 종류 =
|상징5 =
|상징6 종류 =
|상징6 =
}}


[[호남]] 제2의 시로서, 인구 65만 명, 면적은 200제곱킬로미터다. [[한옥마을]]로 유명하다.
'''전주시'''(全州市, Jeonju city)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에 중앙부에 위치한 [[시 (행정구역)|시]]이며, 전라북도의 도청 소재지다.
 
서쪽으로 [[김제시]], 북서쪽으로 [[익산시]]와 접하며 나머지는 모두 [[완주군]]에 둘러싸여있다.
 
== 개요 ==
[[광주광역시|광주]]에 이은 [[호남]] 제2의 시인 동시에 전라북도 최대도시이자 종주도시이다. [[한옥마을]]로 유명하다.


== 역사 ==
== 역사 ==
{{빈 문단}}
*1403년: 전주부
*1895년: 전주부를 전주군으로 변경
*1914년: 전주면 설치
*1930년: 전주군 상관면 9개 리를 전주면에 편입
*1931년: 전주면이 전주읍으로 승격
*1935년: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하며 전주군에서 분리, 전주군 잔여지역은 완주군으로 개칭
*1949년: 전국의 부를 시로 일괄 개칭함에 따라 전주시로 개칭
*1957년: 완주군 초포면, 우전면 일원과 조촌면, 용진면, 상관면 각 일부를 편입
*1973년: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일부를 우아동에 편입
*1983년: 완주군 상관면 대성리, 색장리 일원과 용진면 산정리 일부를 편입
*1987년: 완주군 조촌읍을 편입
*1988년: 7월 1일 완산출장소와 덕진출장소 설치
*1989년: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금상리와 구이면 중인리, 용복리, 석구리, 원당리를 편입
*1989년: 5월 1일 완산구와 덕진구 설치
*1990년: 7월 1일 효자동을 효자1동과 효자2동으로 행정동 분리 (2구 39동)
*1990년: 8월 1일 완주군 이서면 상림리, 중리를 완산구 상림동, 중동으로 편입
*1992년: 5월 1일 효자2동을 효자2동과 효자3동으로 행정동 분리 (2구 40동)
*1994년: 8월 8일 삼천동을 삼천1동과 삼천2동으로 행정동 분리 (2구 41동)
*1994년: 김제군 백구면 강흥리, 도덕리, 도도리, 남정리를 편입
*1995년: 4월 12일 완산구 중화산동 일부를 효자동에 편입. 덕진구 전 미동·호성동 동간경계 조정
*1995년: 4월 20일 완산구 서신동·삼천1,2동, 효자1,2,3동을 관할하는 효자출장소 설치
*1996년: 2월 26일 완산구 평화동을 평화1동과 평화2동으로 행정동 분리 (2구 42동)
*1996년: 3월 4일 완산구 경원동 일부를 중노송2동에 편입. 태평2동 일부를 다가동에 편입. 동완산동 일부를 서서학동으로 편입
*1996년: 9월 1일 완산구 중앙동,다가동,고사동을 중앙동으로 행정동 통합. 경원동,풍남동,전동을 풍남동으로 행정동 통합. 태평1동, 태평2동을 태평동으로 행정동 통합. 완산구 중화산동을 중화산1동과 중화산2동으로 행정동 분리. 덕진구 우아동을 우아1동과 우아2동으로 행정동 분리. 송천동을 송천1동과 송천2동으로 행정동 분리. 효자 출장소 효자3동을 효자3동과 효자4동으로 행정동 분리. 삼천2동을 삼천2동과 삼천3동으로 행정동 분리 (2구 42동)
*1996년: 9월 2일 완산구 경원동 일부를 풍남동에 편입. 평화동(흑석골) 일부를 서서학동이 편입. 덕진구 진북1동 일부를 금암2동에 편입. 금암1동 일부를 덕진동에 편입. 우아동 일부를 인후3동으로 편입.
*1997년: 10월 4일 완산구 서완산동, 삼천1동 일부를 완산구 효자1동에 편입. 완산구 효자1동 일부를 완산구 삼천1동에 편입.
*1998년: 7월 1일 완산구 중노송1동 일부를 남노송동으로 편입. 완산구 서완산동 1가 일부를 효자1동에 편입. 완산구 중화산2동과 서신동 경계 조정. 완산구 중노송1동 일부를 덕진구 인후3동에 편입. 덕진구 우아2동 일부를 덕진구 인후3동에 편입. 덕진구 우아2동 1가 일부를 우아2동 2가에 편입. 덕진구 우아2동 2가와 산정동 경계 조정. 완산구 평화동1가와 평화동2가 경계 조정
*1998년: 8월 1일 효자출장소 폐지. 완산구 동서학동과 남고동 이 동서학동으로 행정동 통합. 덕진구 전미동과 송천2동이 송천2동으로 행정동 통합 (2구 40동)
*2000년: 2월 21일 완산구 효자동1가 일부를 삼천동1가로 편입. 완산구 효자동2가 일부를 효자동 1가로 편입. 완산구 중동일부를 상림동으로 편입
*2005년: 8월 1일 덕진구 서노송동 일원을 완산구 서노송동으로 편입. 덕진구 진북동 일부를 완산구 태평동으로 편입. 덕진구 인후동1가 일부를 완산구 중노송동으로 편입. 완산구 전동 일부를 중앙동4가로 편입. 완산구 중노송동과 남노송동 경계 조정. 완산구 삼천동1가 일부를 평화동2가로 편입. 덕진구 인후동2가 일부를 금암동으로 편입. 덕진구 우아동3가 일부를 덕진구 인후동1가로 편입. 덕진구 송천동2가를 송천동1가로 편입. 덕진구 도덕동, 성덕동의 각 일부를 남정동과 도도동에 각각 편입. 덕진구 남정동과 도도동 경계 조정. 완산구 중앙동과 태평동이 중앙동으로 행정동 통합. 완산구 풍남동과 교동이 풍남동으로 행정동 통합. 완산구 중노송1동과 중노송2동, 남노송동, 서노송동이 노송동으로 행정동 통합. 완산구 동완산동과 서완산동이 완산동으로 행정동 통합. 덕진구 진북1동과 진북2동이 진북동으로 행정동 통합
*2007년: 5월 31일 완산구 중화산동 1가 일부를 서완산동2가이 편입. 덕진구 덕진동1가 일부를 진북동에 편입. 덕진구 송천동2가 일부를 덕진구 송천동1가에 편입
*2010년: 11월 18일 완산구 중노송동 일부를 남노송동으로 편입. 완산구 평화2동1가 일부를 완산구 평화1동1가로 편입. 완산구 효자동3가 일부를 효자동 2가로 편입. 효자동2가 일부를 효자동 3가로 편입
*2018년: 7월 1일 완산구 효자4동과 덕진동 동산동 각 일부(전북혁신도시)를 덕진구 혁신동으로 분리
 
== 지리 ==
 
== 행정 구역 ==
{{참고|전주시의 행정 구역}}
 
전주시의 행정 구역은 2일반구 35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교육 ==
 
== 교통 ==
'''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
|-align="center"
| style="background:lightcyan" | 김제IC || style="background:skyblue" | '''서전주IC''' || style="background:skyblue" | '''전주IC''' || style="background:lightcyan" | 삼례IC
|-
| style="background:lightcyan" | 김제시 금구면~ || style="background:skyblue" | ~완주군 이서면~ || style="background:skyblue" | ~전주시 용정동~ || style="background:lightcyan" | ~완주군 삼례읍
|}
 
*[[순천완주고속도로]]
{|
|-align="center"
| style="background:lightcyan" | 상관IC || style="background:skyblue" | '''동전주IC''' || style="background:lightcyan" | 완주JC
|-
| style="background:lightcyan" | 완주군 상관면~ || style="background:skyblue" | ~전주시 금상동~ || style="background:lightcyan" | ~완주군 용진읍
|}
 
*[[익산포항고속도로]]
{|
|-align="center"
| style="background:lightcyan" | 익산JC || style="background:skyblue" | '''완주IC''' || style="background:lightcyan" | 완주JC
|-
| style="background:lightcyan" | 익산시 왕궁면~ || style="background:skyblue" | ~완주군 용진읍~ || style="background:lightcyan" | ~완주군 용진읍
|}
 
'''국도'''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7호선]]


== 관련 사이트 ==
'''철도'''
{|class="wikitable"
|-align="center"
| colspan="5" | [[전라선]]
|-align="center"
| rowspan="2" style="color:darkgray" | 익산 방향 || 삼례 || '''[[전주역|전주]]''' || 임실 || rowspan="2"  style="color:darkgray" | 여수 방향
|-align="center"
|| 완주군 삼례읍 || 전주시 우아동3가 || 임실군 임실읍
|}
 
== 경제 ==
대표적인 소비도시 중 하나. 전라북도 최대도시이지만 그에 비해 자체 산업 기반이 약한 편이다. 관광업의 비중이 높다.
 
== 주요 기관 ==
 
== 문화·관광 ==
 
== 출신 인물 ==
{{참고|전주시 출신}}
 
== 자매 도시 ==
 
== 기타 ==
전라북도의 시들 중에서 유일하게 도농복합시가 아니다. 호남에서는 광주, 목포와 함께 셋 뿐인 도농복합 형태가 아닌 도시이다. 하지만 완주군과의 통합이 성사된다면 도농복합시가 될 확률이 매우 높다.
 
== 바깥 고리 ==
* [http://www.jeonju.go.kr/ 한바탕 전주]
* [http://www.jeonju.go.kr/ 한바탕 전주]
{{지리적 위치
|중앙 = [[전주시]]
|북 = [[완주군]]
|북동 = [[완주군]]
|동 = [[완주군]]
|남동 = [[완주군]]
|남 = [[완주군]]
|남서 = [[김제시]]
|서 = [[완주군]]
|북서 = [[익산시]]
}}


{{각주}}
{{각주}}
13번째 줄: 167번째 줄:
[[분류:특정시]]
[[분류:특정시]]
[[분류:전주시| ]]
[[분류:전주시| ]]
[[분류:대한민국의 도시]]
[[분류:전라북도의 시]]

2020년 12월 19일 (토) 23:56 판

{{{마을이름}}}
지역 정보
지역 전라북도
인구 657,745 명
인구밀도 3189.53 명/km2
면적 206.22 km2
기타 정보
시간대 UCT+9 (대한민국 서울)

전주시(全州市, Jeonju city)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에 중앙부에 위치한 이며, 전라북도의 도청 소재지다.

서쪽으로 김제시, 북서쪽으로 익산시와 접하며 나머지는 모두 완주군에 둘러싸여있다.

개요

광주에 이은 호남 제2의 시인 동시에 전라북도 최대도시이자 종주도시이다. 한옥마을로 유명하다.

역사

  • 1403년: 전주부
  • 1895년: 전주부를 전주군으로 변경
  • 1914년: 전주면 설치
  • 1930년: 전주군 상관면 9개 리를 전주면에 편입
  • 1931년: 전주면이 전주읍으로 승격
  • 1935년: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하며 전주군에서 분리, 전주군 잔여지역은 완주군으로 개칭
  • 1949년: 전국의 부를 시로 일괄 개칭함에 따라 전주시로 개칭
  • 1957년: 완주군 초포면, 우전면 일원과 조촌면, 용진면, 상관면 각 일부를 편입
  • 1973년: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일부를 우아동에 편입
  • 1983년: 완주군 상관면 대성리, 색장리 일원과 용진면 산정리 일부를 편입
  • 1987년: 완주군 조촌읍을 편입
  • 1988년: 7월 1일 완산출장소와 덕진출장소 설치
  • 1989년: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금상리와 구이면 중인리, 용복리, 석구리, 원당리를 편입
  • 1989년: 5월 1일 완산구와 덕진구 설치
  • 1990년: 7월 1일 효자동을 효자1동과 효자2동으로 행정동 분리 (2구 39동)
  • 1990년: 8월 1일 완주군 이서면 상림리, 중리를 완산구 상림동, 중동으로 편입
  • 1992년: 5월 1일 효자2동을 효자2동과 효자3동으로 행정동 분리 (2구 40동)
  • 1994년: 8월 8일 삼천동을 삼천1동과 삼천2동으로 행정동 분리 (2구 41동)
  • 1994년: 김제군 백구면 강흥리, 도덕리, 도도리, 남정리를 편입
  • 1995년: 4월 12일 완산구 중화산동 일부를 효자동에 편입. 덕진구 전 미동·호성동 동간경계 조정
  • 1995년: 4월 20일 완산구 서신동·삼천1,2동, 효자1,2,3동을 관할하는 효자출장소 설치
  • 1996년: 2월 26일 완산구 평화동을 평화1동과 평화2동으로 행정동 분리 (2구 42동)
  • 1996년: 3월 4일 완산구 경원동 일부를 중노송2동에 편입. 태평2동 일부를 다가동에 편입. 동완산동 일부를 서서학동으로 편입
  • 1996년: 9월 1일 완산구 중앙동,다가동,고사동을 중앙동으로 행정동 통합. 경원동,풍남동,전동을 풍남동으로 행정동 통합. 태평1동, 태평2동을 태평동으로 행정동 통합. 완산구 중화산동을 중화산1동과 중화산2동으로 행정동 분리. 덕진구 우아동을 우아1동과 우아2동으로 행정동 분리. 송천동을 송천1동과 송천2동으로 행정동 분리. 효자 출장소 효자3동을 효자3동과 효자4동으로 행정동 분리. 삼천2동을 삼천2동과 삼천3동으로 행정동 분리 (2구 42동)
  • 1996년: 9월 2일 완산구 경원동 일부를 풍남동에 편입. 평화동(흑석골) 일부를 서서학동이 편입. 덕진구 진북1동 일부를 금암2동에 편입. 금암1동 일부를 덕진동에 편입. 우아동 일부를 인후3동으로 편입.
  • 1997년: 10월 4일 완산구 서완산동, 삼천1동 일부를 완산구 효자1동에 편입. 완산구 효자1동 일부를 완산구 삼천1동에 편입.
  • 1998년: 7월 1일 완산구 중노송1동 일부를 남노송동으로 편입. 완산구 서완산동 1가 일부를 효자1동에 편입. 완산구 중화산2동과 서신동 경계 조정. 완산구 중노송1동 일부를 덕진구 인후3동에 편입. 덕진구 우아2동 일부를 덕진구 인후3동에 편입. 덕진구 우아2동 1가 일부를 우아2동 2가에 편입. 덕진구 우아2동 2가와 산정동 경계 조정. 완산구 평화동1가와 평화동2가 경계 조정
  • 1998년: 8월 1일 효자출장소 폐지. 완산구 동서학동과 남고동 이 동서학동으로 행정동 통합. 덕진구 전미동과 송천2동이 송천2동으로 행정동 통합 (2구 40동)
  • 2000년: 2월 21일 완산구 효자동1가 일부를 삼천동1가로 편입. 완산구 효자동2가 일부를 효자동 1가로 편입. 완산구 중동일부를 상림동으로 편입
  • 2005년: 8월 1일 덕진구 서노송동 일원을 완산구 서노송동으로 편입. 덕진구 진북동 일부를 완산구 태평동으로 편입. 덕진구 인후동1가 일부를 완산구 중노송동으로 편입. 완산구 전동 일부를 중앙동4가로 편입. 완산구 중노송동과 남노송동 경계 조정. 완산구 삼천동1가 일부를 평화동2가로 편입. 덕진구 인후동2가 일부를 금암동으로 편입. 덕진구 우아동3가 일부를 덕진구 인후동1가로 편입. 덕진구 송천동2가를 송천동1가로 편입. 덕진구 도덕동, 성덕동의 각 일부를 남정동과 도도동에 각각 편입. 덕진구 남정동과 도도동 경계 조정. 완산구 중앙동과 태평동이 중앙동으로 행정동 통합. 완산구 풍남동과 교동이 풍남동으로 행정동 통합. 완산구 중노송1동과 중노송2동, 남노송동, 서노송동이 노송동으로 행정동 통합. 완산구 동완산동과 서완산동이 완산동으로 행정동 통합. 덕진구 진북1동과 진북2동이 진북동으로 행정동 통합
  • 2007년: 5월 31일 완산구 중화산동 1가 일부를 서완산동2가이 편입. 덕진구 덕진동1가 일부를 진북동에 편입. 덕진구 송천동2가 일부를 덕진구 송천동1가에 편입
  • 2010년: 11월 18일 완산구 중노송동 일부를 남노송동으로 편입. 완산구 평화2동1가 일부를 완산구 평화1동1가로 편입. 완산구 효자동3가 일부를 효자동 2가로 편입. 효자동2가 일부를 효자동 3가로 편입
  • 2018년: 7월 1일 완산구 효자4동과 덕진동 동산동 각 일부(전북혁신도시)를 덕진구 혁신동으로 분리

지리

행정 구역

전주시의 행정 구역은 2일반구 35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

교통

고속도로

김제IC 서전주IC 전주IC 삼례IC
김제시 금구면~ ~완주군 이서면~ ~전주시 용정동~ ~완주군 삼례읍
상관IC 동전주IC 완주JC
완주군 상관면~ ~전주시 금상동~ ~완주군 용진읍
익산JC 완주IC 완주JC
익산시 왕궁면~ ~완주군 용진읍~ ~완주군 용진읍

국도

철도

전라선
익산 방향 삼례 전주 임실 여수 방향
완주군 삼례읍 전주시 우아동3가 임실군 임실읍

경제

대표적인 소비도시 중 하나. 전라북도 최대도시이지만 그에 비해 자체 산업 기반이 약한 편이다. 관광업의 비중이 높다.

주요 기관

문화·관광

출신 인물

자매 도시

기타

전라북도의 시들 중에서 유일하게 도농복합시가 아니다. 호남에서는 광주, 목포와 함께 셋 뿐인 도농복합 형태가 아닌 도시이다. 하지만 완주군과의 통합이 성사된다면 도농복합시가 될 확률이 매우 높다.

바깥 고리

틀:지리적 위치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