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민정음: 두 판 사이의 차이

(→‎용례: 숲튽훈 추가)
24번째 줄: 24번째 줄:


* 金→숲 (ex ; 김광현→숲광현)
* 金→숲 (ex ; 김광현→숲광현)
* 長→튽 (ex ; 김장훈→숲튽훈)


* 과→파 (ex ; 광주광역시→팡주팡역시)
* 과→파 (ex ; 광주광역시→팡주팡역시)

2016년 1월 7일 (목) 19:40 판

野民正音

개요

디시인사이드 국내야구 갤러리에서 코갤러와 야갤러국공합작(?)으로 만들어진 인터넷 문체. 만들어진 원리는 2차원상의 위상기하학에 가깝다. 획 방향과 모양이 비슷한 다른 한글 자모나 음절을 기존 음절과 치환해 사용하는 문체.

야구게임인 마구마구에서 해상도와 폰트 문제로 강귀태 선수의 이름이 강커태로 보이는 문제가 굳이 야민정음의 시초라면 시초. 이후로 넷상에서 강귀태의 별명이 강커태 또는 커태로 쓰이는 정도의 미미한 변형으로만 쓰였고 야민정음이라는 이름도 붙지 않았으나 2013년경 이러한 바리에이션이 정치떡밥과 맞물리며 '박ㄹ혜', '이띵박' 등의 용례가 추가된 것을 계기로 여기저기에 널리 쓰이며 용법이 확장되었다. 한참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야민정음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자 노잼이 되어 많이 쓰이던 최초의 몇 가지 용례만이 살아남아 활용되고 있다.

야민정음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위해, 야민정음 번역기 등의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있다. 한번에 제대로 번역되지 않으면 이상하다 싶은 부분만 떼어다 한번 더 번역하면 된다.

용례

주로 사용되는 용례는 아래와 같다.

  • 근→ㄹ (ex ; 박근혜→박ㄹ혜)
  • 명→띵 (ex ; 이명박→이띵박)
  • 대→머 (ex ; 대머리→머대리)
  • 비→네 (ex ; 비비빅→네네넥)
  • 멍→댕 (ex ; 멍멍이→댕댕이)
  • 유→윾 (ex ; 유재석→윾재석)
  • 金→숲 (ex ; 김광현→숲광현)
  • 長→튽 (ex ; 김장훈→숲튽훈)
  • 과→파 (ex ; 광주광역시→팡주팡역시)
  • 면→띤 (ex ; 비빔면→네넴띤)
  • 구→ㅋ (ex ; 국내야구→국내야ㅋ)
  • 고→ㅍ (ex ; 고아라→ㅍ아라)
  • 귀→커 (ex ; 귀엽다→커엽다)
  • 의→익 (ex ; 김유식→숲윾싀)
  • 왕→앟 (ex ; 유희왕→윾힉앟)

일반 용례

아래 문장은 일반적인 수준의 야민정음 용례이다. 단숨에 읽어내려갈 수 있다면 당신도 어색하지 않게 구사할 수 있을지도?

  • 팡주일ㅍ 야ㅋ선수 이머형이 네네넥을 댁으며 댕댕이와 산책중 [1]
  • 머한민국 머통령 박ㄹ혜의 아칀싀사 메늒는 팡주팡역시 판팡띵물 네넴띤 [2]

이게 무슨 소리야!

  1. 광주일고 야구선수 이대형이 비비빅을 먹으며 멍멍이와 산책중
  2. 대한민국 대통령 박근혜의 아침식사 메뉴는 광주광역시 관광명물 비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