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개요)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조건==
==조건==
열차는 안전 및 효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만 한다.  
열차는 안전 및 효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만 한다. 이들 조건을 맞추지 못한다면 본선을 달리는 열차로서는 운행할 수 없다.
*신호·전호 및 표지가 표시하는 조건에 따라 운전할 것(단 노면전차의 경우는 예외)
*신호·전호 및 표지가 표시하는 조건에 따라 운전할 것(단 노면전차의 경우는 예외)
*해당 운행 구간을 운행하는데 지장이 없는 상태여야 할 것
*해당 운행 구간을 운행하는데 지장이 없는 상태여야 할 것
16번째 줄: 16번째 줄:


==종류==
==종류==
열차 종류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운행 속도에 따른 분류===
이하는 운행계획 설정 및 운전정리 등에 사용하는 등급 분류 기준이다. 하위로 갈수록 운행 속도가 늦고, 이에 따라 우선순위가 낮아진다.
 
*여객열차
*여객열차
**고속여객열차
**고속여객열차
**특별급행여객열차
**[[특급여객열차|특급열차]](혹은 특별급행여객열차)
**보통급행여객열차
**[[급행여객열차|급행열차]](혹은 보통급행여객열차)
**보통여객열차
**보통여객열차
*화물열차
*화물열차
27번째 줄: 29번째 줄:
*혼합열차
*혼합열차
*회송열차
*회송열차
*공사열차
*단행열차
*단행열차
*시운전열차
*시운전열차
===구조에 따른 분류===
*동력분산식 열차
*동력집중식 열차
*양단동력식 열차
===운행 특성에 따른 분류===
*정기열차
*임시열차
*계절열차
*복합열차


{{주석}}
{{주석}}


[[분류:철도]]
[[분류:철도]]

2015년 4월 29일 (수) 10:35 판

  • 列車, trains

철도위를 다니는 교통수단을 의미한다.

개요

말 그대로 열을 지어 있는 차들로, 철도 위에 일렬로 늘어선 일군의 차량들을 묶어서 열차라고 칭한다. 다만, 협의의 열차는 철도역본선을 운행할 목적으로 조성된 철도차량을 의미한다.[1] 즉, 본선을 운행하지 않을 목적의 차량이나, 본선을 운행할 조건을 맞추지 못한 경우에는 열차로 보지 않으며, 이런 경우는 대개 입환에 해당한다.

조건

열차는 안전 및 효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만 한다. 이들 조건을 맞추지 못한다면 본선을 달리는 열차로서는 운행할 수 없다.

  • 신호·전호 및 표지가 표시하는 조건에 따라 운전할 것(단 노면전차의 경우는 예외)
  • 해당 운행 구간을 운행하는데 지장이 없는 상태여야 할 것
    • 동력차의 출력이 부족하지 않을 것
    • 과다하게 많은 차량을 연결해서 운행 도중 멈추거나 연결기가 파손되는 등의 사고 우려가 없을 것
  • 제동기능이 완전하여 소정의 비상제동거리를 만족 할 것
  • 정거장의 도착, 출발, 통과 시정이 지정되어 있어야 한다(단, 임시열차는 예외)

종류

운행 속도에 따른 분류

이하는 운행계획 설정 및 운전정리 등에 사용하는 등급 분류 기준이다. 하위로 갈수록 운행 속도가 늦고, 이에 따라 우선순위가 낮아진다.

  • 여객열차
    • 고속여객열차
    • 특급열차(혹은 특별급행여객열차)
    • 급행열차(혹은 보통급행여객열차)
    • 보통여객열차
  • 화물열차
    • 급행화물열차
    • 보통화물열차
  • 혼합열차
  • 회송열차
  • 공사열차
  • 단행열차
  • 시운전열차

구조에 따른 분류

  • 동력분산식 열차
  • 동력집중식 열차
  • 양단동력식 열차

운행 특성에 따른 분류

  • 정기열차
  • 임시열차
  • 계절열차
  • 복합열차

각주

  1. 국유철도운전규칙 제3조 및 도시철도운전규칙 제3조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