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급 호위함: 두 판 사이의 차이

(미분류 해소! 어색한 표현과 누락된 문장부호를 교정했어요!)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대구급 호위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군함]]이다. [[인천급 호위함]]과 같은 FF2000계획에서 파생되었고, 사실 대구급 자체의 계획명도 인천Batch2로 인천급의 {{ㅊ|마개조}}개량형이다.
{{군함 정보
| box-width  = 300px
| 이름      = 대구급 호위함
| 그림        =
| 그림 설명  = 사진 없음
<!-- 기본 정보 -->
| 제식명    = 대구급 호위함
| 함번    = FFG-818~827
| 함급    =
| 함종 = 호위함
| 운용국  ={{국기|대한민국}}
| 건조    = 대우조선해양/현대중공업
| 진수    =
| 취역    =
| 퇴역    =
| 모항    = 각 해역함대
<!-- 일반 제원 -->
| 기준 배수량        = 2800톤
| 만재 배수량      = 3593톤
| 전장        = 122m
| 선폭    = 14.2m
| 흘수      = 4.15m
| 승조원    = 120명
<!-- 동력 제원 -->
| 동력원 =  롤스로이스 MT30 가스터빈×1 MTU 12V4000 M53B 디젤엔진×4 《CODLOG추진》
| 추진력 =
| 속도        = 최대 30노트
| 항속거리    = 4,500해리(8,100km)
<!-- 무장 -->
| 주포      = 125mm KMk.45 함포
| 부포      =
| 미사일      = 해궁 함대공 유도탄, 해성 대함유도탄, 해룡 함대지 유도탄
| 어뢰      = 청상어
| CIWS      = 20mm 팰렁스
| 기타      =
<!-- 전자장비 -->
| 레이더    = SPS-500K 3차원 대공레이더,SPG-540K 추적레이더
| 전자전    =
| 소나    = SQS-240K 선체소나,SQS-250K 예인소나
<!-- 수송능력 -->
| 함재기    = 링스×1
| 차량    =
| 병력    =
| 기타    =
}}
'''대구급 호위함'''은 [[대한민국]]의 [[호위함]]이다.  


기존의 인천급보다 배수량이 증가해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이랑 비슷한 급이며 성능은 오히려 광개토대왕급보다 뛰어난 편이다. 외형상으론 함교와 선체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마스트 형상도 기존의 인천급과 차이를 보인다.
[[인천급 호위함]]의 후계 함정으로 FFX 사업의 2번째 계획이다. 모두 8척이 배치될 예정이며 해역함대의 신예 전력으로 운용될 것이다.
함명은 [[대구광역시|대구]]로, DD-917 대구의 함명을 승계했다.
==개발 및 건조==
==성능==
===체계 및 전자장비===
===무장===
FFX의 2번 계획으로 기존의 인천급을 개량했지만 이미 사실상 다른 함급으로 분화되면서 무장 면에서도 일부 변화가 있었다. 그중  인천급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함수에 16쉘의 KVLS를 장착해 [[해궁]]을 운용하게 된 것으로 인천급이 RIM-116 램을 이용한 단거리, 단방향 방공만 가능했던 것에서 20km 범위의 방공능력과 전방위 대응성을 보유하게 되었다.


기존의 인천급을 개량했지만 이미 사실상 다른 함급으로 파생형에 가까운 함급으로, 인천급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강력한 방공능력이다. 함수에 16쉘의 한국형수직발사대(KVLS)를 장착해 [[해궁]]을 운용하고 있으며, SM-2나 SM-6 같은 미사일도 충분히 운용이 가능하다고.
거기에 KVLS의 무장으로 추가된 해룡 함대지 유도탄은 해성 대함유도탄의 케니스터를 침범하지 않아 각각의 무장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어 대함 유도탄의 실 탑재 수는 줄었지만 무장능력 면에서는 인천급과 동일한 화력 수준을 지녔다고 볼 수 있고 추가로 홍상어 대잠로켓을 운용하게 되며 대잠 공격력 면에선 인천급보다 발전된 사항이다.


대함 공격 능력은 인천급과 크게 달라진 것 없는 해궁 16쉘을 함 중앙에 우현과 좌현에 8기씩 배치해 놓았고 함포 체계도 인천급과 같은 127mm 함포를 사용한다.
CIWS론 20mm 팰렁스를 운용하고 있어 단순 요격범위는 골키퍼를 사용하는 구축함들에 비해 짧고 저지력도 떨이지지만 공간이 적은 호위함에선 충분한 크기이고 꾸준한 개량이 진행중이란 점에서 체택되었다.


함포 체계도 인천급과같은 127mm 함포를 사용한다.
===선체===
기존의 인천급보다 배수량이 증가해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이랑 비슷한 급이며 성능은 오히려 광개토대왕급보다 뛰어난 편이다. 외형상으론 함교와 선체 디자인이 변경되었고ㅡ 마스트 형상도 기존의 인천급과 차이를 보인다.
==운용==
==파생형==
===푸미폰 아둔아뎃===
===호세 리잘급===
==함정 목록==
{| class="wikitable"
|-
! 함번 !! 함명 !! 진수 !! 취역 !! 건조 !! 소속
|-
| FFG-818 || '''대구''' || 2016년 6월 2일 || 2018년 3월 6일 || 대우조선해양 || 예시
|-
| FFG-819 || '''경남''' || 2019년 6월 21일  || 2020년 예정 || 대우조선해양 || 예시
|-
| FFG-821 || '''서울''' || 2019년 11월 11일 || 예시 || 현대중고업 || 예시
|-
| FFG-822 || '''동해''' || 2020 예정 ||  || 현대중공업 || 예시
|-
| FFG-823 || 미정 || - || - || - || -
|-
| FFG-825 || 미정 || - || - || - || -
|-
| FFG-826 || 미정 || - || - || - || -
|-
| FFG-827 || 미정 || - || - || - || -
|}
[[분류:대한민국 해군]]
[[분류:대한민국 해군]]
[[분류:호위함]]
[[분류:호위함]]

2020년 6월 22일 (월) 12:26 판

틀:군함 정보 대구급 호위함대한민국호위함이다.

인천급 호위함의 후계 함정으로 FFX 사업의 2번째 계획이다. 모두 8척이 배치될 예정이며 해역함대의 신예 전력으로 운용될 것이다. 함명은 대구로, DD-917 대구의 함명을 승계했다.

개발 및 건조

성능

체계 및 전자장비

무장

FFX의 2번 계획으로 기존의 인천급을 개량했지만 이미 사실상 다른 함급으로 분화되면서 무장 면에서도 일부 변화가 있었다. 그중 인천급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함수에 16쉘의 KVLS를 장착해 해궁을 운용하게 된 것으로 인천급이 RIM-116 램을 이용한 단거리, 단방향 방공만 가능했던 것에서 20km 범위의 방공능력과 전방위 대응성을 보유하게 되었다.

거기에 KVLS의 무장으로 추가된 해룡 함대지 유도탄은 해성 대함유도탄의 케니스터를 침범하지 않아 각각의 무장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어 대함 유도탄의 실 탑재 수는 줄었지만 무장능력 면에서는 인천급과 동일한 화력 수준을 지녔다고 볼 수 있고 추가로 홍상어 대잠로켓을 운용하게 되며 대잠 공격력 면에선 인천급보다 발전된 사항이다.

CIWS론 20mm 팰렁스를 운용하고 있어 단순 요격범위는 골키퍼를 사용하는 구축함들에 비해 짧고 저지력도 떨이지지만 공간이 적은 호위함에선 충분한 크기이고 꾸준한 개량이 진행중이란 점에서 체택되었다.

함포 체계도 인천급과같은 127mm 함포를 사용한다.

선체

기존의 인천급보다 배수량이 증가해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이랑 비슷한 급이며 성능은 오히려 광개토대왕급보다 뛰어난 편이다. 외형상으론 함교와 선체 디자인이 변경되었고ㅡ 마스트 형상도 기존의 인천급과 차이를 보인다.

운용

파생형

푸미폰 아둔아뎃

호세 리잘급

함정 목록

함번 함명 진수 취역 건조 소속
FFG-818 대구 2016년 6월 2일 2018년 3월 6일 대우조선해양 예시
FFG-819 경남 2019년 6월 21일 2020년 예정 대우조선해양 예시
FFG-821 서울 2019년 11월 11일 예시 현대중고업 예시
FFG-822 동해 2020 예정 현대중공업 예시
FFG-823 미정 - - - -
FFG-825 미정 - - - -
FFG-826 미정 - - - -
FFG-827 미정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