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 두 판 사이의 차이

(틀 편집)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원소 정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원소 정보
{{원소 정보
| 이름 = 아연
|이름     = 아연
| 원어이름 = Zinc
|그림    =  
| 한자이름 =亞鉛
|그림설명 =  
| 원자기호 =Zn
|기호    = Zn
| 원자번호 =30
|번호    = 30
| 원자모형 =아연 원자모형.svg
|족      =  
| 평균 원자량 =65.409
|주기    =
| 모노이소토픽 원자량 =63.929146
|계열    =
| 밀도 =7.14
|구역    =
| 원자 반지름 =142
|전자배치 =
| 상온상태 =고체
|전자 수  = 2, 8, 18, 2
| 녹는점 =419.53
|질량    = 65.409 Da
| 끓는점 =907
|반지름  = 142 pm
| 융해열 =7.32
|공유    =
| 기화열 =115
|판데르발스=
| 열용량 =25.470
|산화수  =
| 전기음성도 =
|음성도  =
| 전자친화도 =
|이온화1  =
| 결정모양 =육방정계
|이온화2  =
| CAS 등록번호 = 7440-66-6
|이온화3  =
|동위원소 =
|상태    = [[고체]]
|밀도     = 7.14 g/cm<sup>3</sup>
|결정구조 = [[육방정계]]
|녹는점   = 419.53 °C
|끓는점   = 907 °C
|융해열   = 7.32 kJ/mol
|기화열   = 115 kJ/mol
|몰열용량 =
|증기압력 =  
|음속    =  
|도전율  =  
|열전도율 =  
|비고    =  
}}
}}
[[아이언맨|<s>아연맨</s>]] <s>야언좆</s>
[[아이언맨|<s>아연맨</s>]] <s>야언좆</s>


==개요==
주기율표 12족 4주기 속하는 금속 원소로, 원소기호 Zn 원자번호는 30으로 거의 모든 생물체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미량 원소이다. [[철]], [[알루미늄]], [[구리]]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어 사용되는 금속이다.
주기율표 12족 4주기 속하는 금속 원소로, 원소기호 Zn 원자번호는 30으로 거의 모든 생물체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미량 원소이다. [[철]], [[알루미늄]], [[구리]]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어 사용되는 금속이다.


35번째 줄: 48번째 줄:
==용도==
==용도==
*함석(철에 아연을 도금한 것)의 주 재료이다. 철 대신 아연이 산화되기 때문에<ref>희생전극 작용이라 한다. 대략 설명하면, 산화반응이란 [[전자]]를 잃어버리는 작용인데, 산화성이 작은 철과 산화성이 큰 아연이 붙어 있으면 철이 산화되려 할 때 산화성이 더 큰 아연이 자기 전자를 빼서 철에다가 넘겨준다는 그런 이론이다. '''둘 다 금속이니만큼''' 붙여놓기만 하면 전자는 자유롭게 이동한다!</ref>강철은 녹슬지 않는다.
*함석(철에 아연을 도금한 것)의 주 재료이다. 철 대신 아연이 산화되기 때문에<ref>희생전극 작용이라 한다. 대략 설명하면, 산화반응이란 [[전자]]를 잃어버리는 작용인데, 산화성이 작은 철과 산화성이 큰 아연이 붙어 있으면 철이 산화되려 할 때 산화성이 더 큰 아연이 자기 전자를 빼서 철에다가 넘겨준다는 그런 이론이다. '''둘 다 금속이니만큼''' 붙여놓기만 하면 전자는 자유롭게 이동한다!</ref>강철은 녹슬지 않는다.
*구리와 함께 볼타 전지를 이루기도 하기 때문에, 과일 전지를 만드는 실험에서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구리와 함께 볼타 전지를 이루기도 하기 때문에, 과일 전지를 만드는 실험에서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정력에 좋다고 한다. 굴에 이것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과잉 섬취하면 설사, 경련, 발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
*정력에 좋다고 한다. 굴에 이것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과잉 섬취하면 설사, 경련, 발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는 산화 아연을 이용한다고 한다. 질화갈륨을 이용할 수 있지만, 10배 정도 비싸 아연에 많은 기대가 있다.
*청색 발광 다이오드는 산화 아연을 이용한다고 한다. 질화갈륨을 이용할 수 있지만, 10배 정도 비싸 아연에 많은 기대가 있다.


{{주기율표}}
{{주기율표}}
[[분류:금속]][[분류:원소]]
[[분류:금속]][[분류:원소]]

2022년 6월 13일 (월) 00:53 기준 최신판

아연
원소 정보
기호 Zn
원자 번호 30
전자 수 2, 8, 18, 2 (준위별)
원자의 성질
원자 질량 65.409 Da
반지름 원자 142 pm
이온화
에너지
1차
물리적 성질
상태 (STP) 고체
밀도 7.14 g/cm3
결정 구조 육방정계
녹는점 419.53 °C
끓는점 907 °C
융해열 7.32 kJ/mol
기화열 115 kJ/mol

아연맨 야언좆

주기율표 12족 4주기 속하는 금속 원소로, 원소기호 Zn 원자번호는 30으로 거의 모든 생물체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미량 원소이다. , 알루미늄, 구리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어 사용되는 금속이다.

제조법[편집 | 원본 편집]

성질[편집 | 원본 편집]

푸른 빛이 약간 나는 흰색. 산화형태는 보통 +2의 경우가 가장 많다. 동위 원소는

용도[편집 | 원본 편집]

  • 함석(철에 아연을 도금한 것)의 주 재료이다. 철 대신 아연이 산화되기 때문에[1]강철은 녹슬지 않는다.
  • 구리와 함께 볼타 전지를 이루기도 하기 때문에, 과일 전지를 만드는 실험에서 본 적이 있을 것이다.
  • 정력에 좋다고 한다. 굴에 이것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과잉 섬취하면 설사, 경련, 발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
  • 청색 발광 다이오드는 산화 아연을 이용한다고 한다. 질화갈륨을 이용할 수 있지만, 10배 정도 비싸 아연에 많은 기대가 있다.
  1. 희생전극 작용이라 한다. 대략 설명하면, 산화반응이란 전자를 잃어버리는 작용인데, 산화성이 작은 철과 산화성이 큰 아연이 붙어 있으면 철이 산화되려 할 때 산화성이 더 큰 아연이 자기 전자를 빼서 철에다가 넘겨준다는 그런 이론이다. 둘 다 금속이니만큼 붙여놓기만 하면 전자는 자유롭게 이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