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100분 토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국기나라 -> 국기 (간단한 틀로 변경))
잔글 ('틀:영상물 정보' 표준화 v1.0)
1번째 줄: 1번째 줄:


{{방송 정보
{{사용자:Pika/대체용 틀
|로고 =  
|영상물이름  = MBC 100분 토론
|그림 = [[File:MBC_100_minute_debate_title.png|300px]]
|원어이름    = MBC 100 minute debate
|구분 = 교양
|배경색      =
|장르 = 토론
|글자색      =  
|시청등급 = 15
|그림         = [[File:MBC_100_minute_debate_title.png|300px]]
|제목 = MBC 100분 토론
|그림설명    =  
|원제 = MBC 100 minute debate
|배급사      = [[문화방송]]
|방송 시간 = 화요일 밤 12시 20분 ~ 수요일 새벽 2시
|방송채널    =  
|방송 분량 = 평균 1시간 40분 (100분)
|제작사      =  
|방송 기간 = [[1999년]] [[10월 21일]] ~
|감독        =  
|방송 횟수 =
|제작        =  
|방송 시즌 =  
|작가        =  
|방송 국가 = {{국기|대한민국}}
|출연        = 정운영 -> 유시민 -> [[손석희]] -> 권재홍 -> 박광온 <br />-> 황헌 -> 신동호 -> 정관용 -> 박경미 -> 정연국 (진행)
|방송 채널 = [[문화방송]]
|해설        =  
|기획 = 김성식
|장르        = 토론
|제작 =  
|국가         = {{국기|대한민국}}
|촬영 =  
|언어        = [[한국어]]
|편집 =  
|연작제목    =  
|책임프로듀서 =  
|개봉일      =  
|프로듀서 =  
|방영일      = [[1999년]] [[10월 21일]] ~
|연출 =  
|방영시각    = 화요일 밤 12시 20분 ~ 수요일 새벽 2시
|원작 =  
|시즌수      =  
|조연출 =  
|화수        =  
|극본 =  
|시간        = 평균 1시간 40분 (100분)
|해설 =
|시리즈      =  
|음악 감독 =
|이전작품    =  
|출연자 = 정운영 -> 유시민 -> [[손석희]] -> 권재홍 -> 박광온 <br />-> 황헌 -> 신동호 -> 정관용 -> 박경미 -> 정연국 (진행)
|다음작품    =  
|공식 홈페이지 = http://www.imbc.com/broad/tv/culture/toron/index.html
|웹사이트    = http://www.imbc.com/broad/tv/culture/toron/index.html
|캐릭터원안  =
|캐릭터디자인 =
|연출        =
|미술        =
|촬영감독    =
|음악        =
|여는곡      =
|닫는곡      =
|영상        =
|음성        =
|번역배급사  =
|번역방송채널 =
|번역개봉일  =
|번역방영일  =
|번역방영시각 =
|비고        =
}}
}}



2022년 2월 27일 (일) 13:00 판

{{{이름}}}
MBC 100 minute debate
[[파일:MBC 100 minute debate title.png|336px|alt=]]

개요

1999년부터 방송중인 MBC의 토론 프로그램이다.

손석희 교수의 진행시기에 정규편성 시간인 100분을 넘어 익일까지 토론을 계속 연장해가는 "끝장토론"으로 화제가 되었으며 이 포맷은 손석희 교수가 JTBC로 이적한 지금도 JTBC 밤샘토론으로 이어지고 있다.

주요 에피소드

끝장토론의 시작, 153회

노무현 내각 출범과 함께 이슈가 되었던 '정치개혁'을 다룬 에피소드로 6시간 17분, 그러니까 밤 11시에 토론을 시작하고 다음날 6시가 다 되어갈때 쯤에 토론이 끝나 VOD 조차도 3시간 간격으로 둘로 나누어져 있는 현재까지 최장시간 에피소드로 진보와 보수측의 첨예한 논쟁이 이어졌다.

  • 당시 토론 참여자
    • 민주당 : 장성원, 천정배
    • 한나라당: 오세훈, 김용균
    • 자민련 : 정우택
    • 개혁당 : 김원웅
    • 민노당 : 노회찬
    • 이오경숙 (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 김기식 (참여연대 사무처장)
    • 김수진 (이화여대 정외과 교수)
    • 최한수 (건국대 정외과 교수)
    • 정대화 (상지대 정외과 교수)
    • 시민논객 등 총 40명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