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는 물리적인 이동통신망을 보유하지 않고 이동 통신망 사업자로부터 임차해 자사 브랜드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다. 대한민국에서는 2004년 에넥스텔레콤이 KT프리텔과 제휴하여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보급되었으며, 2012년 6월 24일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위원회]]의 대국민 공모전 결과에 따라 '''알뜰폰'''이라는 애칭(혹은 통칭)이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저자= 강희종|제목= MVNO 서비스 새 명칭은 `알뜰폰`|url=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2062502010531699001|뉴스= [[디지털타임스]]|날짜= 2012-06-24|확인날짜= 2016-02-21}}</ref>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는 물리적인 이동통신망을 보유하지 않고 이동 통신망 사업자로부터 임차해 자사 브랜드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다. 대한민국에서는 1999년 KT가 별정이동통신사업자 자격으로 KTF 재판매 사업을 시작한 것에서 비롯한다.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보급되었으며, 2012년 6월 24일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위원회]]의 대국민 공모전 결과에 따라 '''알뜰폰'''이라는 애칭(혹은 통칭)이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저자= 강희종|제목= MVNO 서비스 새 명칭은 `알뜰폰`|url=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2062502010531699001|뉴스= [[디지털타임스]]|날짜= 2012-06-24|확인날짜= 2016-02-21}}</ref>


방송통신위원회의 정책으로 MNO(통신 3사)에서 저렴하게 망을 대여하고 있으며, 이를 원동력으로 저렴한 무기를 내세운다. 0원 요금제는 약과고, 2017년 초부터 [[헬로모바일]]과 [[미디어로그]](유모비)를 중심으로 LTE 무제한 요금제를 3만원대에 뿌리는 행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24개월 제한이라는 흠이 있지만<ref>유모비 행사 초기에 탄 사람들은 평생 할인을 받는다.</ref>, 통신 3사의 절반에 불과한 요금이기 때문에 알음알음 사람이 모이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정책으로 MNO(통신 3사)에서 저렴하게 망을 대여하고 있으며, 이를 원동력으로 저렴한 무기를 내세운다. 0원 요금제는 약과고, 2017년 초부터 [[헬로모바일]]과 [[미디어로그]](유모비)를 중심으로 LTE 무제한 요금제를 3만원대에 뿌리는 행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24개월 제한이라는 흠이 있지만<ref>유모비 행사 초기에 탄 사람들은 평생 할인을 받는다.</ref>, 통신 3사의 절반에 불과한 요금이기 때문에 알음알음 사람이 모이고 있다.

2017년 8월 21일 (월) 08:30 판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는 물리적인 이동통신망을 보유하지 않고 이동 통신망 사업자로부터 임차해 자사 브랜드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다. 대한민국에서는 1999년 KT가 별정이동통신사업자 자격으로 KTF 재판매 사업을 시작한 것에서 비롯한다.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보급되었으며, 2012년 6월 24일 방송통신위원회의 대국민 공모전 결과에 따라 알뜰폰이라는 애칭(혹은 통칭)이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1]

방송통신위원회의 정책으로 MNO(통신 3사)에서 저렴하게 망을 대여하고 있으며, 이를 원동력으로 저렴한 무기를 내세운다. 0원 요금제는 약과고, 2017년 초부터 헬로모바일미디어로그(유모비)를 중심으로 LTE 무제한 요금제를 3만원대에 뿌리는 행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24개월 제한이라는 흠이 있지만[2], 통신 3사의 절반에 불과한 요금이기 때문에 알음알음 사람이 모이고 있다.

종류

가상 이동 통신망의 사업 형태로는, 이동통신망만 임차하여 서비스하는 형태와 망과 함께 과금 체계까지 모두 임차하여 서비스하는 형태가 있다. SK텔레콤의 이동통신망을 임차하는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는 모두 이동통신망만 임차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KTLG유플러스의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 가운데 과금 체계까지 임차하는 경우 Msafer 명의도용방지서비스에서 이동통신망 제공 업체인 KT와 LG유플러스로 조회된다.

대한민국의 MVNO 업체

  • 가나다 - ABC 순
이름 요금형태 SKT KT LG U+ 참조
더블v 후불
마이월드 선불
메리큐 후불
모빙 선·후불 우체국 취급
세종텔레콤 선·후불
아이즈비전 선·후불 우체국 취급
앤텔레콤 선불
에넥스텔레콤 선·후불 우체국 취급
에버그린모바일 선·후불 우체국 취급
에코모바일 후불 2015년 7월 31일 서비스 종료
에스원 후불
이마트 모바일 알뜰폰 선·후불
착한통신 후불
티브로드 후불
한국케이블텔레콤(KCT·티플러스) 선·후불
헬로모바일 후불 신협 판매
홈플러스모바일 후불 서비스 종료
FreeT (스페이스네트) 선·후불 우체국 취급
flash모바일 후불
KT IS M MOBILE 선·후불
SK텔링크 선후불
U+알뜰모바일 (미디어로그) 후불
Well 선·후불
WMVNO 후불

참조

각주

  1. 강희종. “MVNO 서비스 새 명칭은 `알뜰폰`”, 《디지털타임스》, 2012년 6월 24일 작성. 2016년 2월 21일 확인.
  2. 유모비 행사 초기에 탄 사람들은 평생 할인을 받는다.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 문서 15827671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