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한 글자 문서을(를) 추가함)
잔글 (추적용 분류 강제 갱신 겸 이름 변경 반영)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식품]]
[[분류:한 글자 문서]]
'''밥, 김치와 더불어 한국인의 밥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밥, 김치와 더불어 한국인의 밥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개요===
국이라 하면 재료들을 물에 넣은 후 맛이 우러날 때까지 끓이는 음식으로 재료+물이라는 특성상 요리사의 기교가 필요하고, 만들기 어려운 국부터 [[미소 된장국]]처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것까지 종류가 상당히 다양한 음식이다. 국은 찌개와 자주 비교되는데 찌개는 건더기가 중요한 스튜에 가까운 음식이고 국은 건더기보단 국물 그 자체가 중요하다. 김치찌개라고 하면 주재료인 김치, 햄 등의 부재료도 많이 들어가지만 김치국이라면 김치가 적게 들어가고 국물이 맑은 편이다.
국이라 하면 보통 적당량의 물에(사람 수대로 달라진다) 특정한 재료를 넣은 후 맛이 우러날 때까지 끓이는 간단한 음식이다. 이때 기호에 따라 된장, 소금 등을 더 넣어도 좋다. 서양으로 치면 수프와 흡사하다. 요리사의 기교가 필요한, 만들기 어려운 국도 있지만 [[미소 된장국]]처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것도 많다. 바쁜 현대인들은 술 먹고 난 다음날 [[해장국]]을 주로 먹는다.학교 급식에선 물이 없을 경우에만 국을 식혀 먹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다 먹지 않고 버리는 게 대부분이다}}학생 [[위키러]]들은 급식 버리지 말자. [[다크매터]]에 버금갈 정도로 미각테러급이라면 버리는 게 낫지만, 그렇지 않다면 되도록 환경을 위해 다 먹도록 하자.
 
==현대에서의 국의 위상 ==
* 바쁜 현대인들 역시 술 먹고 난 다음날 [[해장국]]을 주로 먹는다.
* 학교 급식에선 물이 없을 경우에만 국을 식혀 먹는 경우가 많다.
* 소금이 꽤 많이 들어가는 탓에 나트륨 섭취의 주적으로 꼽히곤 한다.
* 밥이 잘 넘어가지 않을 때 국에 밥을 말아먹기도 한다.
 
==종류==
{{참고|분류:국}}


====종류====
{{각주}}
[[추가바람]]
[[분류:국| ]]
[[분류:한 글자 문서]]

2022년 5월 25일 (수) 18:49 기준 최신판

밥, 김치와 더불어 한국인의 밥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국이라 하면 재료들을 물에 넣은 후 맛이 우러날 때까지 끓이는 음식으로 재료+물이라는 특성상 요리사의 기교가 필요하고, 만들기 어려운 국부터 미소 된장국처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것까지 종류가 상당히 다양한 음식이다. 국은 찌개와 자주 비교되는데 찌개는 건더기가 중요한 스튜에 가까운 음식이고 국은 건더기보단 국물 그 자체가 중요하다. 김치찌개라고 하면 주재료인 김치, 햄 등의 부재료도 많이 들어가지만 김치국이라면 김치가 적게 들어가고 국물이 맑은 편이다.

현대에서의 국의 위상[편집 | 원본 편집]

  • 바쁜 현대인들 역시 술 먹고 난 다음날 해장국을 주로 먹는다.
  • 학교 급식에선 물이 없을 경우에만 국을 식혀 먹는 경우가 많다.
  • 소금이 꽤 많이 들어가는 탓에 나트륨 섭취의 주적으로 꼽히곤 한다.
  • 밥이 잘 넘어가지 않을 때 국에 밥을 말아먹기도 한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