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새 넘겨주기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분쟁'''은 [[리그베다 위키]]와 [[엔하위키 미러]]간의 분쟁을 말한다.
#넘겨주기 [[엔하위키 미러#리그베다 위키와의 분쟁]]
== [[2013년]] 이전 ==
== [[2013년]] ==
[[엔하위키 미러 IP 차단 논란]] 참조.
== [[2014년]] ==
{{날짜/출력|2014-7-10}}, 리그베다위키에서 위키 이미지를 외부에서 열람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미러 이미지가 뜨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다. 청동이 해제하면서 해결되었다.
== 1차 가처분 소송 ==
사건번호 2014카합1141.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가처분 신청 결정문]] 참조.
== 가처분 이의 신청 ==
사건번호 2015카합702. [[5월 26일]]에 신청되었다. 첫 심문기일이 [[6월 26일]] 14시 10분이 서울중앙지법 제358호 법정으로 잡혔다. 애석하게도 법원에는 [[팝콘]]을 들고 들어갈 수 없다.
 
결과는 '''가처분결정 인가'''. 즉, 뒤집히지 않았다.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가처분 이의 신청 결정문]] 참고.
 
이 결정문이 나온 직후 [[Puzzlet Chung]] 측에서는 [[서울고등법원]]에 항고를 냈다. 사건번호 2015라1328.
 
== 앞으로의 논점 ==
[[저작권]]이나 [[데이터베이스권]]에 대해 청동이 뒤집기는 힘들 듯 싶다.
 
엔하위키 미러가 리그베다 위키로부터 명시적인 허락을 받았다는 근거가 없다는 부분이 논란이 될 것이다. 사실은 '''(이용자들의 원성때문에 마지못해서 일지언정) 허락을 한 적이 있다.''' [[엔하위키 미러 IP 차단 논란]]이 터지고 나서 [[스페이드]]와 [[하트]]라는 캐릭터를 발표하면서
{{인용문|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와 엔하위키 미러는 협력 관계를 가져 왔습니다. [[4월]] 중순 경 서로간의 연락 과정의 착오로 생긴 해프닝이 있었으나, [[4월 22일]]부터는 다시 정상으로 돌아갔습니다.
 
양측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해 나갈 것입니다.
 
{{날짜/출력|2013-4-23}} 청동 & Puzzlet Chung
 
이 글은 공동으로 쓴 글이며, 리그베다 위키 측에도 공지되어 있습니다}}
 
라는 화해문을 달고 [[스페이드]]와 [[하트]]라는 캐릭터를 단 적이 있다. [http://web.archive.org/web/20130621063546/http://angelhalo.org/bbs2/index.php?mid=wikibbs&document_srl=4423842 리그베다 위키방 아카이브] [https://archive.is/7Tgcj 엔하위키 미러 아카이브]
 
이 부분을 입증하지 못했거나 퍼즐릿 측이 증거를 제출하지 못했기 때문에 인정되지 않았다.
 
[[분류:인터넷 사건]]

2021년 6월 12일 (토) 19:16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