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지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상세: 사실 확인이 어려워 일단 삭제했습니다. 추후 자료 조사를 통해 내용을 새로 넣거나 출처와 함께 복구하겠습니다.)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성소수자}}{{트랜스젠더}}
'''성 지정'''(性指定, {{영어|sex assignment}}) 은 신생아가 태어났을 때 신생아의 생물학적 성을 지정하는 것이다. 이 때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출생증명서 등에 기록된 성별을 '''지정 성별''' (指定性別, {{영어|assigned sex, designated sex, sex assigned at birth}}) 이라고 한다.
 
'''성 지정'''(性指定, sex assignment) 혹은 '''지정성별'''(Sex assigned at birth)이란 태어난 아기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 중 신생아로 태어났을 때 공식적으로 지정 된 성별을 의미한다.  


==상세==
==상세==
[[1960년]]대부터 서구에서는 [[성 정체성]]이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어서 [[음경]]이 [[음핵]]에 가까울 정도로 작거나 기능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변형되었다는 이유로 강제로 [[거세]]하고 여성으로 성별을 지정하였으나 이후 태아기에 성 호르몬에 노출되면서 남성적/여성적인 취향과 [[성적 지향]]이 결정되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설령 성기를 제거당하고 반대 성별로 자라도 출생 당시의 성대로 성 정체성을 형성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빈 문단}}


그래서 지금은 외성기가 남녀 어느쪽인지 모호한 사람도 대체로 고환이나 난소, 성염색체에 따라 성별이 결정되고, 남성 호르몬 수용체가 완전히 망가진 사람은 거의 대부분 여성의 성 정체성을 갖게 되므로 여성으로 지정된다.
== 용어 ==
출생 당시 여성으로 지정된 모든 사람을 '''Assigned female at birth (AFAB)''', 출생 당시 남성으로 지정된 모든 사람을 '''Assigned male at birth (AMAB)''' 라고 부르며, (fe)male assigned at birth(FAAB/MAAB), designated (fe)male at birth (DFAB/DMAB) 등의 표현도 사용된다. 앞서 언급한 용어에 "Coercively"를 붙여 본인의 의사 없이 '강제'로 지정받은 성별임을 강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아이가 어떤 [[성정체성]]을 형성할 확률이 높은지 판정하기 어려운 질병도 있기 때문에 쉽다고만은 할 수 없다.
== 여담 ==
* "지정성별"은 대한민국 정신의학계에서 공인한 표현이 아니며, 2015년경 [[트위터]]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ref>{{웹 인용 |url=https://twitter.com/demiboyjamee/status/606694793494691840?s=20&t=vebIGV7G6hJ9ZGtIboZiFw |제목=인생 열심히 사는 제이미 님의 트위터: 내가 단어를 창조하리라 (중략) |저자=인생 열심히 사는 제이미 (@demiboyjamee) |날짜=2015-06-05 |웹사이트=[[트위터]] |확인날짜=2022-04-04 }}</ref>


[[트랜스젠더]]들에게는 '출생 당시의 성'을 가리킬때 '지정된 성'(지정받은 성별)으로 호칭하는 것이 [[정치적 올바름|올바른 표현]]이다.
* 법적 성별은 적법한 법적 절차를 거쳐서 바꿀 수 있으며, [[생물학적 성별]](biological gender)은 성전환 수술을 통해 바뀔 수 있지만 지정성별은 태어날 때 정해진 성별로 바꿀 수 없다. 이에 따라 '지정성별'이란 표현은 본인의 의사에 반해 성별을 판단한 의료의 낙인이며, "본인이 태어났을 때 지정 받은 성별"가리켜야만 할 때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ref>{{웹 인용 |url=https://m.blog.naver.com/snow9610/221235520949 |제목=6. 시스젠더가 본인을 칭할 때 지정성별을 "굳이" 쓰셔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저자=꼬꼬 (snow9610) |날짜=2018-03-23 |웹사이트=네이버 블로그 |확인날짜=2022-04-04 }}</ref>


== 여담 ==
* 2021년 8월 미국 의학 협회에서는 출생 직후 성별을 남성과 여성 중 하나로 판단하는 것은 성별 정체성의 의학적인 스펙트럼을 반영하지 못함을 지적하며 출생 증명서에서 "성별 (Sex, 지정성별)" 항목을 삭제하는 것을 권고했다. <ref>{{뉴스 인용 |저자=BRITNI DE LA CRETAZ |제목=American Medical Association Recommends Removing Sex From Birth Certificates |url=https://www.them.us/story/american-medical-association-recommends-removing-sex-from-birth-certificates?utm_medium=social&utm_social-type=owned&utm_source=twitter&utm_brand=them |뉴스=them. |출판사= |위치= |날짜=2021-08-05 |확인날짜=2022-04-04 }}</ref>
* 법적 성별과 차이점이 있는게 법적 성별은 적법한 법적 절차를 거쳐서 바꿀 수()<ref>성소수자에 대한 인권의식이 높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국가들이나 [[캐나다]]에서는 어렵지 않겠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성전환 수술]]을 하지 않으면 법적 성별도 바꾸기 힘들다.</ref> 있지만 지정성별은 바꿀 수 없다
* [[생물학적 성별]](biological gender)은 성전환 수술을 통해 바꿀 수 있지만 지정성별은 태어날 때 성별이라 영원히 바꿀 수 없다. 다만 [[벤 샤피로]], [[조던 피터슨]] 등 [[대안우파]] 인사들은 지정성별이 곧 생물학적 성별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각주}}
{{각주}}
{{트랜스젠더}}
{{성소수자}}
[[분류:성소수자]]
[[분류:성소수자]]
[[분류:트랜스젠더]]
[[분류:트랜스젠더]]
[[분류:성별]]

2022년 4월 5일 (화) 03:21 기준 최신판

성 지정(性指定, 영어: sex assignment) 은 신생아가 태어났을 때 신생아의 생물학적 성을 지정하는 것이다. 이 때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출생증명서 등에 기록된 성별을 지정 성별 (指定性別, 영어: assigned sex, designated sex, sex assigned at birth) 이라고 한다.

상세[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용어[편집 | 원본 편집]

출생 당시 여성으로 지정된 모든 사람을 Assigned female at birth (AFAB), 출생 당시 남성으로 지정된 모든 사람을 Assigned male at birth (AMAB) 라고 부르며, (fe)male assigned at birth(FAAB/MAAB), designated (fe)male at birth (DFAB/DMAB) 등의 표현도 사용된다. 앞서 언급한 용어에 "Coercively"를 붙여 본인의 의사 없이 '강제'로 지정받은 성별임을 강조하는 경우도 있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지정성별"은 대한민국 정신의학계에서 공인한 표현이 아니며, 2015년경 트위터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1]
  • 법적 성별은 적법한 법적 절차를 거쳐서 바꿀 수 있으며, 생물학적 성별(biological gender)은 성전환 수술을 통해 바뀔 수 있지만 지정성별은 태어날 때 정해진 성별로 바꿀 수 없다. 이에 따라 '지정성별'이란 표현은 본인의 의사에 반해 성별을 판단한 의료의 낙인이며, "본인이 태어났을 때 지정 받은 성별"을 가리켜야만 할 때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2]
  • 2021년 8월 미국 의학 협회에서는 출생 직후 성별을 남성과 여성 중 하나로 판단하는 것은 성별 정체성의 의학적인 스펙트럼을 반영하지 못함을 지적하며 출생 증명서에서 "성별 (Sex, 지정성별)" 항목을 삭제하는 것을 권고했다. [3]

각주

  1. 인생 열심히 사는 제이미 (@demiboyjamee) (2015년 6월 5일). 인생 열심히 사는 제이미 님의 트위터: 내가 단어를 창조하리라 (중략), 트위터. 2022년 4월 4일에 확인.
  2. 꼬꼬 (snow9610) (2018년 3월 23일). 6. 시스젠더가 본인을 칭할 때 지정성별을 "굳이" 쓰셔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2022년 4월 4일에 확인.
  3. BRITNI DE LA CRETAZ.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Recommends Removing Sex From Birth Certificates”, 《them.》, 2021년 8월 5일 작성. 2022년 4월 4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