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좌: 두 판 사이의 차이

12번째 줄: 12번째 줄:
== 각국의 상황 ==
== 각국의 상황 ==
=== 유럽의 극좌 ===
=== 유럽의 극좌 ===
19세기 산업 혁명으로 인해 노동자 착취로 사회 문제가 되자 [[칼 마르크스]]가 공산주의 개념을 확립 하였다.
19세기 산업 혁명으로 인해 노동자 착취로 사회 문제가 되자 [[칼 마르크스]]가 [[공산주의]] 개념을 확립 하였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냉전]] 시대가 되자 서유럽은 자본주의 진영을 따르고 동유럽은 공산주의 진영을 따랐다.<ref>단, 그리스 같은 경우는 예외</ref>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냉전]] 시대가 되자 서유럽은 자본주의 진영을 따르고 동유럽은 공산주의 진영을 따랐다.<ref>단, 그리스 같은 경우는 예외</ref>


소비에트 연방이 무너지면서 냉전이 종식되자 공산주의는 몰락 했지만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경제가 어려워 지자 포퓰리즘 공약을 내세우는 극좌파 정치인들이 생겨났다.
소비에트 연방이 무너지면서 냉전이 종식되자 공산주의는 몰락 했지만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경제가 어려워 지자 [[포퓰리즘]] 공약을 내세우는 극좌파 정치인들이 생겨났다.


2010년 현재 극좌 성향의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는 자는 대표적으로 [[장 뤽 멜랑숑]], [[제러미 코빈]]이 있다.
2010년 현재 극좌 성향의 정치인으로 알려져있는 자는 대표적으로 [[장 뤽 멜랑숑]], [[제러미 코빈]]이 있다.


=== 미국의 극좌 ===
=== 미국의 극좌 ===

2018년 9월 27일 (목) 01:09 판

극좌(極左)는 극단적으로 좌파(좌익)를 추구하는 사상을 이르는 말로, 극우(極右)의 반대 개념이다.

특징

극좌파들은 대체로 사회주의 성향이 강하다. 그래서 노동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에 대해 중요시 여긴다.

이들 중 상당수는 마르크스주의에 대해 영향을 받은 경우가 많다.

한 때 사회주의 사회를 표방하는 국가인 소비에트 연방이 있었지만 냉전이 끝난 후 붕괴 되자 몰락 했다.[1] 그 후 2008년 경제 공황 이후 경기가 어려워 지자 극우파가 부활 할 때 같이 부활 했다.

각국의 상황

유럽의 극좌

19세기 산업 혁명으로 인해 노동자 착취로 사회 문제가 되자 칼 마르크스공산주의 개념을 확립 하였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냉전 시대가 되자 서유럽은 자본주의 진영을 따르고 동유럽은 공산주의 진영을 따랐다.[2]

소비에트 연방이 무너지면서 냉전이 종식되자 공산주의는 몰락 했지만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경제가 어려워 지자 포퓰리즘 공약을 내세우는 극좌파 정치인들이 생겨났다.

2010년 현재 극좌 성향의 정치인으로 알려져있는 자는 대표적으로 장 뤽 멜랑숑, 제러미 코빈이 있다.

미국의 극좌

대한민국의 극좌

  1. 박노자 같이 사람들 평가에 따라서 소비에트 연방은 사회주의 국가가 아니라고 여긴다고 한다.
  2. 단, 그리스 같은 경우는 예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