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 PM<sub>2.5</sub> : 입경 2.5㎛ 이하
* PM<sub>2.5</sub> : 입경 2.5㎛ 이하
== 미세먼지 특보 ==
== 미세먼지 특보 ==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미세먼지에 대한 예보 및 경보체계가 강화되었다. 또한 고용노동부는 경보단계에 따라 옥외근로자에게 [[방진마스크]]<ref>2급 이상 방진마스크 혹은 KF80 이상 보건용 마스크</ref>를 지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미세먼지에 대한 예보 및 경보체계가 강화되었다. 또한 고용노동부는 경보단계에 따라 옥외근로자에게 [[방진마스크]]<ref>2급 이상 [[방진마스크]] 혹은 KF80 이상 [[보건용 마스크]]</ref>를 지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class=wikitable style=margin:auto;
|
! PM<sub>2.5</sub>
! PM<sub>10</sub>
|-
! 주의보
| 75㎍/㎥/h 이상
| 150㎍/㎥/h 이상
|-
! 경보
| 150㎍/㎥/h 이상
| 300㎍/㎥/h 이상
|}
== 발생원인 ==
== 발생원인 ==
=== 야외 대기에 미세먼지를 흩뿌리는 원인들 ===
=== 야외 대기에 미세먼지를 흩뿌리는 원인들 ===
* 화석연료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입자
* 화석연료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입자([[화력 발전소]], [[자동차]] 배기가스 등)
* 산업현장에서 원재료를 다루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입자
* 산업현장에서 원재료를 다루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입자
* [[황사]]
* [[황사]]
* 쓰레기 소각
* [[산불]]
* [[화재]]
* 자동타 타이어·브레이크<ref>[https://dongascience.com/news.php?idx=24083 고속도로 주변 오염물질의 90%는 타이어 탓], 동아사이언스, 2018.09.27. </ref>


=== 실내 대기에 미세먼지를 흩뿌리는 원인들 ===
=== 실내 대기에 미세먼지를 흩뿌리는 원인들 ===
19번째 줄: 36번째 줄:
* 향초를 태우면서 흩날리는 미립자
* 향초를 태우면서 흩날리는 미립자
* 밖에서 의류 등에 부착돼 유입된 미세먼지
* 밖에서 의류 등에 부착돼 유입된 미세먼지
== 발생시기 ==
== 발생시기 ==
한반도는 대륙 동안에 속하므로 한랭건조한 한겨울에 가장 농도가 높고 고온다습한 한여름(6~8월)에는 가장 적다. 직설적으로 말하면 '''열대야와 등가교환 관계라 볼 수 있다.'''
편서풍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동쪽에 있을수록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한반도는 대륙 동안에 속하므로 한랭건조한 한겨울에 가장 농도가 높고 고온다습한 한여름(6~8월)에는 가장 적다. 직설적으로 말하면 '''열대야와 등가교환 관계라 볼 수 있다.''' 겨울에 가끔 시베리아 고기압이 내려오면 중국에서 불어오는 편서풍이 막혀 한결 덜해진다. 단, 수도권은 예외로 자체 생산량이 꽤 되다보니 편서풍과 상관없이 일정한 경향을 보인다<ref>[https://espo.nasa.gov/korus-aq/content/KORUS-AQ KORUS-AQ: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Air Quality Field Study in Korea (2016)], 美항공우주국, 2016.</ref><ref>[https://news.joins.com/article/23718954  '코로나 타격' 중국 미세먼지, 우한부터 줄었다], 중앙일보, 2020.03.01.</ref>.


대륙 서안, 특히 유럽권은 정반대 양상을 보인다. 한여름에 북아프리카에서 올라오는 고압대의 영향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치솟고, 겨울에는 아이슬란드 저기압(Icelandic low)의 영향으로 줄어든다.
대륙 서안, 특히 유럽권은 정반대 양상을 보인다. 한여름에 북아프리카에서 올라오는 고압대의 영향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치솟고, 겨울에는 아이슬란드 저기압(Icelandic low)의 영향으로 줄어든다.
29번째 줄: 49번째 줄:
* 실내에 [[공기청정기]]를 마련하여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 실내에 [[공기청정기]]를 마련하여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 대기 중 과도한 미세먼지가 예상되면 외출시 마스크를 쓰고 나간다. [[방진마스크]]가 특히 좋다.
* 대기 중 과도한 미세먼지가 예상되면 외출시 마스크를 쓰고 나간다. [[방진마스크]]가 특히 좋다.
* 가정에서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이 내부에 있을 경우 실외 대기질 및 실내 냉·[[난방]] 온도를 고려하며 [[환기]]를 한다.
== 같이 보기 ==
* [[스모그]]
* [https://www.airkorea.or.kr/ 에어코리아] - 한국환경공단
{{각주}}
[[분류:공해]]
[[분류:공해]]

2021년 11월 8일 (월) 21:15 기준 최신판

미세먼지(微細-, Particulate Matter, PM)는 대기 중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입경 10㎛ 이하의 먼지이다. 학술적으로는 에어로졸(aerosol)이라고 부른다. 미세먼지 중 2.5㎛ 이하는 초미세먼지로 분류된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분진(粉塵)은 "먼지"와 동급의 말이므로 미세먼지를 지칭하기엔 넓은 범위의 단어이다.

  • PM10 : 입경 10㎛ 이하
  • PM2.5 : 입경 2.5㎛ 이하

미세먼지 특보[편집 | 원본 편집]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미세먼지에 대한 예보 및 경보체계가 강화되었다. 또한 고용노동부는 경보단계에 따라 옥외근로자에게 방진마스크[1]를 지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PM2.5 PM10
주의보 75㎍/㎥/h 이상 150㎍/㎥/h 이상
경보 150㎍/㎥/h 이상 300㎍/㎥/h 이상

발생원인[편집 | 원본 편집]

야외 대기에 미세먼지를 흩뿌리는 원인들[편집 | 원본 편집]

  • 화석연료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입자(화력 발전소, 자동차 배기가스 등)
  • 산업현장에서 원재료를 다루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입자
  • 황사
  • 쓰레기 소각
  • 산불
  • 화재
  • 자동타 타이어·브레이크[2]

실내 대기에 미세먼지를 흩뿌리는 원인들[편집 | 원본 편집]

  • 식재료에서 흩날리는 미립자
  • 육류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립자(유증기)
  • 향초를 태우면서 흩날리는 미립자
  • 밖에서 의류 등에 부착돼 유입된 미세먼지

발생시기[편집 | 원본 편집]

편서풍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동쪽에 있을수록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한반도는 대륙 동안에 속하므로 한랭건조한 한겨울에 가장 농도가 높고 고온다습한 한여름(6~8월)에는 가장 적다. 직설적으로 말하면 열대야와 등가교환 관계라 볼 수 있다. 겨울에 가끔 시베리아 고기압이 내려오면 중국에서 불어오는 편서풍이 막혀 한결 덜해진다. 단, 수도권은 예외로 자체 생산량이 꽤 되다보니 편서풍과 상관없이 일정한 경향을 보인다[3][4].

대륙 서안, 특히 유럽권은 정반대 양상을 보인다. 한여름에 북아프리카에서 올라오는 고압대의 영향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치솟고, 겨울에는 아이슬란드 저기압(Icelandic low)의 영향으로 줄어든다.

억제방법[편집 | 원본 편집]

  • 산업현장에서는 배출가스를 집진기에 통과시켜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미립자 원료는 실내에 보관하여 대기중으로 흩날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 미세먼지를 과도하게 발생시키는 차량은 DPF를 부착하거나, 폐차 후 최신 기술이 적용된 신차로 대체한다.
  • 실내에 공기청정기를 마련하여 미세먼지를 걸러낸다.
  • 대기 중 과도한 미세먼지가 예상되면 외출시 마스크를 쓰고 나간다. 방진마스크가 특히 좋다.
  • 가정에서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이 내부에 있을 경우 실외 대기질 및 실내 냉·난방 온도를 고려하며 환기를 한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