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다른 뜻}}
{{법인 정보
{{법인 정보
|법인이름 = 에스비에스
|법인이름 = 에스비에스<br />SBS (<u>S</u>eoul <u>B</u>roadcasting <u>S</u>ystem)
|원어이름 = SBS
|로고     = [[파일:Seoul Broadcasting System logo.svg|200px]]
|로고     = [[파일:Seoul Broadcasting System logo.svg|200px]]
|형태      = [[주식회사]]
|그림    =
|티커 심볼 =  
|그림설명 =
|산업      = 지상파 방송
|법인종류 = [[주식회사]]
|창립      = [[1990년]] [[11월 14일]]
|주식코드 =  
|창립자    = 태영건설
|분야    = 지상파 방송
|이전 회사 =  
|창립자  = 태영건설
|해체      =  
|창립일  = [[1990년]] [[11월 14일]]
|이후 회사 =  
|해산일  =  
|본사     = {{국기|대한민국}} 
|이전회사 =  
|지사수   =  
|이후회사 =  
|인물     =  
|본사     = [[대한민국]]
|자본금   = 539,436,175,193원<ref name="fss_dart">[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50515001809 금감원 경영공시], [[2015년]] 1분기 일반재무제표 기준, 손익은 누적액으로 작성</ref>
|지사수   =  
|매출액   =  
|인물     =  
|영업이익 = -3,853,372,942원<ref name="fss_dart"/>
|자본금   = 539,436,175,193원<ref name="fss_dart">[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50515001809 금감원 경영공시], [[2015년]] 1분기 일반재무제표 기준, 손익은 누적액으로 작성</ref>
|순이익   = -2,266,338,912원<ref name="fss_dart"/>
|매출액   =  
|자산총액 = 900,211,407,981원<ref name="fss_dart"/>
|영업이익 = -3,853,372,942원<ref name="fss_dart"/>
|주주     = SBS 미디어홀딩스
|순이익   = -2,266,338,912원<ref name="fss_dart"/>
|모기업    = SBS 미디어홀딩스 (태영건설 外)
|자산총액 = 900,211,407,981원<ref name="fss_dart"/>
|자회사   =  
|주주     = SBS 미디어홀딩스
|종업원   =  
|모회사  = SBS 미디어홀딩스 (태영건설 外)
|웹사이트 = https://www.sbs.co.kr/
|자회사   =  
|비고     =  
|종업원   =  
|웹사이트 = https://www.sbs.co.kr/
|비고     =  
}}
}}
'''SBS'''는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지상파 방송]]이면서 서울, 경인권을 시청권역으로 하는 지역민방이다. {{ㅊ|응? 정말? 전국구 아니었어?}}<ref>후술할 내용을 요약하면..., 강원도는 C1, 대전충청은 TJB, 대구경북은 TBC, 부산경남은 KNN 등이 SBS 채널을 대신한다. '지역민영방송'이라 하는데, 동일한 네트워크망을 갖는 KBS나 MBC와는 달리, SBS 계통은 완전히 다른 회사들이 그저 협력하는 관계일 뿐이라 방영하는 프로그램의 종류도 SBS와는 상이해서, 이사 직후에 간혹가다 즐겨보던 프로그램이 사라졌다며 당황해 하기도 한다.</ref> 애칭은 SBS를 모음 없이 읽은 "스브스".
'''SBS'''는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지상파 방송]]이면서 서울, 경인권을 시청권역으로 하는 지역민방이다. {{ㅊ|응? 정말? 전국구 아니었어?}}<ref>후술할 내용을 요약하면..., 강원도는 C1, 대전충청은 TJB, 대구경북은 TBC, 부산경남은 KNN 등이 SBS 채널을 대신한다. '지역민영방송'이라 하는데, 동일한 네트워크망을 갖는 KBS나 MBC와는 달리, SBS 계통은 완전히 다른 회사들이 그저 협력하는 관계일 뿐이라 방영하는 프로그램의 종류도 SBS와는 상이해서, 이사 직후에 간혹가다 즐겨보던 프로그램이 사라졌다며 당황해 하기도 한다.</ref> 애칭은 SBS를 모음 없이 읽은 "스브스".
36번째 줄: 33번째 줄:
이후 완전한 [[민영방송]]을 부활시키자는 의견이 나와 검토되었다가 민선정부가 부활하면서 급물살을 타고 [[1990년]] 법인설립이 인가 된 후 개국준비를 하며 [[1991년]]에 첫 전파를 쏘아올렸다.
이후 완전한 [[민영방송]]을 부활시키자는 의견이 나와 검토되었다가 민선정부가 부활하면서 급물살을 타고 [[1990년]] 법인설립이 인가 된 후 개국준비를 하며 [[1991년]]에 첫 전파를 쏘아올렸다.


과거에는 '''서울방송'''이라는 공식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2000년]] 이후로 서울방송이라는 이름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법인명을 포함한 공식 명칭 자체를 '''SBS'''(Seoul Broadcasting System)로 변경하었다.
과거에는 '''서울방송'''이라는 공식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2000년]] 이후로 서울방송이라는 이름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법인명을 포함한 공식 명칭 자체를 '''SBS'''(에스비에스)로 변경하었다.


== SBS 네트워크 가맹 지역민방 ==
== SBS 네트워크 가맹 지역민방 ==
111번째 줄: 108번째 줄:
***[[로봇트레인]]
***[[로봇트레인]]
***[[라바]] 인 뉴욕
***[[라바]] 인 뉴욕
***[[라바]] 아일랜드
***[[스푸키즈]]
***[[스푸키즈]]
***[[캡슐보이]] 2기
***[[캡슐보이]] 2기
119번째 줄: 115번째 줄:
***[[스페이스 캅스]]
***[[스페이스 캅스]]
***[[하니와 숲속친구들]]
***[[하니와 숲속친구들]]
***[[정글박스]]
***[[스페이스 동의보감]]
***[[아머드 사우루스]]
***[[마법여우 주비]]
***[[슈퍼다이노]]
***[[베스티언즈]]


* 교양 프로그램
* 교양 프로그램
138번째 줄: 128번째 줄:
* 라디오
* 라디오
** 파워FM (네트워크 송출)
** 파워FM (네트워크 송출)
*** 딘딘의 Music High - 밤 11시 ~ 새벽 1시
*** 우원재의 Music High - 밤 11시 ~ 새벽 1시
*** 애프터 클럽 - 새벽 1시 ~ 새벽 3시
*** 애프터 클럽 - 새벽 1시 ~ 새벽 3시
*** 팝 스테이션 - 새벽 3시 ~ 새벽 5시
*** 팝 스테이션 - 새벽 3시 ~ 새벽 5시
144번째 줄: 134번째 줄:
*** [[김영철 (개그맨)|김영철]]의 파워FM - 아침 7시 ~ 오전 8시
*** [[김영철 (개그맨)|김영철]]의 파워FM - 아침 7시 ~ 오전 8시
*** 아름다운 이 아침 [[김창완]]입니다 - 오전 9시 ~ 오전 11시
*** 아름다운 이 아침 [[김창완]]입니다 - 오전 9시 ~ 오전 11시
*** 박하선의 씨네타운 - 오전 11시 ~ 정오
*** 장예원의 씨네타운 - 오전 11시 ~ 정오
*** [[최화정]]의 파워타임 - 정오 ~ 오후 2시
*** [[최화정]]의 파워타임 - 정오 ~ 오후 2시
*** [[두시탈출 컬투쇼]] - 오후 2시 ~ 오후 4시
*** [[두시탈출 컬투쇼]] - 오후 2시 ~ 오후 4시
**** 동시간대 [[FM방송]] 청취율 1위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다. 전체 청취율 1위에서는 내려간 상황
**** 동시간대 [[FM방송]] 청취율 1위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다. 전체 청취율 1위에서는 내려간 상황
*** 황제성의 황제파워 - 오후 4시 ~ 오후 6시
*** 붐의 붐붐파워 - 오후 4시 ~ 오후 6시
*** 박소현의 러브게임 - 오후 6시 ~ 오후 8시
*** 박소현의 러브게임 - 오후 6시 ~ 오후 8시
*** 웬디의 영스트리트 - 오후 8시 ~ 밤 10시
*** 이준의 영스트리트 - 오후 8시 ~ 밤 10시
*** 배성재의 TEN - 밤 10시 ~ 밤 11시
*** 배성재의 TEN - 밤 10시 ~ 밤 11시
** 러브FM (수도권, 동남권 지역 송출)
** 러브FM (수도권, 동남권 지역 송출)
*** 박은경의 스위트 뮤직박스 - 자정 ~ 새벽 2시
*** 김태욱의 기분좋은 밤 - 자정 ~ 새벽 2시
*** 이현경의 뮤직토피아 - 새벽 2시 ~ 새벽 4시
*** 이현경의 뮤직토피아 - 새벽 2시 ~ 새벽 4시
*** 김정일의 생생가요 - 새벽 4시 ~ 새벽 5시
*** 김정일의 생생가요 - 새벽 4시 ~ 새벽 5시
*** 최영주의 아침편지 - 새벽 5시 ~ 아침 6시
*** 유영미의 마음은 언제나 청춘 - 새벽 5시 ~ 아침 6시
*** 고현준의 뉴스 브리핑 - 아침 6시 ~ 오전 7시
*** 고현준의 뉴스 브리핑 - 아침 6시 ~ 오전 7시
*** 김선재의 책하고 놀자 - 주말 아침 6시 ~ 오전 7시
*** 최영아의 책하고 놀자 - 주말 아침 6시 ~ 오전 7시
*** 김태현의 정치쇼 - 오전 오전 7시 ~ 오전 9시
*** 이숙영의 러브FM - 오전 7시 ~ 오전 9시
*** DJ 래피의 드라이브 뮤직 - 주말 오전 7시 ~ 오전 9시
*** 이철희의 정치쇼 - 오전 9시 5분 ~ 오전 11시
*** 이숙영의 러브FM - 오전 9시 5분 ~ 오전 11시
*** DJ 래피의 드라이브 뮤직 - 주말 오전 9시 5분 ~ 오전 11시
*** 정철진의 목돈연구소 - 오전 11시 ~ 정오
*** 허지웅 쇼 - 오전 11시 ~ 정오
*** 허지웅 쇼 - 정오 5분 ~ 오후 2시
*** 이재익의 시사특공대 - 정오 5분 ~ 오후 2시
*** 윤수현의 천태만상 - 오후 2시 20분 ~ 오후 4시, 주말 오후 2시 5분 ~ 오후 4시
*** 나르샤의 아브라카다브라 - 오후 2시 20분 ~ 오후 4시, 주말 오후 2시 5분 ~ 오후 4시
*** 뜨거우면 지상렬 - 오후 4시 ~ 오후 6시
*** 붐의 붐붐파워 - 오후 4시 ~ 오후 6시
*** 정엽의 LP카페 - 오후 6시 5분 ~ 오후 8시
*** 집으로 가는 길 소이현입니다 - 오후 6시 5분 ~ 오후 8시
*** 간미연의 러브나잇 - 오후 8시 5분 ~ 밤 10시
*** 신혜성의 음악 오디세이 - 오후 8시 30분 ~ 밤 10시
*** 최백호의 낭만시대 - 평일 밤 10시 5분 ~ 자정, 주말 밤 10시 ~ 자정
*** 최백호의 낭만시대 - 평일 밤 10시 5분 ~ 자정, 주말 밤 10시 ~ 자정
**** 평일에는 06:00~23:00(공휴일 ~21:00)까지, 주말에는 08:00~21:00까지 매 짝수 정시마다 뉴스를 편성한다.
**** 평일에는 06:00~23:00(공휴일 ~21:00)까지, 주말에는 08:00~21:00까지 매 짝수 정시마다 뉴스를 편성한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