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2010년대 중후반 핀테크(FinTech, Financial Technology)의 발달로 은행 및 카드 사용 내역을 불러와 가계부에 해당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나타났다. 대부분이 무료 서비스인 한편 이에 따른 개인 정보의 제공은 감수해야 한다.  
2010년대 중후반 핀테크(FinTech, Financial Technology)의 발달로 은행 및 카드 사용 내역을 불러와 가계부에 해당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나타났다. 대부분이 무료 서비스인 한편 이에 따른 개인 정보의 제공은 감수해야 한다.  


절약 외에도 과거의 구매 정보를 참고하여 활용하는 용도로도 도움이 된다. 구매한 물품의 상세한 내역을 기록하면 구매 주기를 확인하거나 필요한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절약 외에도 과거의 구매 정보를 참고하여 활용하는 용도로도 도움이 된다. 물품의 구매처 혹은 구매 주기를 확인하거나 필요한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각주}}
{{각주}}


[[분류:회계학]]
[[분류:회계학]]

2019년 12월 16일 (월) 20:49 판

가정에서 금전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 장부. 돈의 드나듦을 정리하여 소비를 점검하고 지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작성에는 복식부기 혹은 단식부기의 방식이 사용된다.

과거 수기로 적었으나 컴퓨터 및 스마트폰이 보급되며 계산과 입력의 편의상 스프레드 시트(표) 소프트웨어나 온라인 서비스, 앱 등이 사용된다. 한편 디지털 기기의 대중화 이후에도 다이어리 형태로 구성되어 판매되거나 여성지의 연말호에서 증정되곤 한다.

2010년대 중후반 핀테크(FinTech, Financial Technology)의 발달로 은행 및 카드 사용 내역을 불러와 가계부에 해당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나타났다. 대부분이 무료 서비스인 한편 이에 따른 개인 정보의 제공은 감수해야 한다.

절약 외에도 과거의 구매 정보를 참고하여 활용하는 용도로도 도움이 된다. 물품의 구매처 혹은 구매 주기를 확인하거나 필요한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