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야: 두 판 사이의 차이

(오타 수정)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열대야'''(熱帶夜)는 밤에 온도가 높은 현상을 말한다.


'''열대야'''(熱帶夜)는 밤에 온도가 높은 현상을 말한다. 이 용어 자체는 일본의 기상 수필가 구라시마 아쓰시(倉嶋厚)가 만든 말이다. 원래는 일본 기상청 기준에 야간 최저기온에 의한 열대야가 아니고 하루(0~24시) 중 최저 기온이 25℃ 이상인 날일 때 열대야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기상청은 2009년 7월 24일 열대야의 기준을 저녁 6시~다음날 아침 9시 사이에 최저 기온이 25℃ 이상인 때로 재정의했다. <ref>[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bid=press&mode=view&num=1191120 기상청, 열대야의 기준 재정의]</ref>  
== 설명 ==
이 용어 자체는 일본의 기상 수필가 구라시마 아쓰시(倉嶋厚)가 만든 말이다. 원래는 일본 기상청 기준에 야간 최저기온에 의한 열대야가 아니고 하루(0~24시) 중 최저 기온이 25℃ 이상인 날일 때 열대야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기상청은 2009년 7월 24일 열대야의 기준을 저녁 6시~다음날 아침 9시 사이에 최저 기온이 25℃ 이상인 때로 재정의했다. <ref>[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bid=press&mode=view&num=1191120 기상청, 열대야의 기준 재정의]</ref>  
 
== 문제 ==
이런 열대야로 인해 수면 환경이 뒤틀리고 더위가 지속되어 잠을 설치는 사람이 생기며, 이로 인해 수면 장애와 우울증, 식욕 감퇴가 생길 수 있다. 그렇다고 에어컨을 켜 두고 수면을 취하려 한다면 전기세와 냉방병 그리고 적절치 못한 온도 조절로 여름 감기나 일시적 두통 증세가 올 수 있다. 익숙한 사람은 열대야에도 수면을 취하는 데 문제 없으나, 대부분의 경우 열대야가 발생하면 짧게는 1시간에서 길게는 새벽이 다 지나도록 수면을 취하지 못하므로 주의를 필요로 한다.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2018년 8월 3일 (금) 10:13 판

열대야(熱帶夜)는 밤에 온도가 높은 현상을 말한다.

설명

이 용어 자체는 일본의 기상 수필가 구라시마 아쓰시(倉嶋厚)가 만든 말이다. 원래는 일본 기상청 기준에 야간 최저기온에 의한 열대야가 아니고 하루(0~24시) 중 최저 기온이 25℃ 이상인 날일 때 열대야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기상청은 2009년 7월 24일 열대야의 기준을 저녁 6시~다음날 아침 9시 사이에 최저 기온이 25℃ 이상인 때로 재정의했다. [1]

문제

이런 열대야로 인해 수면 환경이 뒤틀리고 더위가 지속되어 잠을 설치는 사람이 생기며, 이로 인해 수면 장애와 우울증, 식욕 감퇴가 생길 수 있다. 그렇다고 에어컨을 켜 두고 수면을 취하려 한다면 전기세와 냉방병 그리고 적절치 못한 온도 조절로 여름 감기나 일시적 두통 증세가 올 수 있다. 익숙한 사람은 열대야에도 수면을 취하는 데 문제 없으나, 대부분의 경우 열대야가 발생하면 짧게는 1시간에서 길게는 새벽이 다 지나도록 수면을 취하지 못하므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외부 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