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B: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개요)
7번째 줄: 7번째 줄:
항공용 [[트랜스폰더]]의 모드 S에서 작동하며, [[GPS]]에서 수신한 위치를 발신하기 때문에 [[레이더]]가 없어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레이더가 잘 닿지 않는 산악 지형이나 해양에서 막대한 비용을 들여 레이더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것. 해양을 비행하는 항공기가 레이더의 감시망 바깥에 있어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ref>[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3178564  공항은 아직 레이더 시대 …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 관제 시스템 보급 한창], 미주중앙일보, 2015.02.17</ref>
항공용 [[트랜스폰더]]의 모드 S에서 작동하며, [[GPS]]에서 수신한 위치를 발신하기 때문에 [[레이더]]가 없어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레이더가 잘 닿지 않는 산악 지형이나 해양에서 막대한 비용을 들여 레이더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것. 해양을 비행하는 항공기가 레이더의 감시망 바깥에 있어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ref>[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3178564  공항은 아직 레이더 시대 …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 관제 시스템 보급 한창], 미주중앙일보, 2015.02.17</ref>


이 신호는 수신기만 있으면 누구나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는 [[라즈베리 파이]]로도 쉽게 만들 수 있고, 안테나만 제대로 설치하면 수신 범위도 생각보다 넓어진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서 ADS-B 수신기 네트워크를 꾸려 놓고 항공기의 실시간 위치를 운항 계획 등과 묶어 표출하는 서비스가 생겨났다. Flightrader24, FlightAware 등이 가장 유명하고, 개인의 ADS-B 수신기를 등록할 수도 있다.  
이 신호는 수신기만 있으면 누구나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는 [[라즈베리 파이]]로도 쉽게 만들 수 있고, 안테나만 제대로 설치하면 수신 범위가 생각보다 넓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서 ADS-B 수신기 네트워크를 꾸려 놓고 항공기의 실시간 위치를 운항 계획 등과 묶어 표출하는 서비스가 생겨났다. Flightrader24, FlightAware 등이 가장 유명하고, 개인의 ADS-B 수신기를 등록할 수도 있다.  


2016년까지는 트랜스폰더에서 사용하는 VHF 대역에서만 통신했으나,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고]]를 계기로 국제 사회가 합의하여 2017년까지 ADS-B를 위성으로도 송신할 계획이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12/0200000000AKR20151112052400009.HTML 위성 추적으로 민간항공기 실종 막는다…국제사회 합의], 연합뉴스, 2015.11.12</ref>
2016년까지는 트랜스폰더에서 사용하는 VHF 대역에서만 통신했으나,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고]]를 계기로 국제 사회가 합의하여 2017년까지 ADS-B를 위성으로도 송신할 계획이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12/0200000000AKR20151112052400009.HTML 위성 추적으로 민간항공기 실종 막는다…국제사회 합의], 연합뉴스, 2015.11.12</ref>
{{각주}}
{{각주}}
[[분류:항공 장비]]
[[분류:항공 장비]]

2018년 7월 8일 (일) 15:44 판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 broadcast

개요

항공기가 자신의 위치와 속도, 고도 등의 비행 정보를 스스로 발신하는 시스템.

기존 2차 레이더 시스템은 레이더에서 질의를 보내야 답을 해주는 양방향 통신이면서 수동적인 방식이었던 반면에, 이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방송(broadcast)하므로써 단방향 통신이면서 능동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는 주파수 점유 시간을 짧게 하여 관제 시스템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더 많은 정보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항공용 트랜스폰더의 모드 S에서 작동하며, GPS에서 수신한 위치를 발신하기 때문에 레이더가 없어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레이더가 잘 닿지 않는 산악 지형이나 해양에서 막대한 비용을 들여 레이더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것. 해양을 비행하는 항공기가 레이더의 감시망 바깥에 있어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1]

이 신호는 수신기만 있으면 누구나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는 라즈베리 파이로도 쉽게 만들 수 있고, 안테나만 제대로 설치하면 수신 범위가 생각보다 넓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서 ADS-B 수신기 네트워크를 꾸려 놓고 항공기의 실시간 위치를 운항 계획 등과 묶어 표출하는 서비스가 생겨났다. Flightrader24, FlightAware 등이 가장 유명하고, 개인의 ADS-B 수신기를 등록할 수도 있다.

2016년까지는 트랜스폰더에서 사용하는 VHF 대역에서만 통신했으나,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고를 계기로 국제 사회가 합의하여 2017년까지 ADS-B를 위성으로도 송신할 계획이다.[2]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