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고양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정보
{{생물 분류 정보
|이름    = 모래고양이
|이름    = 모래고양이
|그림    = [[파일:Felis margarita 01.jpg|섬네일]]
|그림    = Felis margarita 01.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학명    = ''Felis margarita''
|학명    = ''Felis margarita''
40번째 줄: 40번째 줄:
  {{생물 분류 정보/분류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아종
  |분류    = 아종
  |명칭    = '''사하라모래고양이'''<small>(''F. m. margarita'')</small><br />'''투르크메니스탄모래고양이'''<small>(''F. m. thinobia'')</small>
  |명칭    = '''사하라모래고양이'''<small>(''F. m. margarita'')</small><br />'''아시아모래고양이'''<small>(''F. m. thinobia'')</small>
  }}
  }}
|보전상태 = [[파일:멸종위기등급 관심필요.png|link=관심대상종]]
|보전상태 = [[파일:멸종위기등급 관심필요.png|link=관심필요종]]
|비고    =  
|비고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 auto;"
{| style="margin: auto;"
| [[파일:Persian sand CAT.jpg|x500px]]
| [[파일:Persian sand CAT.jpg|x500px]]
|}
|}
'''모래고양이'''(Sand cat) 식육목 고양이과 고양이속에 속하는 소형 고양이과 동물로, 사막에 서식하는 [[고양이]]의 친척이다. 완전한 사막 지형에 서식하는 유일한 고양이과 동물이다. 모래고양이는 현재 형태학적 차이에 따라 2종의 아종이 인정받고 있다.
'''모래고양이'''(Sand cat)식육목 고양이과 고양이속에 속하는 소형 고양이과 동물이자 애완동물로 널리 길러지는 [[고양이|집고양이]]의 근연종으로, [[사막여우]]와 함께 사하라 사막에 서식하는 가장 유명한 소형 식육목 동물이다.
 
한때 모래고양이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총 6종의 아종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2017년 세계자연보존연맹 산하 Cat Specialist Group에서 형태학적 차이에 따라 모래고양이의 아종을 재분류한 뒤로 현재는 '''사하라모래고양이'''<small>(Saharan sand cat)</small>와 '''아시아모래고양이'''<small>(Asian sand cat)</small>, 총 2종의 아종만이 인정받고 있다.
 
외형적으로 고양이외 비교하여 평평하고 넓은 머리와 짧은 다리, 사막여우처럼 넓은 귀가 특징이다.
 
평균적인 모래고양이의 크기는 몸길이 39~52cm, 어깨높이 24-36cm, 귀의 길이 5~7cm, 꼬리 길이 23~31cm, 몸무게는 1.5~3.4kg으로, 근연종인 집고양이보다는 덩치가 조금 더 작다.
== 생태 ==
== 생태 ==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지에 분리되어 분포한다. 모래고양이는 물에서 멀리 떨어진 모래사막이나 암석사막에서 발견된다. 발은 두툼하게 털로 덮여 있어 극열과 극한이라는 사막의 극단적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지에 분리되어 분포한다. 모래고양이는 물에서 멀리 떨어진 모래사막이나 암석사막에서 발견된다. 발은 두툼하게 털로 덮여 있어 극열과 극한이라는 사막의 극단적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56번째 줄: 62번째 줄:
== 인간과의 관계 및 보존 ==
== 인간과의 관계 및 보존 ==
== 기타 ==
== 기타 ==
* 모래고양이는 [[플래닛 주]]의 건조 동물 팩 DLC에서 등장하는 8종의 동물들 하나로 등장한다.  
* 모래고양이는 [[플래닛 주]]의 건조 동물 팩 DLC에서 등장하는 [[플래닛 주/동물/건조 동물 팩#모래고양이|8종의 동물 하나]]로 나온다.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 [http://www.sand-cat.wild-cat.org/ "Sand Cat Working Group"].
* [http://www.sand-cat.wild-cat.org/ "Sand Cat Working Group"].
63번째 줄: 70번째 줄:
{{퍼온문서|모래고양이||일부}}
{{퍼온문서|모래고양이||일부}}
{{각주}}
{{각주}}
[[분류:고양이과]]
[[분류:고양이속]]
[[분류:IUCN 적색 목록 관심대상종]]
[[분류:IUCN 적색 목록 관심필요종]]

2024년 4월 26일 (금) 21:27 기준 최신판

모래고양이
Felis margarita 01.jpg
학명
Felis margarita
Loche, 1858
생물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아목 고양이아목(Feliformia)
고양이과(Felidae)
고양이속(Felis)
모래고양이(F. margarita)
아종 사하라모래고양이(F. m. margarita)
아시아모래고양이(F. m. thinobia)
보전 상태
멸종위기등급 관심필요.png
Persian sand CAT.jpg

모래고양이(Sand cat)는 식육목 고양이과 고양이속에 속하는 소형 고양이과 동물이자 애완동물로 널리 길러지는 집고양이의 근연종으로, 사막여우와 함께 사하라 사막에 서식하는 가장 유명한 소형 식육목 동물이다.

한때 모래고양이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총 6종의 아종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2017년 세계자연보존연맹 산하 Cat Specialist Group에서 형태학적 차이에 따라 모래고양이의 아종을 재분류한 뒤로 현재는 사하라모래고양이(Saharan sand cat)아시아모래고양이(Asian sand cat), 총 2종의 아종만이 인정받고 있다.

외형적으로 고양이외 비교하여 평평하고 넓은 머리와 짧은 다리, 사막여우처럼 넓은 귀가 특징이다.

평균적인 모래고양이의 크기는 몸길이 39~52cm, 어깨높이 24-36cm, 귀의 길이 5~7cm, 꼬리 길이 23~31cm, 몸무게는 1.5~3.4kg으로, 근연종인 집고양이보다는 덩치가 조금 더 작다.

생태[편집 | 원본 편집]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지에 분리되어 분포한다. 모래고양이는 물에서 멀리 떨어진 모래사막이나 암석사막에서 발견된다. 발은 두툼하게 털로 덮여 있어 극열과 극한이라는 사막의 극단적인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식단 및 천적[편집 | 원본 편집]

번식 및 생애주기[편집 | 원본 편집]

인간과의 관계 및 보존[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참고 자료[편집 | 원본 편집]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모래고양이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