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페세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스페인을(를)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스페인어]] : Peseta Española (페세타 에스파뇰라) // [[카탈루냐어]] : Pesseta Espanyola
[[스페인어]] : Peseta Española (페세타 에스파뇰라) / [[카탈루냐어]] : Pesseta Espanyola (페세타 에스파뇰라)


== 개요 ==
== 개요 ==
[[스페인]]의 옛 통화로 1869년에 도입되어 2002년 [[유로]]전면전환으로 폐기되기까지 132년간 존재했다. [[프랑스]]와의 중간에 끼어있는 [[안도라]]는 자국통화가 없어서 [[프랑스 프랑]]과 함께 이 통화를 자국통화로 취급했었다. 중앙은행은 스페인 은행(Banco de España)으로 1782년에 마드리드에서 출범했다.
[[스페인]]의 옛 통화로 1869년에 도입되어 2002년 [[유로]]전환으로 폐기되기까지 132년간 존재했다. [[프랑스]]와의 중간에 끼어있는 [[안도라]]는 자국통화가 없어서 [[프랑스 프랑]]과 함께 이 통화를 자국통화로 취급했었다. 중앙은행은 스페인 은행(Banco de España)으로 1782년에 마드리드에서 출범했다.


[[ISO 4217]]코드는 [[ESP]]<s>에스퍼 통화</s>, 기호는 ₧(기종에 따라 Pts로 뜰 수도 있다. 이때는 P에 가로줄 1개라 생각하자.)<ref>P에 가로줄 2줄이면 [[필리핀 페소]]의 기호이다.</ref>이다. 다만 타이핑 등으로는 Pt(s), Pta(s)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잦았고, 실제 동전등에 찍히는 단위도 이쪽을 사용했었다. 게다가 일부를 제외한 유니코드 상으로도 이것이 대신 출력될 정도(...) 보조단위로 센티모가 있었지만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983년 폐지되었다. 구 보조단위 중에서는 Real([[레알]])도 있어서 한때는 4레알/₧의 표기를 가진 동전도 나왔었고, 실생활에서도 [[미국 달러]]의 쿼터처럼 호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ISO 4217]]코드는 [[ESP]]<s>에스퍼 통화</s>, 기호는 ₧(기종에 따라 Pts로 뜰 수도 있다. 이때는 P에 가로줄 1개라 생각하자.)<ref>P에 가로줄 2줄이면 [[필리핀 페소]]의 기호이다.</ref>이다. 다만 타이핑 등으로는 Pt(s), Pta(s)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잦았고, 실제 동전등에 찍히는 단위도 이쪽을 사용했었다. 게다가 일부를 제외한 유니코드 상으로도 이것이 대신 출력될 정도(...) 보조단위로 센티모가 있었지만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983년 폐지되었다. 구 보조단위 중에서는 Real([[레알]])도 있어서 한때는 4레알/₧의 표기를 가진 동전도 나왔었고, 실생활에서도 [[미국 달러]]의 쿼터처럼 호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8번째 줄: 8번째 줄:
1999년 유로화 첫 출범직전의 인플레이션은 1.4%였다. 유로와의 교환비는 166.386₧/€, 한국 원 환율은 2015년 1월 기준 7.45원/₧, 역대 최대값은 9원/₧ 가량이다. 페세타화 지폐는 1939년 이후에 발행된 거라면 모두 2020년 연말까지 직접방문 혹은 추심을 통해 교환할 수 있다.
1999년 유로화 첫 출범직전의 인플레이션은 1.4%였다. 유로와의 교환비는 166.386₧/€, 한국 원 환율은 2015년 1월 기준 7.45원/₧, 역대 최대값은 9원/₧ 가량이다. 페세타화 지폐는 1939년 이후에 발행된 거라면 모두 2020년 연말까지 직접방문 혹은 추심을 통해 교환할 수 있다.


== 유로 이전권 (가제) ==
== 현찰 시리즈 ==
* 지폐가 처음 발행된 날짜를 년월일까지 정확히 써넣어놓는 것이 특징이다.
* 지폐가 처음 발행된 날짜를 년월일까지 정확히 써넣어놓는 것이 특징이다.
* 표기시 포르투갈과 마찬가지로 (페세타)₧(센티모)의 방식을 사용한다. 예로 100₧25.
* 표기시 포르투갈과 마찬가지로 (페세타)₧(센티모)의 방식을 사용한다. 예로 100₧25.
(표1)
=== 유로 이전권 (가제) ===
(표2)
{| class="wikitable"
(표3)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Espana Peseta Pre-EURO
(표4)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 [[에르난 코르테스]]
<s>멕시코인들이 이 지폐를 싫어합니다</s>
| style="text-align: center;" | [[프란시스코 피사로]]
<s>페루인들이 이 지폐를 싫어합니다</s>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00₧
| style="text-align: center;" | 호세 셀레스티노 무티스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 style="text-align: center;" | [[크리스토발 콜론]]
지구본상의 대서양과 산타마리아호 선단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
| style="text-align: center;" |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 style="text-align: center;" | 호르헤 후안 이 산타실리아
(수학자)
|}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Espana Peseta Pre2-EURO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0₧
| style="text-align: center;" | 레오폴도 알라스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로살리아 데 카스트로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 베니토 페레스 갈도스
| style="text-align: center;" | [[카나리아 제도]] 지도와 험준한 내부의 자연 모습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00₧
| style="text-align: center;"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 style="text-align: center;" |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군복 스타일
| style="text-align: center;" | 마드리드 왕궁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
| style="text-align: center;" |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정장 스타일
| style="text-align: center;" | [[펠리페 6세]] 왕자<ref>지금은 국왕이지만 당시엔 왕자였다. 몰론 젊은 모습이 들어가 있다.</ref>
세비야 대성당(추측)
|}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Espana Peseta Pre3-EURO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마누엘 데 팔라
| style="text-align: center;" | [[헤네랄리페]](Generalife) 여름궁전
([[그라나다]] [[알함브라 궁전]] 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Espana Peseta Pre4-EURO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5₧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
(신형)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신형)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각주}}
{{각주}}

2016년 6월 29일 (수) 12:48 판

스페인어 : Peseta Española (페세타 에스파뇰라) / 카탈루냐어 : Pesseta Espanyola (페세타 에스파뇰라)

개요

스페인의 옛 통화로 1869년에 도입되어 2002년 유로전환으로 폐기되기까지 132년간 존재했다. 프랑스와의 중간에 끼어있는 안도라는 자국통화가 없어서 프랑스 프랑과 함께 이 통화를 자국통화로 취급했었다. 중앙은행은 스페인 은행(Banco de España)으로 1782년에 마드리드에서 출범했다.

ISO 4217코드는 ESP에스퍼 통화, 기호는 ₧(기종에 따라 Pts로 뜰 수도 있다. 이때는 P에 가로줄 1개라 생각하자.)[1]이다. 다만 타이핑 등으로는 Pt(s), Pta(s)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잦았고, 실제 동전등에 찍히는 단위도 이쪽을 사용했었다. 게다가 일부를 제외한 유니코드 상으로도 이것이 대신 출력될 정도(...) 보조단위로 센티모가 있었지만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1983년 폐지되었다. 구 보조단위 중에서는 Real(레알)도 있어서 한때는 4레알/₧의 표기를 가진 동전도 나왔었고, 실생활에서도 미국 달러의 쿼터처럼 호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1999년 유로화 첫 출범직전의 인플레이션은 1.4%였다. 유로와의 교환비는 166.386₧/€, 한국 원 환율은 2015년 1월 기준 7.45원/₧, 역대 최대값은 9원/₧ 가량이다. 페세타화 지폐는 1939년 이후에 발행된 거라면 모두 2020년 연말까지 직접방문 혹은 추심을 통해 교환할 수 있다.

현찰 시리즈

  • 지폐가 처음 발행된 날짜를 년월일까지 정확히 써넣어놓는 것이 특징이다.
  • 표기시 포르투갈과 마찬가지로 (페세타)₧(센티모)의 방식을 사용한다. 예로 100₧25.

유로 이전권 (가제)

Espana Peseta Pre-EURO
모습 앞면 뒷면
1,000₧ 에르난 코르테스

멕시코인들이 이 지폐를 싫어합니다

프란시스코 피사로

페루인들이 이 지폐를 싫어합니다

2,000₧ 호세 셀레스티노 무티스
5,000₧ 크리스토발 콜론

지구본상의 대서양과 산타마리아호 선단

10,000₧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호르헤 후안 이 산타실리아

(수학자)

Espana Peseta Pre2-EURO
모습 앞면 뒷면
200₧ 레오폴도 알라스
500₧ 로살리아 데 카스트로
1,000₧ 베니토 페레스 갈도스 카나리아 제도 지도와 험준한 내부의 자연 모습
2,000₧ 후안 라몬 히메네스
5,000₧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군복 스타일

마드리드 왕궁
10,000₧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정장 스타일

펠리페 6세 왕자[2]

세비야 대성당(추측)

Espana Peseta Pre3-EURO
모습 앞면 뒷면
100₧ 마누엘 데 팔라 헤네랄리페(Generalife) 여름궁전

(그라나다 알함브라 궁전 내)

500₧
1,000₧
5,000₧
Espana Peseta Pre4-EURO
모습 앞면 뒷면
1₧
5₧
25₧
100₧
100₧

(신형)

500₧
1,000₧
1,000₧

(신형)

각주

  1. P에 가로줄 2줄이면 필리핀 페소의 기호이다.
  2. 지금은 국왕이지만 당시엔 왕자였다. 몰론 젊은 모습이 들어가 있다.

틀: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