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태대교: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다리 정보 | 이름 = 화태대교 | 그림 = 파일:화태대교.jpg | 설명 = 화태대교 | 다른 이름 = | 횡단 = 남해(금오열도) | 위치 = 여수시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리 정보
{{다리 정보
| 이름 = 화태대교
|다리이름 = 화태대교
| 그림 = [[파일:화태대교.jpg]]
|원어이름 =
| 설명 = 화태대교
|그림     = [[파일:화태대교.jpg]]
| 다른 이름 =
|그림설명 = 화태대교
| 횡단 = 남해(금오열도)
|나라    =  
| 위치 = [[여수시]] [[돌산읍]]-[[남면 (여수)|남면]]
|위치     = [[여수시]] [[돌산읍]]-[[여수 남면|남면]]
| 소유 =  
|횡단    = 남해(금오열도)
| 관리 = 익산지방국토관리청
|종류    = 사장교
| 설계 = 유신 주식회사
|길이    = 1345m
| 디자인 = 중로아치교
|폭      = 12m(왕복 2차로)
| 재료 =  
|높이     =  
| 연장 = 1345m
|경간     = 500m
| 너비 = 12m(왕복 2차로)
|관할    =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높이 =  
|착공일   = [[2004년#12월|2004년 12월]]
| 경간 = 500m
|개통일   = 2015년 12월 22일
| 수명 =
|폐쇄일  =  
| 시공 =
|설계    = 유신 주식회사
| 제작 =  
|건설    =  
| 착공일 = [[2004년#12월|2004년 12월]]
|비고    =  
| 완공일 = [[2015년#12월|2015년 12월]]
| 개통일 = 2015년 12월 22일
| 건설비용 = 1506억 원
| 요금 = 무료
| 일일교통량 =
| 이전 다리 =  
| 다음 다리 =  
| 폐쇄 =  
}}
}}
==개요==
==개요==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신복리(예교마을)과 [[남면 (여수)|남면]] [[화태도]]를 연결하는 교량이다. [[백리섬섬길]]을 구성할 예정인 교량이다.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신복리(예교마을)과 [[여수 남면|남면]] [[화태도]]를 연결하는 교량이다. [[백리섬섬길]]을 구성할 예정인 교량이다.


교량은 사장교이며, 주탑과 주탑 사이의 거리는 500m로 국내에서는 세번째로 주탑 사이 거리가 긴 사장교이다. 위치가 외져서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제법 긴 장대교량이다. 여수시 관내에선 [[이순신대교]] 다음으로 길다.
교량은 사장교이며, 주탑과 주탑 사이의 거리는 500m로 국내에서는 세번째로 주탑 사이 거리가 긴 사장교이다. 위치가 외져서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제법 긴 장대교량이다. 여수시 관내에선 [[이순신대교]] 다음으로 길다.


왕복 2차로 도로로 구성되어 차량이 다닐 수 있으며, 돌산 방향으로 [[국도 제17호선]]에 접속하여 여수, 순천 방향으로 진출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는 [[향일암]]으로 이어진다. 동측에는 보도가 있으며 차도와 분리되어 있다. 보도가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어 자전거 타기에 좋다. 강풍이 불면 차량 진입이 통제된다.
왕복 2차로 도로로 구성되어 차량이 다닐 수 있으며, 돌산 방향으로 [[17번 국도]]에 접속하여 여수, 순천 방향으로 진출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는 [[향일암]]으로 이어진다. 동측에는 보도가 있으며 차도와 분리되어 있다. 보도가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어 자전거 타기에 좋다. 강풍이 불면 차량 진입이 통제된다.


시내버스 [[여수 버스 106|106번]]이 이 다리를 경유하여 화태도까지 운행한다.  
시내버스 [[여수 버스 106|106번]]이 이 다리를 경유하여 화태도까지 운행한다.  
40번째 줄: 32번째 줄:


==기타==
==기타==
이 교량의 존재 덕분에 화태도는 남면에서 유일하게 육로로 접근 가능한 지역이 되었다. 백리섬섬길 예정구간 중 남면 소속 섬은 화태도밖에 없어서 한 동안 이 타이틀이 유지될 듯 하다. <ref>다른 남면 소속 섬에 교량이 생기려면 [[지방도 863호선]] 연결 계획이 나온 후에야 가능할 것 같다.</ref>
이 교량의 존재 덕분에 화태도는 남면에서 유일하게 육로로 접근 가능한 지역이 되었다. 백리섬섬길 예정구간 중 남면 소속 섬은 화태도밖에 없어서 한 동안 이 타이틀이 유지될 듯 하다. <ref>다른 남면 소속 섬에 교량이 생기려면 [[863번 지방도]] 연결 계획이 나온 후에야 가능할 것 같다.</ref>




46번째 줄: 38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다리]]
[[분류:대한민국의 다리]]
[[분류:국도 제77호선]]
[[분류:백리섬섬길]]

2023년 11월 10일 (금) 16:30 기준 최신판

화태대교
화태대교.jpg
화태대교
다리 정보
위치 여수시 돌산읍-남면
횡단 남해(금오열도)
종류 사장교
길이 1345m
12m(왕복 2차로)
경간 500m
관할 익산지방국토관리청
착공일 2004년 12월
개통일 2015년 12월 22일
설계 유신 주식회사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신복리(예교마을)과 남면 화태도를 연결하는 교량이다. 백리섬섬길을 구성할 예정인 교량이다.

교량은 사장교이며, 주탑과 주탑 사이의 거리는 500m로 국내에서는 세번째로 주탑 사이 거리가 긴 사장교이다. 위치가 외져서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제법 긴 장대교량이다. 여수시 관내에선 이순신대교 다음으로 길다.

왕복 2차로 도로로 구성되어 차량이 다닐 수 있으며, 돌산 방향으로 17번 국도에 접속하여 여수, 순천 방향으로 진출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는 향일암으로 이어진다. 동측에는 보도가 있으며 차도와 분리되어 있다. 보도가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어 자전거 타기에 좋다. 강풍이 불면 차량 진입이 통제된다.

시내버스 106번이 이 다리를 경유하여 화태도까지 운행한다.

백리섬섬길 구성 교량 중에서는 두 번째로 개통했지만, 타 구간과 단절되어서 아직 도로명이 부여되지 않았다. 화태도~백야도 구간의 연도교들이 개통한 후에야 도로명이 부여될 것으로 보인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이 교량의 존재 덕분에 화태도는 남면에서 유일하게 육로로 접근 가능한 지역이 되었다. 백리섬섬길 예정구간 중 남면 소속 섬은 화태도밖에 없어서 한 동안 이 타이틀이 유지될 듯 하다. [1]


각주

  1. 다른 남면 소속 섬에 교량이 생기려면 863번 지방도 연결 계획이 나온 후에야 가능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