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연혁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보드 게임을(를) 삭제함, 분류:보드게임을(를) 추가함)
잔글 (replaced: lang-중국어 → 중국어= (4))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Samgukyeonhyeokgi.jpg]]
{{놀이 정보
 
|놀이이름 = 삼국연혁기
'''삼국연혁기'''(三国演弈棋)란 현대 중국에서 [[샹치]]를 3인용으로 만든 게임이다.
|원어이름 = {{중국어=|三国演弈棋}}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Samgukyeonhyeokgi.jpg]]
|그림설명 =
|다른이름 =
|제작    =
|미술    =
|배급사  =
|장르    = [[변형 샹치]]
|출시일  =
|인원    = 3명
|언어    = [[중국어]]
|시스템  =
|웹사이트 =
|비고    =
}}
'''삼국연혁기'''({{중국어=|三国演弈棋}})란 현대 [[중국]]에서 [[샹치]]를 3인용으로 만든 [[보드게임]]이다. 《[[삼국지]]》가 모티브로, 플레이어는 각각 [[위 (삼국시대)|위나라]], [[촉한|촉나라]], [[오 (삼국시대)|오나라]]를 맡는다.


== 구성 ==
== 구성 ==
쉬창(허창)을 수도로 한 위나라(검정), 청두를 수도로 한 촉나라(빨강), 건업(建业, 현재의 [[난징]])을 수도로 한 오나라(초록)이 승부를 겨루며 뤄양(낙양,洛阳)을 수도로 한 한나라는 강한 기물도 꽤 있지만 전반적으로 처참한 모습이다. '''한나라의 기물은 움직이지 않는다.'''
쉬창(허창)을 수도로 한 위나라(검정), 청두를 수도로 한 촉나라(빨강), 건업({{중국어=|建业}}, 현재의 [[난징]])을 수도로 한 오나라(초록)이 승부를 겨루며 뤄양(낙양, {{중국어=|洛阳}})을 수도로 한 [[후한|한나라]]는 강한 기물도 꽤 있지만 전반적으로 처참한 모습이다. '''한나라의 기물은 움직이지 않는다.'''


오나라부터 반시계방향으로 둔다. 다른 모든 기물은 다른 기물의 행마와 같다. 졸은 처음 위치에서 한칸 전진하면 강을 건넌 것으로 간주되어 후퇴를 제외한 이동이 가능하다. 상대방의 방어선을 넘어가면 진행방향이 바뀐다.
오나라부터 반시계방향으로 둔다. 다른 모든 기물은 다른 기물의 행마와 같다. 졸은 처음 위치에서 한 칸 전진하면 강을 건넌 것으로 간주되어 후퇴를 제외한 이동이 가능하다. 상대방의 방어선을 넘어가면 진행 방향이 바뀐다.


상은 자기 진영 45칸 내에서 (사실상 7칸)만을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샹치와 달리 멱이 없다.
상은 자기 진영 45칸 내에서 사실상 7칸만을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샹치와 달리 멱이 없다.


한나라 왕의 앞과 좌우가 막혀 있기 때문에 마로만 한왕을 잡을 수 있다. 한왕이 잡히면 한왕을 잡은 선수는 한왕의 기물을 취하게 된다.
한나라 왕의 앞과 좌우가 막혀 있기 때문에 마로만 한왕을 잡을 수 있다. 한왕이 잡히면 한왕을 잡은 선수는 한왕의 기물을 취하게 된다.
14번째 줄: 31번째 줄:
누군가 한왕을 잡지 않은 상태에서 마가 상대 진영에 들어서면 자동적으로 동맹이 맺어진다. 동맹에서 소외된 선수는 한왕의 기물을 취하게 된다.
누군가 한왕을 잡지 않은 상태에서 마가 상대 진영에 들어서면 자동적으로 동맹이 맺어진다. 동맹에서 소외된 선수는 한왕의 기물을 취하게 된다.


왕을 취하면 그 즉시 잡힌쪽의 모든 기물이 자기것이 된다.
왕을 취하면 그 즉시 잡힌 쪽의 모든 기물이 자기 것이 된다.
 
== 관련 사이트 ==
* {{언어링크|zh}} [http://baike.baidu.com/view/1389808.htm 바이두백과]


[[분류:보드게임]]
{{각주}}
== 바깥 고리 ==
[[분류:샹치]]
* [http://baike.baidu.com/view/1389808.htm 바이두백과]
[[분류:소재별 게임/삼국지]]

2022년 3월 18일 (금) 09:34 기준 최신판

삼국연혁기
三国演弈棋
Samgukyeonhyeokgi.jpg
놀이 정보
장르 변형 샹치
인원 3명
언어 중국어

삼국연혁기(三国演弈棋)란 현대 중국에서 샹치를 3인용으로 만든 보드게임이다. 《삼국지》가 모티브로, 플레이어는 각각 위나라, 촉나라, 오나라를 맡는다.

구성[편집 | 원본 편집]

쉬창(허창)을 수도로 한 위나라(검정), 청두를 수도로 한 촉나라(빨강), 건업(建业, 현재의 난징)을 수도로 한 오나라(초록)이 승부를 겨루며 뤄양(낙양, 洛阳)을 수도로 한 한나라는 강한 기물도 꽤 있지만 전반적으로 처참한 모습이다. 한나라의 기물은 움직이지 않는다.

오나라부터 반시계방향으로 둔다. 다른 모든 기물은 다른 기물의 행마와 같다. 졸은 처음 위치에서 한 칸 전진하면 강을 건넌 것으로 간주되어 후퇴를 제외한 이동이 가능하다. 상대방의 방어선을 넘어가면 진행 방향이 바뀐다.

상은 자기 진영 45칸 내에서 사실상 7칸만을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샹치와 달리 멱이 없다.

한나라 왕의 앞과 좌우가 막혀 있기 때문에 마로만 한왕을 잡을 수 있다. 한왕이 잡히면 한왕을 잡은 선수는 한왕의 기물을 취하게 된다.

누군가 한왕을 잡지 않은 상태에서 마가 상대 진영에 들어서면 자동적으로 동맹이 맺어진다. 동맹에서 소외된 선수는 한왕의 기물을 취하게 된다.

왕을 취하면 그 즉시 잡힌 쪽의 모든 기물이 자기 것이 된다.

관련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