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석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姜錫熙.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21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3년 11월 9일 경상북도 문경군 가은면 성유리에서 출생했...)
 
잔글 (연도별 출생 제거 봇)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姜錫熙.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21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姜]]錫熙.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21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 생애 ==
1893년 11월 9일 경상북도 문경군 가은면 성유리에서 출생했다. 그는 [[보천교]] 신자로, 교주 [[차경석]]을 중심으로 전라북도 정읍군을 본부로 하고, 그 하위에 60방위를 만들어 다시 그 밑에 차례로 6인조, 12인조, 8인조 및 15인조라는 교도의 계급으로 개편될 때 참여하여 김석규의 부하가 되었다. 그는 박인길, 이준용, 박창규, 신용직 등과 함께 12인조를 구성하고, 2원을 조선 독립 치성금으로 지불하였으며, 동지 모집 활동에 참여했다.
1893년 11월 9일 경상북도 문경군 가은면 성유리에서 출생했다. 그는 [[보천교]] 신자로, 교주 [[차경석]]을 중심으로 전라북도 정읍군을 본부로 하고, 그 하위에 60방위를 만들어 다시 그 밑에 차례로 6인조, 12인조, 8인조 및 15인조라는 교도의 계급으로 개편될 때 참여하여 김석규의 부하가 되었다. 그는 [[박인길]], 이준용, 박창규, 신용직 등과 함께 12인조를 구성하고, 2원을 조선 독립 치성금으로 지불하였으며, 동지 모집 활동에 참여했다.


이 일이 발각되면서 체포된 그는 1921년 6월 27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012&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3653&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이에 불복하여 공소한 결과 1921년 11월 26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원판결 취소 및 징역 1년(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판결을 받았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493&evntId=0034993329&evntdowngbn=Y&indpnId=0000024276&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이에 불복해 상고했으나 1922년 2월 27일 상고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131&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4483&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이 일이 발각되면서 체포된 그는 1921년 6월 27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012&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3653&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이에 불복하여 공소한 결과 1921년 11월 26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원판결 취소 및 징역 1년(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판결을 받았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493&evntId=0034993329&evntdowngbn=Y&indpnId=0000024276&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이에 불복해 상고했으나 1922년 2월 27일 상고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131&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4483&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9번째 줄: 9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독립운동가]]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분류:건국포장 수훈자]]
[[분류:건국포장 수훈자]]
[[분류:1893년 출생]]

2023년 8월 24일 (목) 22:54 기준 최신판

錫熙.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21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1893년 11월 9일 경상북도 문경군 가은면 성유리에서 출생했다. 그는 보천교 신자로, 교주 차경석을 중심으로 전라북도 정읍군을 본부로 하고, 그 하위에 60방위를 만들어 다시 그 밑에 차례로 6인조, 12인조, 8인조 및 15인조라는 교도의 계급으로 개편될 때 참여하여 김석규의 부하가 되었다. 그는 박인길, 이준용, 박창규, 신용직 등과 함께 12인조를 구성하고, 2원을 조선 독립 치성금으로 지불하였으며, 동지 모집 활동에 참여했다.

이 일이 발각되면서 체포된 그는 1921년 6월 27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1] 이에 불복하여 공소한 결과 1921년 11월 26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원판결 취소 및 징역 1년(미결구류일수 120일 본형에 산입) 판결을 받았다.[2] 이에 불복해 상고했으나 1922년 2월 27일 상고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3]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1년 강석희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