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IROBAKO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영상물 정보
{{영상물 정보
|영상물이름  = SHIROBAKO
|영상물이름  = SHIROBAKO
|원어이름    = シロバコ
|원어이름    =  
|배경색      =  
|배경색      =  
|글자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Logo Shirobako.png|150px]]
|그림        = [[파일:Logo Shirobako.png]]
{{탭
{{탭
|여백좁게 = y
|여백좁게 = y
|버튼여백좁게 = y
|버튼여백좁게 = y
|제목1 = 제1쿨  
|제목1 = 제1쿨 키 비주얼
|내용1 = [[파일:Shirobako key visual 01.png|300px]]
|내용1 = [[파일:Shirobako key visual 01.png]]
|제목2 = 제2쿨
|제목2 = 제2쿨 키 비주얼
|내용2 = [[파일:Shirobako key visual 02.png|300px]]
|내용2 = [[파일:Shirobako key visual 02.png]]
}}
}}
|그림설명    = 키 비주얼
|그림설명    =  
|배급사      =
|방송채널    = [[TOKYO MX]]
|방송채널    = [[TOKYO MX]]
|제작사      = [[P.A.WORKS]]
|제작사      = [[P.A.WORKS]]
19번째 줄: 20번째 줄:
|제작        =  
|제작        =  
|작가        =  
|작가        =  
|출연        =
|해설        =
|장르        = 애니메이션 업계 군상극
|장르        = 애니메이션 업계 군상극
|나라        = {{나라|일본}}
|나라        = {{나라|일본}}
|언어        = [[일본어]]
|언어        = [[일본어]]
|연작제목    =
|개봉일      =
|방영일      = 2014년 10월 9일~2015년 3월 26일
|방영일      = 2014년 10월 9일~2015년 3월 26일
|방영시각    =  
|방영시각    =  
28번째 줄: 33번째 줄:
|시간        =  
|시간        =  
|시리즈      =  
|시리즈      =  
|이전작품    =
|다음작품    = [[극장판 SHIROBAKO]]
|다음작품    = [[극장판 SHIROBAKO]]
|웹사이트    = {{URL|http://shirobako-anime.com/}}
|웹사이트    = {{URL|http://shirobako-anime.com/}}
36번째 줄: 42번째 줄:
|촬영감독    =  
|촬영감독    =  
|음악        = 하마구치 시로
|음악        = 하마구치 시로
|여는곡      =
|닫는곡      =
|영상포맷    =
|음성포맷    =
|번역배급사  =
|번역방송채널 = [[애니플러스]]
|번역방송채널 = [[애니플러스]]
|번역개봉일  =
|번역방영일  =  
|번역방영일  =  
|번역방영시각 =  
|번역방영시각 =  
45번째 줄: 57번째 줄:
《[[꽃이 피는 첫걸음]]》에 이은 P.A.WORKS의 일하는 여자아이(働く女の子) 시리즈 제2탄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하나의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과 인관관계 등을 상당히 상당히 독특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특히 약간 순화한 부분은 있지만, 실제 업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최대한 반영하면서도 애니메이션 특유의 과장과 개그를 적절히 버무렸다는 부분이 특징.  
《[[꽃이 피는 첫걸음]]》에 이은 P.A.WORKS의 일하는 여자아이(働く女の子) 시리즈 제2탄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하나의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과 인관관계 등을 상당히 상당히 독특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특히 약간 순화한 부분은 있지만, 실제 업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최대한 반영하면서도 애니메이션 특유의 과장과 개그를 적절히 버무렸다는 부분이 특징.  


== 영상 ==
__TOC__
<br />
{{유튜브|fNWc-8N1LfI}}
{{유튜브|fNWc-8N1LfI}}


138번째 줄: 151번째 줄:
== 용어 ==
== 용어 ==
;푸룽푸룽 천국 (ぷるんぷるん天国)
;푸룽푸룽 천국 (ぷるんぷるん天国)
:극중에서 메인 감독으로 다뤄지는 키노시타 세이이치가 커리어 처음으로 제작을 맡은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과도한 리테이크로 납기일을 맞추지 못해 작화는 녹아내리고, 총집편만 3화, 결국 방송국에서 납품을 거부하는 사태까지 불러 일으켜 키노시타 감독의 명성에 먹칠을 한 최악의 흑역사 작품이다. <del>이 작품에 참여한 무사애니 제작진 사이에서는 이름을 말할 수 없는 그 작품 취급 받는 듯하다.</del>
:극중에서 『엑소더스!』와 『제3비행소녀대』의 감독인 키노시타 세이이치의 첫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그 전에는 나름 흥행하던 감독이었으나, 이 작품에서 과도한 리테이크로 납기일을 맞추지 못해 작화는 녹아내리고, 총집편만 3화, 결국 방송국에서 납품을 거부하는 사태까지 불러 일으킨 작품이다. <del>이 작품에 참여한 무사애니 제작진 사이에서는 이름을 말할 수 없는 그 작품 취급 받는 듯하다.</del>


;엑소더스! (えくそだすっ!)
;엑소더스! (えくそだすっ!)
:극중에서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이 7년 만에 원청제작을 한 1쿨 분량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푸룽푸룽 천국 이후 감독 일에선 사실은 손을 놓아버린 키노시타 세이이치의 감독 복귀작이라는 점 점 때문에 엄청난 불신을 받았으나, 온갖 우여곡절끝에 성공리에 완성시킴으로써 그간의 악명을 전부 만회하고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었다. 참고로 시로바코 DVD/BD 3권 특전 영상으로 엑소더스! 1화가 수록되어 있다. 작중 설정으로 패키지의 매출은 초동 4~5천 장 내외.
:극중에서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이 7년 만에 원청제작을 한 1쿨 분량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키노시타 세이이치]]가 담당했다는 점 때문에 엄청난 불신을 받았으나, 온갖 우여곡절끝에 성공리에 완성시킴으로써 『푸룽푸룽 천국』의 악평을 덜어냄은 물론이고,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었다. 《SHIROBAKO》 본 작품의 DVD/BD 3권 특전 영상으로 1화가 들어가 있다. 작중 설정으로 패키지의 매출은 초등 4~5천 장 내외.


;제3비행소녀대 (第三飛行少女隊)
;제3비행소녀대 (第三飛行少女隊)
:『엑소더스!』의 성공 이후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에서 제작을 맡은 작품. 참고로 원작 모티브는 《[[스트라이크 위치스]]》인 듯하며, 원작자인 노가메 타케조의 전반적 성향은 [[노가미 타케시]]의 패러디. 원작은 4권 발매 이후 누계 140만부를 돌파하는 엄청난 판매고를 올린 인기작으로, 여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간의 경합이 벌어진 끝에 『엑소더스!』의 성공과 제작기간을 최대한 짧게 해주겠다는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한 무사시 애니메이션이 낙찰을 받았다. 분량은 총 1쿨.
:작중 『엑소더스!이후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차기작. 모티브는 《[[스트라이크 위치스]]》인 듯하며, 원작자인 노가메 타케조의 전반적 성향은 [[노가미 타케시]]의 패러디. 4권만에 누계 140만부를 돌파하는 엄청난 인기를 가진 작품으로 여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간의 경쟁이 이루어졌지만 『엑소더스!』의 성공과 제작기간을 짧게 가진다는 전제 하에 무사시 애니메이션이 애니화를 가져간다. 분량은 총 1쿨.


== 주제가 ==
== 주제가 ==
158번째 줄: 171번째 줄:


*  『'''보물상자 -TREASURE BOX-'''』 (宝箱-TREASURE BOX-) (제2쿨)
*  『'''보물상자 -TREASURE BOX-'''』 (宝箱-TREASURE BOX-) (제2쿨)
** {{배지|노래ㆍ작사}} [[오쿠이 마사미]]
** {{배지|노래·작사}} [[오쿠이 마사미]]
** {{배지|작곡}} 카요코 {{배지|편곡}} [[치바 "naotyu-" 나오키]]
** {{배지|작곡}} 카요코 {{배지|편곡}} [[치바 "naotyu-" 나오키]]


165번째 줄: 178번째 줄:


*  『'''Animetic Love Letter'''』 (제1쿨)
*  『'''Animetic Love Letter'''』 (제1쿨)
** {{배지|노래}} 미야모리 아오이 (CV. [[키무라 쥬리]])ㆍ야스하라 에마 (CV. [[요시무라 하루카]])ㆍ사카키 시즈카 (CV. [[치스가 하루카]])
** {{배지|노래}} 미야모리 아오이 ([[키무라 쥬리]])·야스하라 에마 ([[요시무라 하루카]])·사카키 시즈카 ([[치스가 하루카]])
** {{배지|작사ㆍ작곡}} 모모이 하루코 {{배지|편곡}} 와타나베 타카시
** {{배지|작사·작곡}} 모모이 하루코 {{배지|편곡}} 와타나베 타카시


{{유튜브|aIeXZ5sHDrc}}
{{유튜브|aIeXZ5sHDrc}}


*  『'''플래티나 제트'''』 (プラチナジェット) (제2쿨)
*  『'''플래티나 제트'''』 (プラチナジェット) (제2쿨)
** {{배지|노래}} 도너츠◎퀸텟 <nowiki>[</nowiki>미야모리 아오이 (CV. 키무라 쥬리)ㆍ야스하라 에마 (CV. 요시무라 하루카)ㆍ사카키 시즈카 (CV. 치스가 하루카)ㆍ토도 미사 (CV. [[타카노 아사미]])ㆍ이마이 미도리 (CV. [[오와다 히토미]])
** {{배지|노래}} 도너츠◎퀸텟 <nowiki>[</nowiki>미야모리 아오이 (키무라 쥬리)·야스하라 에마 (요시무라 하루카)·사카키 시즈카 (치스가 하루카)·토도 미사 ([[타카노 아사미]])·이마이 미도리 ([[오와다 히토미]])
** {{배지|작사ㆍ작곡}} 모모이 하루코 {{배지|편곡}} 와타나베 타카시
** {{배지|작사·작곡}} 모모이 하루코 {{배지|편곡}} 와타나베 타카시


=== 삽입가 ===
=== 삽입가 ===
178번째 줄: 191번째 줄:


* 『'''아임 소리 EXODUS'''』 (あいむそーりーEXODUS)
* 『'''아임 소리 EXODUS'''』 (あいむそーりーEXODUS)
** {{배지|노래}} 트레이시 <nowiki>[</nowiki>나카하루 메이 (CV. [[나카하라 마이]])ㆍ이토 스즈카 (CV. [[이토 시즈카]])ㆍ카야나 무이 (CV. [[카야노 아이]])<nowiki>]</nowiki>
** {{배지|노래}} 트레이시 <nowiki>[</nowiki>나카하루 메이 ([[나카하라 마이]])·이토 스즈카 ([[이토 시즈카]])·카야나 무이 ([[카야노 아이]])<nowiki>]</nowiki>
** {{배지|작사}} 아포칼립스 아타미 ([[미즈시마 츠토무]]) {{배지|작곡ㆍ편곡}} 타카시마 카즈시 (타카키 류지)
** {{배지|작사}} 아포칼립스 아타미 ([[미즈시마 츠토무]]) {{배지|작곡·편곡}} 타카시마 카즈시 (타카키 류지)
** 극중극 『엑소더스!』의 오프닝 테마. 《SHIROBAKO》 본편 제1화의 오프닝 테마로도 쓰였다.
** 극중극 『엑소더스!』의 오프닝 테마. 《SHIROBAKO》 본편 제1화의 오프닝 테마로도 쓰였다.
* 『'''C 멜로디로부터 사랑을 담아'''』 (Cメロから愛を込めて)
* 『'''C 멜로디로부터 사랑을 담아'''』 (Cメロから愛を込めて)
** {{배지|노래}} 아카네 (CV. 나카하라 마이)
** {{배지|노래}} 아카네 (나카하라 마이)
** {{배지|작사}} 쿠마노 키요미 {{배지|작곡ㆍ편곡}} 타카시마 카즈시 (타카키 류지)
** {{배지|작사}} 쿠마노 키요미 {{배지|작곡·편곡}} 타카시마 카즈시 (타카키 류지)
** 극중극 『엑소더스!』의 엔딩 테마.
** 극중극 『엑소더스!』의 엔딩 테마.
* 『'''앨리스 인 블루'''』 (アリス・イン・ブルー)
* 『'''앨리스 인 블루'''』 (アリス・イン・ブルー)
** {{배지|노래}} Rita
** {{배지|노래}} Rita
** {{배지|작사}} 쿠마노 키요미 {{배지|작곡ㆍ편곡}} 와타나베 체루
** {{배지|작사}} 쿠마노 키요미 {{배지|작곡·편곡}} 와타나베 체루
** 극중극 『제3비행소녀』의 오프닝 테마.
** 극중극 『제3비행소녀』의 오프닝 테마.
* 『'''Angel Fly'''』
* 『'''Angel Fly'''』
199번째 줄: 212번째 줄: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빈 문단}}
== 제작진 ==
{{빈 문단}}
{{빈 문단}}


242번째 줄: 252번째 줄:
1쿨 초반이 평이한 내용이라 큰 인기몰이를 이뤄내진 못했지만,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나 작품관련 패러디가 상당수 들어가 있어 매니아들이 분석 및 연구를 활발하게 하는 등 나름대로 유의미한 실적은 내고 있었다. 그리고 1쿨 후반에 터진 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려내고 몇몇 인물들의 성장까지 이뤄내며 시청자들의 눈도장을 확실하게 찍게되며 인기 애니메이션으로 급부상하게 된다.
1쿨 초반이 평이한 내용이라 큰 인기몰이를 이뤄내진 못했지만,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나 작품관련 패러디가 상당수 들어가 있어 매니아들이 분석 및 연구를 활발하게 하는 등 나름대로 유의미한 실적은 내고 있었다. 그리고 1쿨 후반에 터진 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감동적으로 그려내고 몇몇 인물들의 성장까지 이뤄내며 시청자들의 눈도장을 확실하게 찍게되며 인기 애니메이션으로 급부상하게 된다.


2쿨에서도 이점을 이어가 여전히 좋은 평이 대다수였고, 무엇보다 패러디를 하면서도 뛰어난 완급조절과 안정된 작화, 무엇보다도 스토리 자체가 무척 긴장감 있게 짜여진 만큼 단 한회도 낭비하지 않고 재미있게 짜여진 터라 완결이 날 즈음에는 '''우주명작'''이라는 칭호를 얻게 된다. 물론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를 사실감 있게 표현하면서 미화를 안 한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그 정도는 어느정도 순화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는 게 중론.<ref>대표적인 예로 2쿨에 나온 성우 캐스팅 회의. 이런저런 어른의 사정과 스폰서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잘 묘사했는데, 제작진의 언급에 따르면 큰 틀에선 사실이지만 엄청 부드러운 버전으로 바꾼 것이라고 한다.</ref> 여담으로 애니메이션 업계에 몸을 담은 사람들 중에서 일부는 이 작품을 보고 고통스러워 했다는 소문이 있다.<s>실제는 묘사보다 백만 배 정도 고통스럽고 힘든 3D스러운 측면이 많다고 카더라.</s>
2쿨에서도 이점을 이어가 여전히 좋은 평이 대다수였고, 무엇보다 패러디를 하면서도 뛰어난 완급조절과 안정된 작화, 무엇보다도 스토리 자체가 무척 긴장감 있게 짜여진 만큼 단 한회도 낭비하지 않고 재미있게 짜여진 터라 완결이 날 즈음에는 '''우주명작'''이라는 칭호를 얻게 된다. 물론 애니메이션 업계를 사실감 있게 표현하면서 미화를 안 한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그 정도는 애니메이션화하면서 순화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는 게 중론. 물론 애니메이션 업계에 몸을 담은 사람들은 고통스러워서 못 보겠다고 하기도 한다는 설이 있다.<s>실제는 묘사보다 백만 배 정도 고통스럽다고 카더라.</s>


이렇게 평이 늦게 터진 원인은 타겟이 한국 기준 일반적인 10대~20대 초반이 아닌 사회인에 들어선 20대 중반 이후의 연령을 타겟으로 한 애니메이션이고, 보통 서브컬처에 한참 버닝을 하는 세대가 20대 초반인 점이라는 점<s>사회진출하면 애니 볼 시간이 없단다</s>이 가장 크며, 이후 해설이 돌아다니면서 작품에 대한 해석이 쉬워지고, 무엇보다도 앞으로 애니메이션 업계가 어떤 면을 추구해야 하느냐에 대한 고찰까지 들어 있는 등 재미있지만 간단하지는 않은 것이 가장 크다.
이렇게 평이 늦게 터진 원인은 타겟이 한국 기준 일반적인 10대~20대 초반이 아닌 사회인에 들어선 20대 중반 이후의 연령을 타겟으로 한 애니메이션이고, 보통 서브컬처에 한참 버닝을 하는 세대가 20대 초반인 점이라는 점<s>사회진출하면 애니 볼 시간이 없단다</s>이 가장 크며, 이후 해설이 돌아다니면서 작품에 대한 해석이 쉬워지고, 무엇보다도 앞으로 애니메이션 업계가 어떤 면을 추구해야 하느냐에 대한 고찰까지 들어 있는 등 재미있지만 간단하지는 않은 것이 가장 크다.
248번째 줄: 258번째 줄:
==기타==
==기타==
[[파일:시로바코-시로바코.jpg|thumb|《SHIROBAKO》 제1화의 시로바코]]
[[파일:시로바코-시로바코.jpg|thumb|《SHIROBAKO》 제1화의 시로바코]]
* 이 작품의 제목인 '''시로바코'''(白箱, 흰 상자)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의 은어로,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 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최초로 완성된 시작품(試作品)을 의미한다. 과거 [[VHS]]가 영상매체의 주요 저장수단으로 쓰이던 시절 새하얀 무지(無地) 케이스에 비디오 테이프를 넣어 관계자들에게 배포하던 것에서 유래한 것. 2000년대 들어선 VHS보다 저장용량이 월등히 크고 부피도 작은 광미디어 매체([[DVD]])를 사용하는 게 대세지만, 시로바코라는 은어는 관습적으로 계속 쓰이고 있는 중이며, 우측과 같이 흰색 DVD에 담는 식으로 나름대로 전통(?)을 지키고 있다.
* 제목의 시로바코(白箱, 흰 상자)일본 업계의 은어로,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 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최초로 완성되었을 때 이것을 [[VHS]]에 담아 하얀 민무늬 패키지에 싸서 제작자들에게 배포한 것을 말한다. 말하자면 시작품(試作品). 참고로 2000년대 들어선 VHS보다 저장용량이 월등히 크고 부피도 작은 광미디어 매체([[DVD]])를 사용하는 게 대세지만, 시로바코라는 은어는 관습적으로 계속 쓰이고 있는 .


* 뜬금없이 제16화에서 등장한 엔젤 체조가 유명세를 탔다. 일본어, 중국어, 이탈리아어, 독일어로 숫자를 세며 콩콩 뛰는 그 특유의 귀여움 때문에 온갖 [[패러디]]가 탄생했다. 심지어 60분짜리 재생도 존재한다. 참고로 미즈시마 츠토무 감독이 구상한 안무라고 하는데, 그는 감독을 맡은 작품에 이런 과장된 요소를 넣는 경향이 강하기로 유명하다.
* 뜬금없이 제16화에서 등장한 엔젤 체조가 유명세를 탔다. 일본어, 중국어, 이탈리아어, 독일어로 숫자를 세며 콩콩 뛰는 그 특유의 귀여움 때문에 온갖 [[패러디]]가 탄생했다. 심지어 60분짜리 재생도 존재한다. 참고로 미즈시마 츠토무 감독이 구상한 안무라고 하는데, 그는 감독을 맡은 작품에 이런 과장된 요소를 넣는 경향이 강하기로 유명하다.


* 작중에 등장하는 제작사 및 인물들 대부분은 실제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인들에게서 모티브를 따와 창조한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간판 감독인 키노시타 세이이치는 [[강철의 연금술사]] 2003년판과 [[기동전사 건담 더블오]] 시리즈로 유명한 [[미즈시마 세이지]]가 모델이고,<ref>통통한 외모까지 거의 흡사하며, 미즈미사 감독이 키노시타 감독 코스프레를 한 사진을 SNS에 올린 적도 있다.</ref> 키노시타 감독과 자주 협업하는 애니메이션 각본가 마이타케 시메지는 [[Fate 시리즈]]로 유명한 종찹 컨텐츠 기업 [[TYPE-MOON]]의 간부 겸 시나리오 라이터 [[나스 키노코]]가 모델이다.<ref>나스 키노코는 가지(채소) + 버섯이란 단어를 조합해 만든 필명인데, 마이타케는 잎새버섯 / 시메지는 땅찌만가닥버섯을 의미하는 식으로 필명 모티브까지 거의 비슷하게 패러디했다.</ref> 참고로 이 작품의 제작사 P.A.WORKS의 스태프들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들이 많은데, 자체적으로 샐프 패러디를 노린 듯 하다.
* 작중에 등장하는 제작사 및 인물들 대부분은 실제 일본 애니메이션 업계인들에게서 모티브를 따와 창조한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무사시노 애니메이션의 간판 감독인 키노시타 세이이치는 [[강철의 연금술사]] 2003년판과 [[기동전사 건담 더블오]] 시리즈로 유명한 [[미즈시마 세이지]]가 모델이고,<ref>통통한 외모까지 거의 흡사하며, 미즈미사 감독이 키노시타 감독 코스프레를 한 사진을 SNS에 올린 적도 있다.</ref> 키노시타 감독과 자주 협업하는 애니메이션 각본가 마이타케 시메지는 [[Fate 시리즈]]로 유명한 종찹 컨텐츠 기업 [[TYPE-MOON]]의 간부 겸 시나리오 라이터 [[나스 키노코]]가 모델이다.<ref>나스 키노코는 가지(채소) + 버섯이란 단어를 조합해 만든 필명인데, 마이타케는 잎새버섯 / 시메지는 땅찌만가닥버섯을 의미하는 식으로 필명 모티브까지 거의 비슷하게 패러디했다.</ref> 참고로 모티브가 된 업계인들도 사실을 알게되자 응원 메시지를 보내는 등의 관심을 표하곤 했다.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259번째 줄: 269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SHIROBAKO| ]]
[[분류:2014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
[[분류:2014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
[[분류:오리지널 애니메이션]]
[[분류:P.A.WORKS]]
[[분류:일본의 만화]]
[[분류:일본의 만화]]
[[분류:2020년 만화]]
[[분류:2020년 만화]]
[[분류:애니메이션 원작 만화]]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