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P-097-KO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SCP}}
[[분류:SCP-KO]]
{{SCP 객체 정보
{{한국어 SCP}}
{{SCP 개체 정보
| NUM = 097-KO
| NUM = 097-KO
| RATE = 안전
| RATE = <ref>표기되있지 않으나, [[유클리드(SCP 재단 등급)|유클리드]]로 추정됨</ref>
| NAME = ''Callosamia structura''
| NAME = ''Callosamia structura''
| 작가 = thd-glasses
| 작가 = thd-glasses
| lang = KO
| lang = KO
}}
}}
{{주석}}
{{인용문2|
{{인용문2|
[[파일:SCP Foundation (emblem).svg|15픽셀]]<big>'''SCP 재단 과학부 논문 아카이브'''</big>
[[파일:SCP Logo.svg|15픽셀]]<big>'''SCP 재단 과학부 논문 아카이브'''</big>
----
----




{{색|#98000d|'''건축가누에나방'''<br /><big><big>'''<big><big>SCP-097-KO 의 생태와 변칙성에 대한 연구</big></big>'''</big></big>}}<br /><big><big><big>Research on Ecology and Irregularity of ''Callosamia structura''</big></big></big>
{{색|#98000d|'''건축가누에나방'''<br/><big><big>'''<big>SCP-097-KO 의 생태와 변칙성에 대한 연구</big>'''</big></big>}}<br/><big><big>Research on Ecology and Irregularity of ''Callosamia structura''</big></big>




31번째 줄: 34번째 줄:


이러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지원하셨을 뿐더러 직접 연구에 참여하여 많은 기여를 해주신 O5-2 의원님, 실험에 필요한 D계급 인원 사용을 기꺼이 용인해 준 인사담당 브라이트 박사와 콘드라키 박사, 인체 실험에 많은 도움을 준 제19기지의 연구원 여러분, 연구자로서 탐구 진행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연구 과정에서 언어의 장벽에 구애받지 않도록 해주었고 9개 국어로 본 논문을 번역하는 데 수고를 아끼지 않은 하리우치 연구원, 그리고 본 논문을 최종적으로 검토ㆍ승인해주신 윤리위원회와 과학부 논문심의의결위원회 위원 여러분께 이 자리를 빌려 무한한 감사를 드린다.
이러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지원하셨을 뿐더러 직접 연구에 참여하여 많은 기여를 해주신 O5-2 의원님, 실험에 필요한 D계급 인원 사용을 기꺼이 용인해 준 인사담당 브라이트 박사와 콘드라키 박사, 인체 실험에 많은 도움을 준 제19기지의 연구원 여러분, 연구자로서 탐구 진행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연구 과정에서 언어의 장벽에 구애받지 않도록 해주었고 9개 국어로 본 논문을 번역하는 데 수고를 아끼지 않은 하리우치 연구원, 그리고 본 논문을 최종적으로 검토ㆍ승인해주신 윤리위원회와 과학부 논문심의의결위원회 위원 여러분께 이 자리를 빌려 무한한 감사를 드린다.
 
 
 


== 본론 ==
== 본론 ==
 
=== SCP-097-KO의 기존 정보 ===
=== SCP-097-KO의 기존 정보 ===
SCP-097-KO(''Callosamia structura'')는 북아메리카 버지니아 중북부의 작은 영역에서 서식하던 산누에나방의 일종이다. 분류학적 계통은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산누에나방과 ''Callosamia''속 ''structura''이며, 표본 개체군을 확보한 뒤 박멸 작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현재 ''Callosamia structura''의 야생 개체군은 없다.
SCP-097-KO(''Callosamia structura'')는 북아메리카 버지니아 중북부의 작은 영역에서 서식하던 산누에나방의 일종이다. 분류학적 계통은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산누에나방과 ''Callosamia''속 ''structura''이며, 표본 개체군을 확보한 뒤 박멸 작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현재 ''Callosamia structura''의 야생 개체군은 없다.
{{인용문2|
{{인용문2|
[[파일:Scp-097-ko-imago-male.jpg|300픽셀|가운데]]<br />그림 1. SCP-097-KO 수컷 성충의 스케치.}}
[[파일:Scp-097-ko-imago-male.jpg]]<br/>그림 1. SCP-097-KO 수컷 성충의 스케치.
}}
SCP-097-KO 성충은 같은 속의 프로메테아누에나방(''Callosamia promethea'')과 흡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번식 방법을 제외하면 별다른 변칙성을 갖지 않는다. 짝짓기를 마친 SCP-097-KO 성충은 근처에 있는 성인 인간(이하 숙주)의 체내에 다량의 알을 낳는다. 부화한 유충은 열 달 반에 걸쳐 숙주의 내부 장기(근육, 소화기관 등)를 먹으며 성장한다. 이때 유충이 성숙해감에 따라 숙주의 내장을 대량 섭취하는데도 숙주는 정상적인 생명 활동을 유지할
SCP-097-KO 성충은 같은 속의 프로메테아누에나방(''Callosamia promethea'')과 흡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번식 방법을 제외하면 별다른 변칙성을 갖지 않는다. 짝짓기를 마친 SCP-097-KO 성충은 근처에 있는 성인 인간(이하 숙주)의 체내에 다량의 알을 낳는다. 부화한 유충은 열 달 반에 걸쳐 숙주의 내부 장기(근육, 소화기관 등)를 먹으며 성장한다. 이때 유충이 성숙해감에 따라 숙주의 내장을 대량 섭취하는데도 숙주는 정상적인 생명 활동을 유지할
뿐더러 사회 활동도 무리 없이 수행한다. SCP-097-KO가 숙주의 신체 기능을 유지하는 원리는 여태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며 숙주 체내에서 SCP-097-KO 유충이 활동하고 성장하는 양상 또한 기록된 바 없다.
뿐더러 사회 활동도 무리 없이 수행한다. SCP-097-KO가 숙주의 신체 기능을 유지하는 원리는 여태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며 숙주 체내에서 SCP-097-KO 유충이 활동하고 성장하는 양상 또한 기록된 바 없다.
43번째 줄: 52번째 줄:


숙주에서 빠져나온 SCP-097-KO 유충은 굴착 집단과 건설 집단으로 나뉘어 변태하는데, 이때 SCP-097-KO는 고치를 이용하여 숙주가 구상했던 건축물을 짓는다. 이는 외부 공격에 취약한 고치 시기를 성공적으로 넘기기 위한 일종의 위장 방법으로 보이며, 이 과정에서 굴착 집단의 개체는 모두 죽지만 건설 집단의 개체들이 성공적으로 우화하여 다음 세대를 구성한다.
숙주에서 빠져나온 SCP-097-KO 유충은 굴착 집단과 건설 집단으로 나뉘어 변태하는데, 이때 SCP-097-KO는 고치를 이용하여 숙주가 구상했던 건축물을 짓는다. 이는 외부 공격에 취약한 고치 시기를 성공적으로 넘기기 위한 일종의 위장 방법으로 보이며, 이 과정에서 굴착 집단의 개체는 모두 죽지만 건설 집단의 개체들이 성공적으로 우화하여 다음 세대를 구성한다.
 
 


=== SCP-097-KO의 기존 특수 격리 절차 ===
=== SCP-097-KO의 기존 특수 격리 절차 ===
58번째 줄: 69번째 줄: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필자 일동은 SCP-097-KO 연구에서 다음의 사항에 중점을 두기로 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필자 일동은 SCP-097-KO 연구에서 다음의 사항에 중점을 두기로 하였다.
* 인간 신체 외에 SCP-097-KO가 성장할 수 있는 환경 탐색, 내지는 숙주의 재활용 가능 여부 연구
* 인간 신체 외에 SCP-097-KO가 성장할 수 있는 환경 탐색, 내지는 숙주의 재활용 가능 여부 연구
* SCP-097-KO가 성장/번식하는 데 무리를 주지 않는 최소한의 사육장 면적 추정
* SCP-097-KO가 성장/번식하는 데 무리를 주지 않는 최소한의 사육장 면적 추정
 
 
 
 
 


== 탐구 계획 ==
== 탐구 계획 ==
 
=== 기초 생태 연구 ===
=== 기초 생태 연구 ===
==== SCP-097-KO의 생태 관찰 ====
==== SCP-097-KO의 생태 관찰 ====
77번째 줄: 92번째 줄:
==== 사육장 면적에 따른 SCP-097-KO의 적응 양상 관찰 ====
==== 사육장 면적에 따른 SCP-097-KO의 적응 양상 관찰 ====
세 개체군의 사육장 부지 면적을 각각 1 km2, 10,000 m2, 100 m2로 조정하여 각 SCP-097-KO 개체군의 대응을 관찰하고, 기존 사육장의 개체군과 비교한다.
세 개체군의 사육장 부지 면적을 각각 1 km2, 10,000 m2, 100 m2로 조정하여 각 SCP-097-KO 개체군의 대응을 관찰하고, 기존 사육장의 개체군과 비교한다.
 
 
 


== 탐구 결과 ==
== 탐구 결과 ==
 
=== 기초 생태 연구 ===
=== 기초 생태 연구 ===
==== SCP-097-KO의 생태 관찰 결과 ====
==== SCP-097-KO의 생태 관찰 결과 ====
SCP-097-KO는 일반적인 ''Callosamia promethea''와 동일하게 알-유충-번데기(고치)-성충을 거치는 완전 변태를 한다. 이는 기존에도 알려져 있던 사실이지만, 본 연구를 통해 특히 유충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었다. SCP-097-KO 유충 역시 수 차례의 탈피를 거쳐 성장하며, 그에 따라 변칙성이 점차 증대된다는 것이 관찰 결과 확실해졌다.
SCP-097-KO는 일반적인 Callosamia promethea와 동일하게 알-유충-번데기(고치)-성충을 거치는 완전 변태를 한다. 이는 기존에도 알려져 있던 사실이지만, 본 연구를 통해 특히 유충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었다. SCP-097-KO 유충 역시 수 차례의 탈피를 거쳐 성장하며, 그에 따라 변칙성이 점차 증대된다는 것이 관찰 결과 확실해졌다.


SCP-097-KO 성충은 5월 초에 짝짓기를 한다. 짝짓기 양태는 동 속의 곤충들과 같으나, 수태한 암컷 성충이 알을 낳는 장소는 익히 알려진 대로 인간의 신체이다. SCP-097-KO 암컷 성충의 꽁무니에는 기생벌의 산란관과 유사한, 포유류 동물의 피부를 뚫기 좋도록 이루어진 뾰족한 산란관이 존재한다. 암컷 성충은 이를 이용해 인간의 체내에 약 350,000 개의 알을 낳는다. 이들은 잠들어 있는 인간을 숙주로 고르는데, 이는 산란을 방해 받지 않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SCP-097-KO 성충은 5월 초에 짝짓기를 한다. 짝짓기 양태는 동 속의 곤충들과 같으나, 수태한 암컷 성충이 알을 낳는 장소는 익히 알려진 대로 인간의 신체이다. SCP-097-KO 암컷 성충의 꽁무니에는 기생벌의 산란관과 유사한, 포유류 동물의 피부를 뚫기 좋도록 이루어진 뾰족한 산란관이 존재한다. 암컷 성충은 이를 이용해 인간의 체내에 약 350,000 개의 알을 낳는다. 이들은 잠들어 있는 인간을 숙주로 고르는데, 이는 산란을 방해 받지 않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89번째 줄: 109번째 줄:
SCP-097-KO의 알은 평균 지름 500 μm로 매우 작으므로 산란관을 통해 숙주의 내장으로 수월하게 주입될 수 있다. 각각의 알들은 약 3분 가량 혈류를 타고 이동하다가 내부 장기에 자리를 잡는데, 이를 통해 알 개체군이 밀집되는 것을 피하고 각 개체의 활동 반경을 확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SCP-097-KO의 알은 평균 지름 500 μm로 매우 작으므로 산란관을 통해 숙주의 내장으로 수월하게 주입될 수 있다. 각각의 알들은 약 3분 가량 혈류를 타고 이동하다가 내부 장기에 자리를 잡는데, 이를 통해 알 개체군이 밀집되는 것을 피하고 각 개체의 활동 반경을 확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용문2|[[파일:scp-097-ko-larva-1.jpg|200픽셀]]<br />그림 2. SCP-097-KO의 1령 유충의 스케치. (×10)}}산란 이후 약 30일이 지나면 숙주 체내의 모든 SCP-097-KO가 일제히 알을 깨고 나온다(1령 유충). 이 과정에서 숙주는 약간의 통증을 호소하지만 SCP-097-KO가 분비하는 미량의 트라마돌염산염과 리도케인 때문에 통증은 금방 사라진다. 1령 유충의 평균 몸길이는 1 mm이고 색은 하얀색이다(그림 2 참고).
{{인용문2|[[파일:scp-097-ko-larva-1.jpg]]<br/>그림 2. SCP-097-KO의 1령 유충의 스케치. (×10)}}산란 이후 약 30일이 지나면 숙주 체내의 모든 SCP-097-KO가 일제히 알을 깨고 나온다(1령 유충). 이 과정에서 숙주는 약간의 통증을 호소하지만 SCP-097-KO가 분비하는 미량의 트라마돌염산염과 리도케인 때문에 통증은 금방 사라진다. 1령 유충의 평균 몸길이는 1 mm이고 색은 하얀색이다(그림 2 참고).


약 다섯 달 동안 1령 유충은 부화한 장소에 머무르며 장기를 섭취한다. 1령 유충이 섭취하는 양은 숙주의 회복력이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므로 숙주는 별다른 이상을 느끼지 못한다. 이로 인해 SCP-097-KO의 1령 유충 기간은 숙주에게 치명적인 "잠복기"가 된다.
약 다섯 달 동안 1령 유충은 부화한 장소에 머무르며 장기를 섭취한다. 1령 유충이 섭취하는 양은 숙주의 회복력이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므로 숙주는 별다른 이상을 느끼지 못한다. 이로 인해 SCP-097-KO의 1령 유충 기간은 숙주에게 치명적인 "잠복기"가 된다.


{{인용문2|[[파일:scp-097-ko-larva-2.jpg|200픽셀]]<br />그림 3. SCP-097-KO의 2령 유충의 스케치. (×5)}}생후 5 개월의 SCP-097-KO는 탈피하여 2령 유충으로 성장한다. 관찰 결과에 따르면 허물을 벗은 뒤에 유충은 벗은 허물을 먹어 영양을 보충한다. 이 시기의 SCP-097-KO 유충은 대개 피하지방층까지 내려가 생활하므로 유충들의 존재를 맨눈으로 확인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유충의 몸길이가 3 mm로 증가할 뿐만 아니라 숙주의 체내에서 조금씩 이동하기 때문에 탈피한 후 수일 간 숙주는 상당한 이물감과 가려움증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유충이 성장해 리도케인 분비량을 늘리면서 완화된다.
{{인용문2|[[파일:scp-097-ko-larva-2.jpg]]<br/>그림 3. SCP-097-KO의 2령 유충의 스케치. (×5)}}생후 5 개월의 SCP-097-KO는 탈피하여 2령 유충으로 성장한다. 관찰 결과에 따르면 허물을 벗은 뒤에 유충은 벗은 허물을 먹어 영양을 보충한다. 이 시기의 SCP-097-KO 유충은 대개 피하지방층까지 내려가 생활하므로 유충들의 존재를 맨눈으로 확인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유충의 몸길이가 3 mm로 증가할 뿐만 아니라 숙주의 체내에서 조금씩 이동하기 때문에 탈피한 후 수일 간 숙주는 상당한 이물감과 가려움증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유충이 성장해 리도케인 분비량을 늘리면서 완화된다.


2령 유충은 1령보다 필요 열량이 두 배 가량 증가하므로 숙주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이 점점 커진다. 숙주의 음식 섭취량이 늘어나기 시작하며, 대개 일부 장기 기능에 가벼운 장애를 겪는다. 또한, 유충기 SCP-097-KO의 변칙성 중 큰 역할을 담당하는 돌기 기관이 이 시기 처음 나타난다. 그러나 2령 유충의 돌기 기관은 미성숙하여 기능을 발휘하진 못한다.
2령 유충은 1령보다 필요 열량이 두 배 가량 증가하므로 숙주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이 점점 커진다. 숙주의 음식 섭취량이 늘어나기 시작하며, 대개 일부 장기 기능에 가벼운 장애를 겪는다. 또한, 유충기 SCP-097-KO의 변칙성 중 큰 역할을 담당하는 돌기 기관이 이 시기 처음 나타난다. 그러나 2령 유충의 돌기 기관은 미성숙하여 기능을 발휘하진 못한다.
{{인용문2|[[파일:scp-097-ko-larva-3.jpg|200픽셀]]<br />그림 3. SCP-097-KO의 3령 유충의 스케치. (×2)}}2령 유충이 탈피할 때와 유사한 방식으로, 생후 6 개월의 SCP-097-KO는 3령 유충이 된다. 3령 유충은 1 cm 정도로 그 크기가 급격히 커져 숙주의 체내에서 상당한 용적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숙주는 기생 당하기 이전보다 몸이 불며 겉보기 체중 역시 증가한다. 이 시기부터 SCP-079-KO 유충은 두 번째와 세 번째 마디에 돌출되어 있는 두 쌍의 돌기 기관을 사용하여 숙주의 신체 부위를 국지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돌기로부터 분출되는 화학 물질이나 전기 신호를 확인하지 못해 정확한 원리는 특정할 수 없으나, 유충 개체들의 돌기를 제거하면 이러한 변칙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돌기 기관이 해당 기제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은 확실하다. 또한, 돌기 기관은 개체 간의 통신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인용문2|[[파일:scp-097-ko-larva-3.jpg]]<br/>그림 3. SCP-097-KO의 2령 유충의 스케치. (×2)}}2령 유충이 탈피할 때와 유사한 방식으로, 생후 6 개월의 SCP-097-KO는 3령 유충이 된다. 3령 유충은 1 cm 정도로 그 크기가 급격히 커져 숙주의 체내에서 상당한 용적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숙주는 기생 당하기 이전보다 몸이 불며 겉보기 체중 역시 증가한다. 이 시기부터 SCP-079-KO 유충은 두 번째와 세 번째 마디에 돌출되어 있는 두 쌍의 돌기 기관을 사용하여 숙주의 신체 부위를 국지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돌기로부터 분출되는 화학 물질이나 전기 신호를 확인하지 못해 정확한 원리는 특정할 수 없으나, 유충 개체들의 돌기를 제거하면 이러한 변칙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돌기 기관이 해당 기제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은 확실하다. 또한, 돌기 기관은 개체 간의 통신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통제 능력을 이용하여 SCP-097-KO 유충은 숙주의 신체를 SCP-097-KO 양육에 적합하도록 조금씩 조정한다. 이때 척수 부근에 자리 잡은 유충 개체군이 중요한 조작을 가하는데, 뇌와 말단 사이의 보고 체계에 간섭해 특정 정보를 왜곡하는 것이다. 혈액 검사 결과에 따르면 신경 신호뿐만 아니라 호르몬 체계까지 조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숙주는 상당한 공복감을 호소하며 식사량을 늘리려 하고, SCP-097-KO의 식량이 되는 장기들의 회복 속도는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통제 능력을 이용하여 SCP-097-KO 유충은 숙주의 신체를 SCP-097-KO 양육에 적합하도록 조금씩 조정한다. 이때 척수 부근에 자리 잡은 유충 개체군이 중요한 조작을 가하는데, 뇌와 말단 사이의 보고 체계에 간섭해 특정 정보를 왜곡하는 것이다. 혈액 검사 결과에 따르면 신경 신호뿐만 아니라 호르몬 체계까지 조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숙주는 상당한 공복감을 호소하며 식사량을 늘리려 하고, SCP-097-KO의 식량이 되는 장기들의 회복 속도는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3령 시기는 SCP-097-KO 개체들의 행동 반경이 상당히 넓어지는 기간이기도 하다. 이때부터 SCP-097-KO 유충은 부화 장소에 머무르는 것에 별다른 의미를 두지 않는 듯 특정 장소에 머무르기보다는 간과 같이 회복이 빨라 양분을 섭취하기 쉬운 장기 주변으로 몰려드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척추 근방에 자리 잡았던 개체들은 숙주의 조작을 위해 목 쪽에 자리를 잡은 채 거의 이동하지 않았다. 이 이후로 숙주의 목은 장기가 자리한 공간을 제외하면 거의 SCP-097-KO 유충으로 가득 차며, 이에 따라 숙주는 심한 목 결림을 호소한다.
3령 시기는 SCP-097-KO 개체들의 행동 반경이 상당히 넓어지는 기간이기도 하다. 이때부터 SCP-097-KO 유충은 부화 장소에 머무르는 것에 별다른 의미를 두지 않는 듯 특정 장소에 머무르기보다는 간과 같이 회복이 빨라 양분을 섭취하기 쉬운 장기 주변으로 몰려드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척추 근방에 자리 잡았던 개체들은 숙주의 조작을 위해 목 쪽에 자리를 잡은 채 거의 이동하지 않았다. 이 이후로 숙주의 목은 장기가 자리한 공간을 제외하면 거의 SCP-097-KO 유충으로 가득 차며, 이에 따라 숙주는 심한 목 결림을 호소한다.
{{인용문2|[[파일:scp-097-ko-larva-4.jpg|200픽셀]]<br />그림 3. SCP-097-KO의 4령 유충의 스케치. (×1.5)}}생후 7 개월에 접어든 SCP-097-KO 유충들은 예의 탈피 과정을 거쳐 4령 유충으로 성장한다. 이 시기에 접어들면 숙주의 신체는 거의 완전히 SCP-097-KO에 의해 통제 가능한 상태에 놓인다. 신경계의 신호 전달 속도가 미세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숙주는 격렬한 활동에 어려움을 겪으며, 반사 반응 역시 현저하게 약해진다. 유충 개체군을 제거하려 하는 등의 일부 행동은 SCP-097-KO에 의해 명령 신호가 차단되어 아예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SCP-097-KO는 개체군의 생존에 피해가 가지 않는 한 숙주의 뇌가 내리는 명령을 거의 그대로 신체에 전달하기 때문에 숙주 본인은 이러한 상황을 전혀 자각할 수 없다.
{{인용문2|[[파일:scp-097-ko-larva-4.jpg]]<br/>그림 3. SCP-097-KO의 2령 유충의 스케치. (×1.5)}}생후 7 개월에 접어든 SCP-097-KO 유충들은 예의 탈피 과정을 거쳐 4령 유충으로 성장한다. 이 시기에 접어들면 숙주의 신체는 거의 완전히 SCP-097-KO에 의해 통제 가능한 상태에 놓인다. 신경계의 신호 전달 속도가 미세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숙주는 격렬한 활동에 어려움을 겪으며, 반사 반응 역시 현저하게 약해진다. 유충 개체군을 제거하려 하는 등의 일부 행동은 SCP-097-KO에 의해 명령 신호가 차단되어 아예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SCP-097-KO는 개체군의 생존에 피해가 가지 않는 한 숙주의 뇌가 내리는 명령을 거의 그대로 신체에 전달하기 때문에 숙주 본인은 이러한 상황을 전혀 자각할 수 없다.


그러나 SCP-097-KO가 신체를 장악해가는 것과 별개로 숙주의 신체는 SCP-097-KO 개체군의 먹이로 희생되면서 한계에 다다르며, 간을 비롯해 주로 먹이가 되던 장기는 회복할 수 없는 수준으로 파괴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런 문제로 숙주가 생명에 위협을 받더라도 SCP-097-KO 개체군은 숙주를 성공적으로 연명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관한 보충 연구는 탐구 1.2를 볼 것.
그러나 SCP-097-KO가 신체를 장악해가는 것과 별개로 숙주의 신체는 SCP-097-KO 개체군의 먹이로 희생되면서 한계에 다다르며, 간을 비롯해 주로 먹이가 되던 장기는 회복할 수 없는 수준으로 파괴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런 문제로 숙주가 생명에 위협을 받더라도 SCP-097-KO 개체군은 숙주를 성공적으로 연명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관한 보충 연구는 탐구 1.2를 볼 것.
108번째 줄: 128번째 줄:


5령 유충으로 진행하기 직전, 즉 생후 290일 무렵에 접어든 SCP-097-KO 개체군은 숙주의 신경 신호를 조작하여 졸도시킨 뒤 숙주를 이동시킨다. 사육장에서 가장 인적이 드문 곳으로 이동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는 숙주를 사회로부터 유리시켜 고치 구조물 건설과 변태를 쉽게 진행하기 위한 행동으로 보인다. 이때 숙주가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SCP-097-KO 개체군은 상황에 따라 다른 대응 양상을 보인다. 다섯 개체군을 대상으로 4령 말기에 숙주를 구속하는 실험을 한 결과 세 개체군은 그 자리에서 5령 유충으로 성장하는 방법을 택한 데 비해, 숙주가 비교적 건강했던 두 개체군은 구속구가 연결되어 있던 숙주의 손발을 절단한 뒤 숙주를 기어서 이동시키는 방식을 취했다. 이는 SCP-097-KO가 상황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의 집단 지성을 갖추고 있음을 시사한다.
5령 유충으로 진행하기 직전, 즉 생후 290일 무렵에 접어든 SCP-097-KO 개체군은 숙주의 신경 신호를 조작하여 졸도시킨 뒤 숙주를 이동시킨다. 사육장에서 가장 인적이 드문 곳으로 이동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는 숙주를 사회로부터 유리시켜 고치 구조물 건설과 변태를 쉽게 진행하기 위한 행동으로 보인다. 이때 숙주가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SCP-097-KO 개체군은 상황에 따라 다른 대응 양상을 보인다. 다섯 개체군을 대상으로 4령 말기에 숙주를 구속하는 실험을 한 결과 세 개체군은 그 자리에서 5령 유충으로 성장하는 방법을 택한 데 비해, 숙주가 비교적 건강했던 두 개체군은 구속구가 연결되어 있던 숙주의 손발을 절단한 뒤 숙주를 기어서 이동시키는 방식을 취했다. 이는 SCP-097-KO가 상황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의 집단 지성을 갖추고 있음을 시사한다.
{{인용문2|[[파일:scp-097-ko-larva-5.jpg|200픽셀]]<br />그림 3. SCP-097-KO의 5령 유충의 스케치. (×5)}}부화한 지 약 9개월 반이 지나면 SCP-097-KO는 5령 유충으로 탈피하며 본격적으로 변태 준비에 들어간다. 이 시기 SCP-097-KO 유충들은 거의 활동하지 않으면서 고치 제작에 필요한 영양분을 축적한다. 이에 의해 숙주는 심각한 무력 상태에 빠진다. 이미 제 기능을 잃은 신체 기관들을 정상적으로 기능시키던 SCP-097-KO 유충들이 관리를 그만둘 뿐 아니라, 그나마 남아 있던 장기들까지 전부 섭취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탐구 2.1의 실험에서 숙주의 건강 상태가 매우 좋지 않을 땐 일부 유충이 4령기에 머무르며 숙주의 생존을 돕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시점에서 숙주는 도움을 청하기 힘든 장소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SCP-097-KO 개체군에 저항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인용문2|[[파일:scp-097-ko-larva-5.jpg]]<br/>그림 3. SCP-097-KO의 2령 유충의 스케치. (×5)}}부화한 지 약 9개월 반이 지나면 SCP-097-KO는 5령 유충으로 탈피하며 본격적으로 변태 준비에 들어간다. 이 시기 SCP-097-KO 유충들은 거의 활동하지 않으면서 고치 제작에 필요한 영양분을 축적한다. 이에 의해 숙주는 심각한 무력 상태에 빠진다. 이미 제 기능을 잃은 신체 기관들을 정상적으로 기능시키던 SCP-097-KO 유충들이 관리를 그만둘 뿐 아니라, 그나마 남아 있던 장기들까지 전부 섭취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탐구 2.1의 실험에서 숙주의 건강 상태가 매우 좋지 않을 땐 일부 유충이 4령기에 머무르며 숙주의 생존을 돕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시점에서 숙주는 도움을 청하기 힘든 장소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SCP-097-KO 개체군에 저항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몸길이 4cm에 이르는 5령 유충은 앞쪽의 서너 마디가 기형적으로 부풀어 올라 있다. 해부 결과 이 부분에는 시멘트 반죽과 유사한 진액이 가득 담겨 있다. 성분 분석 결과 이는 완성된 SCP-097-KO 고치 건축물과 동일한 성분이었으며 구조물 건축을 위한 자재를 비축해두는 것으로 분석된다.
몸길이 4cm에 이르는 5령 유충은 앞쪽의 서너 마디가 기형적으로 부풀어 올라 있다. 해부 결과 이 부분에는 시멘트 반죽과 유사한 진액이 가득 담겨 있다. 성분 분석 결과 이는 완성된 SCP-097-KO 고치 건축물과 동일한 성분이었으며 구조물 건축을 위한 자재를 비축해두는 것으로 분석된다.
130번째 줄: 150번째 줄:
구조물 건설은 인류의 일반적인 건설 순서와 동일하게 지반 및 기둥 축조, 벽면 건설, 지붕 작업 순서로 진행된다. 구조물의 성공적인 건설을 위해 SCP-097-KO 유충들은 자신의 차례가 올 때까지 대기하는 것을 마다치 않는다. 약간의 실험 결과 이 시기에 천적이 개체군을 습격할 경우 무력하게 사냥 당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구조물 건설은 인류의 일반적인 건설 순서와 동일하게 지반 및 기둥 축조, 벽면 건설, 지붕 작업 순서로 진행된다. 구조물의 성공적인 건설을 위해 SCP-097-KO 유충들은 자신의 차례가 올 때까지 대기하는 것을 마다치 않는다. 약간의 실험 결과 이 시기에 천적이 개체군을 습격할 경우 무력하게 사냥 당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자신이 담당해야 할 공간까지 고치가 쌓이면 유충은 구조물 위로 올라가 고치 건설을 시작한다. 상술했듯이 고치를 짓는 방식은 통상의 산누에나방속 곤충과 크게 다를 것이 없지만 SCP-097-KO 유충이 자아내는 물질은 비단 섬유보다는 시멘트에 가깝다. 이는 5령 유충을 해부한 결과 나왔던 것과 동일한 물질이다. 건물의 설계에 따라 이 물질은 형태를 바꾸어 나무나 금속에 가까운 외형을 띠기도 하지만 성분이나 물성이 바뀌지는 않았다. 각 유충 개체가 고치를 완성하는 데에는 대략 1 시간가량이 소모되며 개체군 전체의 구조물 건설이 완료되는 데에는 굴착 집단의 폭파 작업을 포함하여 2주일 가량 소모된다.
자신이 담당해야 할 공간까지 고치가 쌓이면 유충은 구조물 위로 올라가 고치 건설을 시작한다. 상술했듯이 고치를 짓는 방식은 통상의 산누에나방속 곤충과 크게 다를 것이 없지만 SCP-097-KO 유충이 자아내는 물질은 비단 섬유보다는 시멘트에 가깝다. 이는 5령 유충을 해부한 결과 나왔던 것과 동일한 물질이다. 건물의 설계에 따라 이 물질은 형태를 바꾸어 나무나 금속에 가까운 외형을 띄기도 하지만 성분이나 물성이 바뀌지는 않았다. 각 유충 개체가 고치를 완성하는 데에는 대략 1 시간가량이 소모되며 개체군 전체의 구조물 건설이 완료되는 데에는 굴착 집단의 폭파 작업을 포함하여 2주일 가량 소모된다.


SCP-097-KO가 이렇게 복잡하기 짝이 없는 과정을 거쳐서 거대한 고치 구조물을 짓는 것은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취약한 번데기 기간을 안전하게 지내는 방안으로 생각되지만, SCP-097-KO의 번데기 기간이 겨우 수 주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과 고치 건설을 진행하는 동안 SCP-097-KO 유충들이 위협에 고스란히 노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의문이 남는다. 이러한 건설 습성이 진화 과정에서 우연히 자리 잡은 생태 양상이라고 보기엔 지나치게 작위적이고 정교하므로 필자 일동은 SCP-097-KO의 습성에 어떠한 이유가 존재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SCP-097-KO가 이렇게 복잡하기 짝이 없는 과정을 거쳐서 거대한 고치 구조물을 짓는 것은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취약한 번데기 기간을 안전하게 지내는 방안으로 생각되지만, SCP-097-KO의 번데기 기간이 겨우 수 주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과 고치 건설을 진행하는 동안 SCP-097-KO 유충들이 위협에 고스란히 노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의문이 남는다. 이러한 건설 습성이 진화 과정에서 우연히 자리 잡은 생태 양상이라고 보기엔 지나치게 작위적이고 정교하므로 필자 일동은 SCP-097-KO의 습성에 어떠한 이유가 존재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144번째 줄: 164번째 줄:
==== SCP-097-KO의 숙주 통제 능력 연구 결과 ====
==== SCP-097-KO의 숙주 통제 능력 연구 결과 ====
고치 구조물의 건설을 제외한 SCP-097-KO의 변칙성 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숙주 신체의 통제와 기능 유지에 관한 능력일 것이다. 필자 일동은 이것을 "능력"이라 지칭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으며 이는 지금부터 제시할 일련의 실험 결과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이하 나열된 실험들은 탐구 1.1을 완료한 다음 해에 진행했던 것으로, SCP-097-KO 알을 인위적으로 특정 신체 부위에 삽입하여 성장시킨 뒤 몇 가지 인상적인 변인 조작을 가함으로써 SCP-097-KO의 변칙적 능력을 규명할 수 있었다.
고치 구조물의 건설을 제외한 SCP-097-KO의 변칙성 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숙주 신체의 통제와 기능 유지에 관한 능력일 것이다. 필자 일동은 이것을 "능력"이라 지칭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으며 이는 지금부터 제시할 일련의 실험 결과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이하 나열된 실험들은 탐구 1.1을 완료한 다음 해에 진행했던 것으로, SCP-097-KO 알을 인위적으로 특정 신체 부위에 삽입하여 성장시킨 뒤 몇 가지 인상적인 변인 조작을 가함으로써 SCP-097-KO의 변칙적 능력을 규명할 수 있었다.
 
* '''조건 설정'''
* '''조건 설정'''


151번째 줄: 173번째 줄:


참고로, SCP-097-KO 개체군이 실험 결과를 학습할 수 없도록 본 실험에 사용된 D계급 인원과 SCP-097-KO 유충 개체군은 실험 종료 후 모두 소각 처분하였다.
참고로, SCP-097-KO 개체군이 실험 결과를 학습할 수 없도록 본 실험에 사용된 D계급 인원과 SCP-097-KO 유충 개체군은 실험 종료 후 모두 소각 처분하였다.
 
* '''실험 1-1. 숙주의 행동에 대한 저항력 실험'''
* '''실험 1-1. 숙주의 행동에 대한 저항력 실험'''


161번째 줄: 185번째 줄:


'''결과 분석:''' 중추 신경계를 장악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SCP-097-KO가 국지적으로 운동 신경을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D-1022의 자해 시도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한 점, 결과적으로 숙주가 사망하여 개체군이 몰살당한 것을 보면 본 실험에서 SCP-097-KO는 숙주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였다. 이것이 기생 범위가 한정된 탓인지, 3령 유충의 통제력이 부족하기 때문인지는 후속 실험으로 밝혀야 할 것이다.
'''결과 분석:''' 중추 신경계를 장악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SCP-097-KO가 국지적으로 운동 신경을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D-1022의 자해 시도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한 점, 결과적으로 숙주가 사망하여 개체군이 몰살당한 것을 보면 본 실험에서 SCP-097-KO는 숙주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였다. 이것이 기생 범위가 한정된 탓인지, 3령 유충의 통제력이 부족하기 때문인지는 후속 실험으로 밝혀야 할 것이다.
 
* '''실험 1-2. 숙주의 행동에 대한 저항력 실험'''
* '''실험 1-2. 숙주의 행동에 대한 저항력 실험'''


172번째 줄: 198번째 줄:
'''결과 분석:''' 실험 시작 시점에서 D-1023이 시간을 끌긴 했으나 SCP-097-KO는 실험 1-1에 비해 확연히 빠르고 정확한 대처를 보였다. 그뿐 아니라 빠른 시간 안에 전 개체가 기생 부위를 옮겨 숙주 신체의 통제권을 찬탈하기까지 한 것은 기대 이상의 모습이었다. SCP-097-KO 개체군은 상당한 수준의 집단 지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과 분석:''' 실험 시작 시점에서 D-1023이 시간을 끌긴 했으나 SCP-097-KO는 실험 1-1에 비해 확연히 빠르고 정확한 대처를 보였다. 그뿐 아니라 빠른 시간 안에 전 개체가 기생 부위를 옮겨 숙주 신체의 통제권을 찬탈하기까지 한 것은 기대 이상의 모습이었다. SCP-097-KO 개체군은 상당한 수준의 집단 지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렇듯 SCP-097-KO가 외부 자극에 대항해 이동, 역할 변경을 수행하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이후 실험에선 SCP-097-KO 개체군의 기생 부위에 상관없이 모두 뇌파 분석을 병행하기로 한다.
이렇듯 SCP-097-KO가 외부 자극에 대항해 이동, 역할 변경을 수행하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이후 실험에선 SCP-097-KO 개체군의 기생 부위에 상관없이 모두 뇌파 분석을 병행하기로 한다.
 
* '''실험 1-3. 숙주의 행동에 대한 저항력 실험'''
* '''실험 1-3. 숙주의 행동에 대한 저항력 실험'''


181번째 줄: 209번째 줄:


'''결과 분석:''' 부분 기생 상태에서 SCP-097-KO는 숙주에 대해 충분한 통제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CP-097-KO 개체군이 숙주의 신경 신호를 중간에 방수, 조작할 수 있었음에도 자해를 저지할 수 없었던 것은 대상이 인간의 뇌 신경 신호를 해석하지는 못한다는 증거로 여겨진다.
'''결과 분석:''' 부분 기생 상태에서 SCP-097-KO는 숙주에 대해 충분한 통제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CP-097-KO 개체군이 숙주의 신경 신호를 중간에 방수, 조작할 수 있었음에도 자해를 저지할 수 없었던 것은 대상이 인간의 뇌 신경 신호를 해석하지는 못한다는 증거로 여겨진다.
 
* '''실험 1-4. 숙주의 행동에 대한 저항력 실험'''
* '''실험 1-4. 숙주의 행동에 대한 저항력 실험'''


192번째 줄: 222번째 줄:


'''비고:''' 실험이 완료된 후 D계급 인권 보호와 인력 절약에 대한 윤리위원회의 경고 의견을 전달받았다. O5-2와 윤리위원회가 회동한 결과 본 실험이 SCP-097-KO 연구에 상당한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받을 수 있었다.
'''비고:''' 실험이 완료된 후 D계급 인권 보호와 인력 절약에 대한 윤리위원회의 경고 의견을 전달받았다. O5-2와 윤리위원회가 회동한 결과 본 실험이 SCP-097-KO 연구에 상당한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받을 수 있었다.
 
* '''실험 2. 숙주 신체의 손상에 대한 대처 능력 실험'''
* '''실험 2. 숙주 신체의 손상에 대한 대처 능력 실험'''


205번째 줄: 237번째 줄:
'''결과 분석:''' SCP-097-KO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D-1510은 상처 부위를 비정상적인 속도로 회복했다. 이상의 모든 실험에서 SCP-097-KO 개체군은 숙주의 생체 신호가 아닌 개체군의 구성 개체로부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결과 분석:''' SCP-097-KO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D-1510은 상처 부위를 비정상적인 속도로 회복했다. 이상의 모든 실험에서 SCP-097-KO 개체군은 숙주의 생체 신호가 아닌 개체군의 구성 개체로부터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이번 실험으로 SCP-097-KO가 숙주의 목의 신경과 신호 물질을 탈취함으로써 숙주 신체에 회복 속도 향상 등의 복잡한 명령을 내릴 수 있음이 밝혀졌다. 심지어 유충들이 숙주의 장기 기능을 임시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를 고려할 때 SCP-097-KO 유충은 숙주의 회복 기제를 조작하고 섭식 부위의 기능을 보조함으로써 숙주의 장기를 섭취하면서도 숙주의 신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실험으로 SCP-097-KO가 숙주의 목의 신경과 신호 물질을 탈취함으로써 숙주 신체에 회복 속도 향상 등의 복잡한 명령을 내릴 수 있음이 밝혀졌다. 심지어 유충들이 숙주의 장기 기능을 임시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를 고려할 때 SCP-097-KO 유충은 숙주의 회복 기제를 조작하고 섭식 부위의 기능을 보조함으로써 숙주의 장기를 섭취하면서도 숙주의 신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실험 3. 기생 부위 절단 실험'''
* '''실험 3. 기생 부위 절단 실험'''


214번째 줄: 248번째 줄:


'''결과 분석:''' 이 실험으로 SCP-097-KO의 회복 촉진 능력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숙주 체외로 나온 유충들이 겨우 수십 초 남짓밖에 생존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추가로 확인했다.
'''결과 분석:''' 이 실험으로 SCP-097-KO의 회복 촉진 능력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숙주 체외로 나온 유충들이 겨우 수십 초 남짓밖에 생존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추가로 확인했다.
 
 


=== 숙주 연구 ===
=== 숙주 연구 ===
==== 숙주 재활용 연구 결과 ====
==== 숙주 재활용 연구 결과 ====
SCP-097-KO에 의해 숙주가 사망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대뇌, 간뇌, 연수 등의 손실이다. 이를 바탕으로 SCP-097-KO의 우화 과정에서 숙주의 뇌가 파괴되지 않도록 조작을 가하면 한 번 숙주로 사용된 인원을 다시 숙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가설을 수립했다.
SCP-097-KO에 의해 숙주가 사망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대뇌, 간뇌, 연수 등의 손실이다. 이를 바탕으로 SCP-097-KO의 우화 과정에서 숙주의 뇌가 파괴되지 않도록 조작을 가하면 한 번 숙주로 사용된 인원을 다시 숙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가설을 수립했다.
 


'''실험 1.''' 머리-몸 사이 이동 경로 차단 실험
'''실험 1.''' 머리-몸 사이 이동 경로 차단 실험
223번째 줄: 260번째 줄:
'''실험 설계:''' 4령 말기의 유충 개체군이 기생중인 숙주 D-1528의 목을 조심스럽게 절단해 신경과 혈관, 기도 등은 연결한 채 머리만 몸체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머리를 몸에서 약간 떨어트린 채 고정해둠으로써 SCP-097-KO 유충이 숙주의 뇌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되 숙주의 생존에는 문제가 없도록 한다. 영양분은 링거를 통해 공급하며, D-1528이 실험에 저항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전두엽 절제술을 시행한다.
'''실험 설계:''' 4령 말기의 유충 개체군이 기생중인 숙주 D-1528의 목을 조심스럽게 절단해 신경과 혈관, 기도 등은 연결한 채 머리만 몸체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머리를 몸에서 약간 떨어트린 채 고정해둠으로써 SCP-097-KO 유충이 숙주의 뇌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되 숙주의 생존에는 문제가 없도록 한다. 영양분은 링거를 통해 공급하며, D-1528이 실험에 저항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전두엽 절제술을 시행한다.


'''가설:''' 고등 영장류의 머리를 몸으로부터 떨어트려놓는 실험이 성공한 사례가 아직 없다는 점은 불안요소이다<ref>阿笠博士, "高等霊長類の頭脳-身體間連結 (brain-body connect of high level primates)", 103-155, 201█.</ref>. 목을 절단한 상태로 숙주를 생존시키는 데에만 문제가 없다면 실험 자체는 성공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가설:''' 고등 영장류의 머리를 몸으로부터 떨어트려놓는 실험이 성공한 사례가 아직 없다는 점은 불안요소이다[3]. 목을 절단한 상태로 숙주를 생존시키는 데에만 문제가 없다면 실험 자체는 성공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우라 박사는 “SCP-097-KO가 숙주의 뇌를 먹지 못한다면 고치 구조물도 지을 수 없을 것이며, 야생성과 변칙 특성을 대거 상실할 우려가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실험 결과가 성공적이더라도 격리 절차에 반영할 땐 타당성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아우라 박사는 “SCP-097-KO가 숙주의 뇌를 먹지 못한다면 고치 구조물도 지을 수 없을 것이며, 야생성과 변칙 특성을 대거 상실할 우려가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실험 결과가 성공적이더라도 격리 절차에 반영할 땐 타당성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230번째 줄: 267번째 줄:


'''결과 분석:''' SCP-097-KO가 우화하기 위해선 반드시 숙주의 뇌 조직을 섭취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결과 분석:''' SCP-097-KO가 우화하기 위해선 반드시 숙주의 뇌 조직을 섭취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대체재 연구 결과 ====
==== 대체재 연구 결과 ====
 
 


* '''실험 1. 유인원 실험'''
* '''실험 1. 유인원 실험'''


'''실험 설계:''' 인간 대신 보노보, 오랑우탄, 침팬지의 신체에 SCP-097-KO를 기생시킨다. 이후 기존에 D계급 인원에게 실시하던 것과 동일한 조건에서 각 개체군을 사육한다.
'''실험 설계:''' 인간 대신 보노보, 오랑우탄, 침팬지의 신체에 SCP-097-KO를 기생시킨다. 이후 기존에 D계급 인원에게 실시하던 것과 동일한 조건에서 각 개체군을 사육한다.
243번째 줄: 281번째 줄:


'''결과 분석:''' SCP-097-KO가 우화하기 위해선 반드시 인간의 뇌 조직을 섭취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결과 분석:''' SCP-097-KO가 우화하기 위해선 반드시 인간의 뇌 조직을 섭취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실험 2. 복제 뇌세포와 [[SCP-427]]을 적용한 단백질 더미(Dummy) 실험'''
* '''실험 2. 복제 뇌세포와 [[SCP-427]]을 적용한 단백질 더미(Dummy) 실험'''


257번째 줄: 297번째 줄:
'''비고:''' 실험 과정에 인간 복제와 유사한 단계가 존재하므로 윤리위원회에 검토를 의뢰했다. 검토 결과 SCP 재단은 인간의 복제를 금지하지 않으며<ref>''[[SCP-222]]'', SCiPNET archive</ref>, 특히 상기 과정의 경우 뇌 기능과 자아의 완전한 구현에 이르지 않으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답신을 받았다. 다만 D계급 인원의 복제로 인한 잠재적 위험을 고려해, 단백질 더미와 SCP-427을 이용한 인조 신체 제작은 SCP-097-KO의 숙주 제작 등 사전에 정해진 용도에 대해서만 허용한다는 윤리위원회 결의가 채택되었다.<ref>Ethics Committee, "Regulations Of Human Cloning - 201█", 9-10, 201█.</ref>
'''비고:''' 실험 과정에 인간 복제와 유사한 단계가 존재하므로 윤리위원회에 검토를 의뢰했다. 검토 결과 SCP 재단은 인간의 복제를 금지하지 않으며<ref>''[[SCP-222]]'', SCiPNET archive</ref>, 특히 상기 과정의 경우 뇌 기능과 자아의 완전한 구현에 이르지 않으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답신을 받았다. 다만 D계급 인원의 복제로 인한 잠재적 위험을 고려해, 단백질 더미와 SCP-427을 이용한 인조 신체 제작은 SCP-097-KO의 숙주 제작 등 사전에 정해진 용도에 대해서만 허용한다는 윤리위원회 결의가 채택되었다.<ref>Ethics Committee, "Regulations Of Human Cloning - 201█", 9-10, 201█.</ref>
또한, 이렇게 저항이 결여된 사육 환경이 오래 지속될 경우 SCP-097-KO가 숙주 통제 능력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아우라 박사의 지적이 받아들여졌다. 개정 격리 절차에서도 일부 개체군에는 D계급 인원을 직접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이렇게 저항이 결여된 사육 환경이 오래 지속될 경우 SCP-097-KO가 숙주 통제 능력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아우라 박사의 지적이 받아들여졌다. 개정 격리 절차에서도 일부 개체군에는 D계급 인원을 직접 공급할 예정이다.
 
 


=== 사육장 면적 최적화 연구 ===
=== 사육장 면적 최적화 연구 ===
 
==== 사육장 면적에 따른 적응 양상 관찰 결과 ====
==== 사육장 면적에 따른 적응 양상 관찰 결과 ====
SCP-097-KO 개체군이 사육장의 면적에 따라 개체군 규모 및 고치 구조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세 실험은 모두 숙주 더미 한 구와 암수 SCP-097-KO 성충 한 쌍을 각각의 사육장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실험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세 실험은 동시에 진행했다.
SCP-097-KO 개체군이 사육장의 면적에 따라 개체군 규모 및 고치 구조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세 실험은 모두 숙주 더미 한 구와 암수 SCP-097-KO 성충 한 쌍을 각각의 사육장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실험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세 실험은 동시에 진행했다.
 
* '''실험 1. 1 km2 사육장 실험'''
* '''실험 1. 1 km2 사육장 실험'''


270번째 줄: 316번째 줄:


'''결과 분석:''' 2 km2 부지에서 건설했을 때보다 확연히 작은 구조물을 지은 것을 확인했다. 실험 횟수가 적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우나, SCP-097-KO는 주어진 부지 면적에 따라 구조물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지 모른다는 가설을 수립했다.
'''결과 분석:''' 2 km2 부지에서 건설했을 때보다 확연히 작은 구조물을 지은 것을 확인했다. 실험 횟수가 적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우나, SCP-097-KO는 주어진 부지 면적에 따라 구조물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지 모른다는 가설을 수립했다.
 
* '''실험 2. 10,000 m2 사육장 실험'''
* '''실험 2. 10,000 m2 사육장 실험'''


279번째 줄: 327번째 줄:


'''결과 분석:''' SCP-097-KO가 부지 면적에 따라 구조물 크기뿐만 아니라 개체군의 개체 수도 조정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완공된 구조물의 크기는 제공된 면적인 10,000 m2 이하였다. 이는 SCP-097-KO가 서식지 여건에 따라 개체 수와 구조물 규모를 조정한다는 가설에 합치한다.
'''결과 분석:''' SCP-097-KO가 부지 면적에 따라 구조물 크기뿐만 아니라 개체군의 개체 수도 조정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완공된 구조물의 크기는 제공된 면적인 10,000 m2 이하였다. 이는 SCP-097-KO가 서식지 여건에 따라 개체 수와 구조물 규모를 조정한다는 가설에 합치한다.
 
* '''실험 3. 100 m2 사육장 실험'''
* '''실험 3. 100 m2 사육장 실험'''


'''실험 설계:''' 10 m × 10 m 규격, 100 m2 면적의 사육장에서 SCP-097-KO 개체군을 사육한다.
'''실험 설계:''' 10 m × 10 m 규격, 100 m2 면적의 사육장에서 SCP-097-KO 개체군을 사육한다.


'''가설:''' 기존 사육장 부지보다 20000배 작은 면적이므로, 성장에는 큰 문제가 없겠지만 고치 구조물 건설은 어려울 것으로 추정한다.
'''가설:''' 기존 사육장 부지보다 20000배 작은 면적이므로, 성장에는 큰 문제가 없겠지만 고치 구조물 건설은 어려울 것으로 추정한다.
290번째 줄: 340번째 줄:


'''비고:''' 100 m2에도 적응할 수 있음을 확인했지만, 지나치게 개체 수가 적어질 경우 숙주 통제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격리 절차에선 이보다 넓은 면적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비고:''' 100 m2에도 적응할 수 있음을 확인했지만, 지나치게 개체 수가 적어질 경우 숙주 통제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격리 절차에선 이보다 넓은 면적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 결론 ==
== 결론 ==
302번째 줄: 356번째 줄:
{{주석}}
{{주석}}
----
----
[[파일:SCP Foundation (emblem).svg|15픽셀]]<big>'''SCP 재단 과학부 논문 아카이브'''</big>}}
[[파일:SCP Logo.svg|15픽셀]]<big>'''SCP 재단 과학부 논문 아카이브'''</big>}}


== 해설 ==
== 해석 ==
보고서가 아닌 논문 형식의 글. 주석을 보면 SCP 보고서는 따로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댓글에서 논문에 이미 작성된 내용이 중복되는 것 같아 보고서는 뺐다고 밝혔다. 논문인 만큼 압도적인 분량을 자랑한다.
보고서가 아닌 논문 형식의 글. 주석을 보면 SCP 보고서는 따로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댓글에서 논문에 이미 작성된 내용이 중복되는 것 같아 보고서는 뺐다고 밝혔다. 논문인 만큼 압도적인 분량을 자랑한다.


인간에게 기생하는 나방 애벌레로 용화시기에 뇌를 파먹은 뒤 그 뇌의 기억에 따라 고치를 짓는다. 고치가 매우 단단해 실보단 콘크리트 같은 재질이라 한다. 인간의 뇌를 먹지 못하면 집을 지을 정보를 얻지 못해서 용화하지 못한다.
인간에게 기생하는 나방 애벌레로 용화시기에 뇌를 파먹은 뒤 그 뇌의 기억에 따라 고치를 짓는다. 고치가 매우 단단해 실보단 콘크리트같은 재질이라 한다. 인간의 뇌를 먹지 못하면 집을 지을 정보를 얻지 못해서 용화하지 못한다.


실험 과정에서 온갖 잔인하고 엽기적인 인체실험을 자행한다. 윤리위원회는 우려를 표했으나 당장은 잔혹한 인체실험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D계급 인원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만큼 실험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린 듯하다.
실험 과정에서 온갖 잔인하고 엽기적인 인체실험을 자행한다. 윤리위원회는 우려를 표했으나 당장은 잔혹한 인체실험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D계급 인원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만큼 실험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린 듯하다.
{{좌우이동|왼쪽=SCP-096-KO|오른쪽=SCP-098-KO|가운데=SCP-097-KO}}
[[분류:SCP-KO|0]]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