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승: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학술}}"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예를들어" 문자열을 "예를 들어" 문자열로)
5번째 줄: 5번째 줄:
계승이라는 엄연한 한국어 단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팩토리얼"이나 "팩"이라고 읽히는 수학 개념. 어떤 자연수 \(n\)에 대해, \(n\)의 '''계승'''은 1부터 \(n\)까지의 모든 자연수를 곱한 값이며, 기호로는 느낌표를 붙여 \(n!\)로 표기한다. 즉, <math>n!=1\times2\times3\times\cdots\times n</math>. 미지수 앞에 계수가 있을 경우 [[괄호]] 표기를 잘 해줘야 하는데, \(2n!\)이라는 것이 있으면 이게 <math>2\times n!</math>인지 <math>\left(2n!\right)</math>인지 헷갈리기 때문. 일단 괄호가 없다면 전자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계승이라는 엄연한 한국어 단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팩토리얼"이나 "팩"이라고 읽히는 수학 개념. 어떤 자연수 \(n\)에 대해, \(n\)의 '''계승'''은 1부터 \(n\)까지의 모든 자연수를 곱한 값이며, 기호로는 느낌표를 붙여 \(n!\)로 표기한다. 즉, <math>n!=1\times2\times3\times\cdots\times n</math>. 미지수 앞에 계수가 있을 경우 [[괄호]] 표기를 잘 해줘야 하는데, \(2n!\)이라는 것이 있으면 이게 <math>2\times n!</math>인지 <math>\left(2n!\right)</math>인지 헷갈리기 때문. 일단 괄호가 없다면 전자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일반화를 너무나도 좋아하시는 [[수학자]]들에 의해 \(n\)이 [[자연수]]가 아닐 경우에 대해서도 확장이 되어 있다. 고등학교에서도 배우는 것은 바로 \(0!=1\). 1부터 0까지 곱한 것이 어떻게 1이 되냐고 물을 수 있지만, 아무 것도 곱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1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a^0=1\) 처럼). 그리고 \(0!=1\)으로 정의하면 [[조합론]]에서 몇몇 정의가 자연스러워 진다. 대표적으로 [[순열]]이나 [[조합]]. 예를들어, \(n\)개 중에서 \(n\)개를 순서에 상관없이 뽑는 방법은 당연히 1개이다. 이를 [[조합]] 공식으로 쓰면 <math>\binom{n}{n}=\frac{n!}{n!0!}=\frac{1}{0!}=1</math>이므로, \(0!=1\)로 정의하면 자연스러워 진다. 0도 [[자연수]]도 아닌 경우에는 [[감마 함수]]를 이용하며, 자세한 것은 항목을 참조.
일반화를 너무나도 좋아하시는 [[수학자]]들에 의해 \(n\)이 [[자연수]]가 아닐 경우에 대해서도 확장이 되어 있다. 고등학교에서도 배우는 것은 바로 \(0!=1\). 1부터 0까지 곱한 것이 어떻게 1이 되냐고 물을 수 있지만, 아무 것도 곱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1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a^0=1\) 처럼). 그리고 \(0!=1\)으로 정의하면 [[조합론]]에서 몇몇 정의가 자연스러워 진다. 대표적으로 [[순열]]이나 [[조합]]. 예를 들어, \(n\)개 중에서 \(n\)개를 순서에 상관없이 뽑는 방법은 당연히 1개이다. 이를 [[조합]] 공식으로 쓰면 <math>\binom{n}{n}=\frac{n!}{n!0!}=\frac{1}{0!}=1</math>이므로, \(0!=1\)로 정의하면 자연스러워 진다. 0도 [[자연수]]도 아닌 경우에는 [[감마 함수]]를 이용하며, 자세한 것은 항목을 참조.


[[분류:산술]][[분류:정수론]]
[[분류:산술]][[분류:정수론]]

2017년 11월 21일 (화) 21:15 판


階乘, Factorial, 팩토리얼, !

정의

계승이라는 엄연한 한국어 단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팩토리얼"이나 "팩"이라고 읽히는 수학 개념. 어떤 자연수 \(n\)에 대해, \(n\)의 계승은 1부터 \(n\)까지의 모든 자연수를 곱한 값이며, 기호로는 느낌표를 붙여 \(n!\)로 표기한다. 즉, [math]\displaystyle{ n!=1\times2\times3\times\cdots\times n }[/math]. 미지수 앞에 계수가 있을 경우 괄호 표기를 잘 해줘야 하는데, \(2n!\)이라는 것이 있으면 이게 [math]\displaystyle{ 2\times n! }[/math]인지 [math]\displaystyle{ \left(2n!\right) }[/math]인지 헷갈리기 때문. 일단 괄호가 없다면 전자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일반화를 너무나도 좋아하시는 수학자들에 의해 \(n\)이 자연수가 아닐 경우에 대해서도 확장이 되어 있다. 고등학교에서도 배우는 것은 바로 \(0!=1\). 1부터 0까지 곱한 것이 어떻게 1이 되냐고 물을 수 있지만, 아무 것도 곱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1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a^0=1\) 처럼). 그리고 \(0!=1\)으로 정의하면 조합론에서 몇몇 정의가 자연스러워 진다. 대표적으로 순열이나 조합. 예를 들어, \(n\)개 중에서 \(n\)개를 순서에 상관없이 뽑는 방법은 당연히 1개이다. 이를 조합 공식으로 쓰면 [math]\displaystyle{ \binom{n}{n}=\frac{n!}{n!0!}=\frac{1}{0!}=1 }[/math]이므로, \(0!=1\)로 정의하면 자연스러워 진다. 0도 자연수도 아닌 경우에는 감마 함수를 이용하며, 자세한 것은 항목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