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지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성소수자}}{{트랜스젠더}}
{{성소수자}}{{트랜스젠더}}
== 개요 ==
 
'''성 지정'''(性指定, sex assignment)이란 태어난 아기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 어디에 속하는지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성 지정'''(性指定, sex assignment)이란 태어난 아기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 어디에 속하는지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9번째 줄: 9번째 줄:
그래서 지금은 외성기가 남녀 어느쪽인지 모호한 사람도 대체로 고환이나 난소, 성염색체에 따라 성별이 결정되고, 남성 호르몬 수용체가 완전히 망가진 사람은 거의 대부분 여성의 성 정체성을 갖게 되므로 여성으로 지정된다.
그래서 지금은 외성기가 남녀 어느쪽인지 모호한 사람도 대체로 고환이나 난소, 성염색체에 따라 성별이 결정되고, 남성 호르몬 수용체가 완전히 망가진 사람은 거의 대부분 여성의 성 정체성을 갖게 되므로 여성으로 지정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아이가 아마 어떤 [[성정체성]]을 형성할 확률이 높은지 판정하기 어려운 질병도 있기 때문에 쉽다고만은 할 수 없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아이가 어떤 [[성정체성]]을 형성할 확률이 높은지 판정하기 어려운 질병도 있기 때문에 쉽다고만은 할 수 없다.


[[트랜스젠더]]들에게는 '출생 당시의 성'을 가리킬때 '지정된 성'(지정받은 성별)으로 호칭하는 것이 [[정치적 올바름|올바른 표현]]이다.
[[트랜스젠더]]들에게는 '출생 당시의 성'을 가리킬때 '지정된 성'(지정받은 성별)으로 호칭하는 것이 [[정치적 올바름|올바른 표현]]이다.

2016년 5월 2일 (월) 17:17 판

성 지정(性指定, sex assignment)이란 태어난 아기의 성별이 남성여성 어디에 속하는지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인터섹스나 성분화에 문제가 생긴 경우가 아니면 누구나 간단하게 아이의 성별을 정할 수 있다.

1960년대부터 서구에서는 성 정체성이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어서 음경음핵에 가까울 정도로 작거나 기능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변형되었다는 이유로 강제로 거세하고 여성으로 성별을 지정하였으나 이후 태아기에 성 호르몬에 노출되면서 남성적/여성적인 취향과 성적 지향이 결정되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설령 성기를 제거당하고 반대 성별로 자라도 출생 당시의 성대로 성 정체성을 형성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그래서 지금은 외성기가 남녀 어느쪽인지 모호한 사람도 대체로 고환이나 난소, 성염색체에 따라 성별이 결정되고, 남성 호르몬 수용체가 완전히 망가진 사람은 거의 대부분 여성의 성 정체성을 갖게 되므로 여성으로 지정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아이가 어떤 성정체성을 형성할 확률이 높은지 판정하기 어려운 질병도 있기 때문에 쉽다고만은 할 수 없다.

트랜스젠더들에게는 '출생 당시의 성'을 가리킬때 '지정된 성'(지정받은 성별)으로 호칭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