츄잉: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9번째 줄: 29번째 줄:


*패널티
*패널티
츄잉 운영진은 게시판 규칙을 어긴 유저에게 패널티를 준다. 패널티는 게시글 삭제, 포인트 삭감, 계정정지등이 있으며 계정정지를 당한 상태에서 또다른 계정을 만들면 다수의 ID를 금지하는 게시판 규칙 6번에 따라 또다서 벤을 먹는다. 그러나 영구정지를 당했을때는 새 계정을 만드는 게 허용된다. 보통 유저들이 받는가장 심한 패널티는 영구정지이지만 그보다 더 심한 패널티인 3년 정지와 블랙리스트 등록이 있으며 정말 악질 유저가 아닌 이상 받지 않는다. 자신이 억울하게 패널티를 받았다고 생각하면 정지/패널티 문의 게시판에 문의할 수 있다. 그외에도 게시판 전체가 규칙을 어겼을때 게시판 익명화, 경험치 삭감등 게시판 전체가 패널티를 받기도 한다.
츄잉 운영진은 게시판 규칙을 어긴 유저에게 패널티를 준다. 패널티는 게시글 삭제, 포인트 삭감, 계정정지등이 있으며 계정정지를 당한 상태에서 또다른 계정을 만들면 다수의 ID를 금지하는 게시판 규칙 6번에 따라 또다서 벤을 먹는다. 그러나 영구정지를 당했을때는 새 계정을 만드는 게 허용된다. 보통 유저들이 받는 가장 심한 패널티는 영구정지이지만 그보다 더 심한 패널티인 3년 정지와 블랙리스트 등록이 있으며 정말 악질 유저가 아닌 이상 받지 않는다. 자신이 억울하게 패널티를 받았다고 생각하면 정지/패널티 문의 게시판에 문의할 수 있다. 그외에도 게시판 전체가 규칙을 어겼을때 게시판 익명화, 경험치 삭감등 게시판 전체가 패널티를 받기도 한다.


==용어==
==용어==

2015년 4월 19일 (일) 13:18 판

개요

http://m.chuing.net/

국내의 서브컬쳐 커뮤니티 사이트이며 운영자인 츄잉과 츄잉을 도와 일하는 유저들로 이루어진 운영진이 운영하고 있다. 운영진은 크게 컨텐팀, 캐릭팀, 디비팀, 도움팀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들은 HELIX라는 해당 팀원만 들어갈 수 있는 게시판에서 일하고 있으며 그외에도 게시판 관리자 정도는 따로 있는거 같다.
한때 츄잉은 국내에서 제일 큰 번역사이트였으나 저작권에 크게 데이고 난 이후 중소형 커뮤니티가 되었다. 서브컬쳐 관련 사이트니 만큼 유저 대부분은 오타쿠이며 오타쿠가 아니라고 부정해도 유저들에게 츄잉에 가입한 순간 부터 이미 오타쿠라고 반박당한다.(...)

역사

처음에는 만화를 번역하여 네이버 블로그 츄츄의 만화세상에 올렸으나 2009년에 사이트 츄츄만화세상을 만들어 그곳에 만화를 올리기 시작했다. 당시 애니 만화에 관련된 정보를 올리던 사이트 intodb가 운영비 문제로 운영을 접으면서 자신들의 데이터를 츄잉에 넘겼고 이 데이터는 현 츄잉의 애니DB의 시초가 된다.


네이버 블로그를 그만두고 츄잉을 운영하기 시작한 츄잉은 츄츄만화팀이란 역식자팀을 만들어 원피스, 나루토, 블리치와 같은 인기만화를 불법으로 번역해 올려 국내 최대의 번역 사이트가 된다. 그러나 2010년 저작권법 위반으로 사이트가 공중분해 되자 츄잉은 츄츄만화팀을 해체하고 직접 만화를 업로드 하지 않고 번역본 링크를 올리는 방식으로 바꾸는 동시에 사이트를 대대적으로 수정하여 츄잉을 인툽을 거쳐 커뮤니티로 부활시킨다.


2011년 대원씨아이에게 저작권법 위반으로 2차로 고소당했고 서버가 압수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때 운영자가 한 말이 참[[1]] 가관이다. 결국 또 한번 사이트가 공중분해 되었다. 하지만 2012년 다시 부활하였다. 1심에서 징역 6개월 2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가 2015년 3월 대법원 판결에서 최종적으로 무죄를 선고 받았다.[[2]]

특징

  • 레벨제

츄잉 내에서 게시글이나 댓글을 달면 경험치를 주며 일정량의 경험치를 쌓으면 레벨이 오른다. 레벨이 5가 되면 레어캐릭터를 사거나 공지에 글을 올릴 수 있으며 레벨 10이 되면 투표글을 올릴 수 있다. 그외에도 운영진을 모집할때 레벨 제한을 걸기도 한다. 게시판마다 주는 경험치가 다른데 가장 많이 주는 곳은 유머게다. 레벨을 올리고 싶은 사람은 유머게에 가서 댓글을 달고 오자.

  • 포인트제

츄잉에서 활동을 하는 유저는 츄잉에서 사용되는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포인트를 얻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출석체크이며 그외에도 자신의 서브를 팔거나 캐릭터 던전과 같은 츄잉온라인의 시스템을 이용하면 벌 수 있다. 이렇게 벌어들은 포인트는 서브를 사거나 닉네임을 바꿀 때 등에 쓰인다.

  • 츄잉온라인

츄잉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 및 작품들의 DB를 수집하고 활용하며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이며 줄여서 츄온이라 불린다. 츄잉의 가장 큰 특징이며 매우 중독성이 강해 하라는 활동은 안하고 츄온만 즐기는 사람도 보인다.(...) [[3]]참고

  • 서브

서브란 츄잉 내에서 사용하는 캐릭터 카드를 말한다. 서브는 크게 미연시 캐릭터, 레어 캐릭터, 일반캐릭터, 유니크 캐릭터로 나뉘며 각각의 등급와 랭킹을 가지고 있다. 서브들은 츄온의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얻을 수 있으며 유니크는 예외로 100만 포인트를 지불하고 일정 확률로 뽑을 수 있다. 서브들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4]]

  • 패널티

츄잉 운영진은 게시판 규칙을 어긴 유저에게 패널티를 준다. 패널티는 게시글 삭제, 포인트 삭감, 계정정지등이 있으며 계정정지를 당한 상태에서 또다른 계정을 만들면 다수의 ID를 금지하는 게시판 규칙 6번에 따라 또다서 벤을 먹는다. 그러나 영구정지를 당했을때는 새 계정을 만드는 게 허용된다. 보통 유저들이 받는 가장 심한 패널티는 영구정지이지만 그보다 더 심한 패널티인 3년 정지와 블랙리스트 등록이 있으며 정말 악질 유저가 아닌 이상 받지 않는다. 자신이 억울하게 패널티를 받았다고 생각하면 정지/패널티 문의 게시판에 문의할 수 있다. 그외에도 게시판 전체가 규칙을 어겼을때 게시판 익명화, 경험치 삭감등 게시판 전체가 패널티를 받기도 한다.

용어

  • 9번검

운영자의 판단 아래 계정 정지 패널티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게시판 규칙 9번 "기타 운영자에 판단에 따라 게시물 삭제 혹은 아이디 정지가 될 수 있습니다. " 에서 생겨난 별명이다.

  • 고려하겠습니다.

무언가를 건의하면 운영자가 항상 하는 대답인 고려하겠습니다에서 따온 말이며 간간히 운영자를 디스할때 유저들이 사용하다가 불타는루피라는 유저가 츄자게에 패러디 만화를 올리자 모든 유저들이 만화를 보고 뿜었으며 그때부터 고려드립이 본격적으로 흥하기 시작했고 츄잉=고려인이란 공식이 성립되었다. 여담으로 패러디만화를 올린 유저는 3년 정지를 먹었다가 츄잉한테 빌어 3일 정지로 바꿨다 카더라.

  • 츄스터콜

게시물이 대규모로 삭제되는 걸 의미한다. 만화 원피스에 등장하는 작전 버스터콜에서 따왔으며 주로 게시판 전체가 폭주하거나 누군가 도배를 했을때 발동한다.

사건사고

  • 파닥몬 사건

파닥몬이라는 한 유저가 게시판 규칙을 위반하여 여러번 벤을 먹고 계속 계정을 새로 파다가 위인파닥몬이란 닉네임을 달고 친목게에서 츄잉을 디스하는 삼행시를 지었다. 그러자 츄잉은 파닥몬을 디스하는 삼행시를 지었으며 이를 본 유저들은 폭소하였다.[[5]]결국 파닥몬은 또 벤을 먹었으며 이후에도 계속 활동하다 군대에 간 후 2015년 현재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이 일은 츄잉 역사에 길이 남을 사건이 되었다.

  • 대병신시대

2013년 원게에서 1월에 시작해 4월에 끝난 별의별 일이 일어난 시기이다. 원게의 악질 유저 몇몇이 다른 게시판에 도배를 하거나 출석체크 버그를 통해 포인트를 벌어들이는 등 수많은 사건이 이 시기에 일어났으며 급기야는 공지에 야동이 올라오는 일이 벌어졌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6]] 참고.

  • 기부금 사건

사이트가 거대해졌을 무렵에 사이트 유지비로 힘들다며 유저들에게 기부금을 요구한 사건이다. 그러나 기부금 사용 내역은 비공개로 돌리고 공개를 요구하실 분은 입금하지 말아달라는 부탁(?)을 했다. 당시에 츄잉 유저나 외부 커뮤니티에서 말이 많았으며 결국 기부금은 취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