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안해양성 기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기후 *西岸海洋成氣候 / oceanic climate ==개요== 온대기후 중 연중 시원하고 습한 기후. 쾨펜의 기후 분류에 의하면 Cfb, Cfc로 구...)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번째 줄: 7번째 줄:
중위도 대륙 서안에 위치하며, [[대기 대순환]]에서 항상 한대 전선대의 영향을 받아서 연중 시원하고 습하다.
중위도 대륙 서안에 위치하며, [[대기 대순환]]에서 항상 한대 전선대의 영향을 받아서 연중 시원하고 습하다.


난류의 영향을 받아서 겨울에도 대체로 따뜻한 편이며, 난류의 힘에 따라서 분포가 고위도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예를 들면, [[유럽]]의 [[노르웨이]]는 해안을 따라서 북쪽까지 이 기후가 유지된다. 노르웨이의 [https://en.wikipedia.org/wiki/Trondheim#Climate 트론헤임]은 여전히 서안 해양성 기후로 분류되지만, 춥기로 악명높은 [https://en.wikipedia.org/wiki/Oymyakon#Climate 오미야콘]과 비슷한 위도에 있다. {{ㅊ|그런데 여름 온도는 비슷한 게 함정}}
난류의 영향을 받아서 겨울에도 대체로 따뜻한 편이며,<ref>정작 체감온도는 이런 지역이 더 춥다. 오히려 일교차가 크고 햇볕이 따사로운 한국의 겨울이 더 견디기 쉽다고 느낄 정도.</ref>  난류의 힘에 따라서 분포가 고위도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예를 들면, [[유럽]]의 [[노르웨이]]는 해안을 따라서 북쪽까지 이 기후가 유지된다. 노르웨이의 [https://en.wikipedia.org/wiki/Trondheim#Climate 트론헤임]은 여전히 서안 해양성 기후로 분류되지만, 춥기로 악명높은 [https://en.wikipedia.org/wiki/Oymyakon#Climate 오미야콘]과 비슷한 위도에 있다.(북위 63도인 트론헤임의 겨울 날씨가 북위 36도인 대전광역시와 엇비슷하다)
 
==식생==
==식생==
기온에 비해 강수량이 많은 편이라 온대 활엽수림/혼합림, 온대 초원이 형성된다.
기온에 비해 강수량이 많은 편이라 온대 활엽수림/혼합림, 온대 초원이 형성된다.


기후는 주로 밀농사와 혼합농업이 이루어지며, 초원에서는 낙농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기후는 주로 밀농사와 혼합농업이 이루어지며, 초원에서는 낙농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덴마크와 네덜란드가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의 혼합농업 이미지라고 보면 된다. 이거보다 연교차가 더 작은 Cfc는 온대기후답지 않게 툰드라 기후와 식생이 별 다르지 않고, 농사가 불가능해서 목축만 가능하다. 아이슬란드에서는 아예 유목 비슷하게 가기도 한다.


{{각주}}
{{각주}}

2017년 3월 24일 (금) 07:14 기준 최신판

  • 西岸海洋成氣候 / oceanic climate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온대기후 중 연중 시원하고 습한 기후. 쾨펜의 기후 분류에 의하면 Cfb, Cfc로 구분한다. Cfb보다 Cfc가 여름이 더 짧은 기후. Csb, Csc도 이쪽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기후 특성[편집 | 원본 편집]

중위도 대륙 서안에 위치하며, 대기 대순환에서 항상 한대 전선대의 영향을 받아서 연중 시원하고 습하다.

난류의 영향을 받아서 겨울에도 대체로 따뜻한 편이며,[1] 난류의 힘에 따라서 분포가 고위도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예를 들면, 유럽노르웨이는 해안을 따라서 북쪽까지 이 기후가 유지된다. 노르웨이의 트론헤임은 여전히 서안 해양성 기후로 분류되지만, 춥기로 악명높은 오미야콘과 비슷한 위도에 있다.(북위 63도인 트론헤임의 겨울 날씨가 북위 36도인 대전광역시와 엇비슷하다)

식생[편집 | 원본 편집]

기온에 비해 강수량이 많은 편이라 온대 활엽수림/혼합림, 온대 초원이 형성된다.

기후는 주로 밀농사와 혼합농업이 이루어지며, 초원에서는 낙농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덴마크와 네덜란드가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의 혼합농업 이미지라고 보면 된다. 이거보다 연교차가 더 작은 Cfc는 온대기후답지 않게 툰드라 기후와 식생이 별 다르지 않고, 농사가 불가능해서 목축만 가능하다. 아이슬란드에서는 아예 유목 비슷하게 가기도 한다.

각주

  1. 정작 체감온도는 이런 지역이 더 춥다. 오히려 일교차가 크고 햇볕이 따사로운 한국의 겨울이 더 견디기 쉽다고 느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