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왕비'''(王妃, {{llagn|en|Queen Consort}})는 군주제에서 제후국이나 지주국의 군주(왕)의 정실부인을 말했다. 황제국에서는 '''황후'''(皇后)라...)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왕비'''(王妃, {{llagn|en|Queen Consort}})는 군주제에서 제후국이나 지주국의 군주(왕)의 정실부인을 말했다. 황제국에서는 '''황후'''(皇后)라고 표기했으며 정실부인이 아닌 여자는 [[후궁]]이라고 했다. 왕비의 의무는 내명부 관리 및 후계자 양성으로 모든 여성의 모범이 되어야했다. 고로 현대에는 영부인 및 여성관련 기구 장관에 대응되었다고 보면 된다.
'''왕비'''(王妃, {{llang|en|Queen Consort}})는 군주제에서 제후국이나 지주국의 군주(왕)의 정실부인을 말했다. 황제국에서는 '''황후'''(皇后)라고 표기했으며 정실부인이 아닌 여자는 [[후궁]]이라고 했다. 왕비의 의무는 내명부 관리 및 후계자 양성으로 모든 여성의 모범이 되어야했다. 고로 현대에는 영부인 및 여성관련 기구 장관에 대응되었다고 보면 된다.


== 개요 ==
== 개요 ==

2019년 12월 5일 (목) 22:58 판

왕비(王妃, 영어: Queen Consort)는 군주제에서 제후국이나 지주국의 군주(왕)의 정실부인을 말했다. 황제국에서는 황후(皇后)라고 표기했으며 정실부인이 아닌 여자는 후궁이라고 했다. 왕비의 의무는 내명부 관리 및 후계자 양성으로 모든 여성의 모범이 되어야했다. 고로 현대에는 영부인 및 여성관련 기구 장관에 대응되었다고 보면 된다.

개요

표기법

왕후와 왕비

황후와 황비

타 국가의 왕비

역사 속 왕비

동양

서양

가공의 왕비

관련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