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산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기호의 의미를 모르는 사람이 볼 수 있어서 주석 추가)
26번째 줄: 26번째 줄:
: 인데, <math>k\equiv 2^m\pmod{2^{m+1}}</math> 또는 <math>k\equiv 0\pmod{2^{m+1}}</math>이므로 둘 중 하나는 영이다. 따라서 <math>N=m+1</math>일 때 명제가 성립하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 인데, <math>k\equiv 2^m\pmod{2^{m+1}}</math> 또는 <math>k\equiv 0\pmod{2^{m+1}}</math>이므로 둘 중 하나는 영이다. 따라서 <math>N=m+1</math>일 때 명제가 성립하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 일반화 ==
== 일반화 ==
추상대수학의 영역으로 가면 합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K''는 군 ''G''의 [[부분군]]이고 <math>a,b\in G</math>라 하자. 이때
[[추상대수학]]의 영역으로 가면 합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 ''K''는 [[(수학)|군]] ''G''의 [[부분군]]이고 <math>a,b\in G</math>라 하자. 이때
: <math>ab^{-1}\in K</math>
: <math>ab^{-1}\in K</math>
이면 <math>a,b</math>는 법 ''K''에 대해 합동이라 하고 <math>a\equiv b\pmod K</math>로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math>\equiv</math>는 동치관계라는 것을 보일 수 있다.
이면 <math>a,b</math>는 법 ''K''에 대해 합동이라 하고 <math>a\equiv b\pmod K</math>로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math>\equiv</math>는 동치관계라는 것을 보일 수 있다.
* ''I''는 [[환 (수학)|환]] ''R''의 [[아이디얼]]이고 <math>a,b\in R</math>라 하자. 이때
: <math>a-b\in I</math>
이면 <math>a,b</math>는 법 ''I''에 대해 합동이라 하고 <math>a\equiv b\pmod I</math>로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math>\equiv</math>는 동치관계라는 것을 보일 수 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아이디얼]]
* [[아이디얼]]

2015년 5월 17일 (일) 03:47 판

틀:학술 관련 정보

개요

모듈러산술(Modular arithmetic)이란, 아래에서 서술할 합동관계에 의해 정수연산하는 방법이다.

합동관계

정수 m에 대해

[math]\displaystyle{ m\mid a-b }[/math][1]

이면 a, b는 법(modulus) m에 대해 합동(congruent)이라 하고,

[math]\displaystyle{ a\equiv b\pmod{m} }[/math]

로 표기한다. 이때 [math]\displaystyle{ \equiv }[/math]동치관계이다. 즉, 임의의 정수 [math]\displaystyle{ a,b,c,m }[/math] (단, [math]\displaystyle{ m\gt 0 }[/math])에 대해

  • [math]\displaystyle{ a\equiv a\pmod{m} }[/math]
  • [math]\displaystyle{ a\equiv b\pmod{m} }[/math]이면 [math]\displaystyle{ b\equiv a\pmod{m} }[/math]
  • [math]\displaystyle{ a\equiv b\pmod{m} }[/math]이고 [math]\displaystyle{ b\equiv c\pmod{m} }[/math]이면 [math]\displaystyle{ a\equiv c\pmod{m} }[/math]

이 성립한다. 한편, 정수 [math]\displaystyle{ a,b,c,d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equiv b\pmod m,\quad c\equiv d\pmod m }[/math]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 [math]\displaystyle{ a+c\equiv b+d\pmod m }[/math]
  • [math]\displaystyle{ ac\equiv bd\pmod m }[/math]

2와 7로만 이루어진 자연수를 큿수라고 하면 N자리이고 [math]\displaystyle{ 2^N }[/math]의 배수인 큿수가 존재함을 모듈러산술로 보일 수 있다.

  • [math]\displaystyle{ N=1 }[/math]이면 2는 한 자리 자연수인 동시에 2의 배수다.
  • [math]\displaystyle{ N=m }[/math]에 대해 명제가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m자리이고 [math]\displaystyle{ 2^m }[/math]의 배수인 큿수가 존재한다. 이 수를 k라고 하자. 그러면
    [math]\displaystyle{ 2\cdot10^{m+1}+k\equiv k\pmod{2^{m+1}} }[/math]
    [math]\displaystyle{ 7\cdot10^{m+1}+k\equiv 2^m+k\pmod{2^{m+1}} }[/math]
인데, [math]\displaystyle{ k\equiv 2^m\pmod{2^{m+1}} }[/math] 또는 [math]\displaystyle{ k\equiv 0\pmod{2^{m+1}} }[/math]이므로 둘 중 하나는 영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N=m+1 }[/math]일 때 명제가 성립하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일반화

추상대수학의 영역으로 가면 합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 K G부분군이고 [math]\displaystyle{ a,b\in G }[/math]라 하자. 이때
[math]\displaystyle{ ab^{-1}\in K }[/math]

이면 [math]\displaystyle{ a,b }[/math]는 법 K에 대해 합동이라 하고 [math]\displaystyle{ a\equiv b\pmod K }[/math]로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math]\displaystyle{ \equiv }[/math]는 동치관계라는 것을 보일 수 있다.

  • I R아이디얼이고 [math]\displaystyle{ a,b\in R }[/math]라 하자. 이때
[math]\displaystyle{ a-b\in I }[/math]

이면 [math]\displaystyle{ a,b }[/math]는 법 I에 대해 합동이라 하고 [math]\displaystyle{ a\equiv b\pmod I }[/math]로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math]\displaystyle{ \equiv }[/math]는 동치관계라는 것을 보일 수 있다.

같이 보기

각주

  1. a-b가 m으로 나누어 떨어진다는 것을 수식으로 표현한 것
  2. 0xrgb (2015.4.19). 퍼즐] 큿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 4.0 국제로 배포됨. 2015년 5월 17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