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T U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음악 그룹 정보
{{음악 그룹 정보
|그룹이름 = NCT U
|이름      = NCT U
|원어이름 =  
|배경색    = #32438B
|배경색   = #32438B
|글자색    = #FFFFFF
|글자색  = #FFFFFF
|테두리색   = #32438B
|그림     =  
|로고      =
|그림설명 =  
|로고배경색 =
|다른이름 =  
|로고글자색 =
|나라    = {{나라|대한민국}}
|그림       =
|장르     = K-POP
|그림배경색 =
|활동기간 = [[2016년]] [[4월 9일]] ~ 현재
|그림글자색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그림설명   =  
|레이블  = [[SK텔레콤|아이리버]]
|국가      = {{KOR}}
|팬덤     = 엔씨티즌 (NCTzen)
|출신지역  = {{KOR}} [[서울특별시]]
|웹사이트 = [http://nctuthe7thsense.smtown.com/ 일곱 번째 감각] - 공식 사이트<br />[http://nctuwithoutyou.smtown.com/ WITHOUT YOU] - 공식 사이트
|다른이름  =
|구성원   = [[태일 (NCT)|태일]]ᆞ[[쟈니]]ᆞ[[태용]]ᆞ[[유타 (NCT)|유타]]ᆞ[[쿤]]ᆞ[[도영]]<br />[[텐 (NCT)|텐]]ᆞ[[재현 (NCT)|재현]]ᆞ[[윈윈]]ᆞ[[정우 (NCT)|정우]]ᆞ[[루카스 (NCT)|루카스]]ᆞ[[마크 (NCT)|마크]]<br />[[런쥔]]ᆞ[[제노]]ᆞ[[해찬]]ᆞ[[재민]]ᆞ[[천러]]ᆞ[[지성 (NCT)|지성]]<br />[[샤오쥔]]ᆞ[[헨드리]]ᆞ[[양양]]ᆞ[[쇼타로 (NCT)|쇼타로]]ᆞ[[성찬]]
|장르       = K-POP
|전구성원 =
|데뷔 음반  = 디지털 싱글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일곱 번째 감각<br />(The 7th Sense)]]
|비고    =  
|활동시기  = {{날짜/출력|2016-4-9}} ~ 현재
|레이블    = [[지니뮤직]]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팬덤       = 엔씨티즌 (NCTzen)
|관련활동  =
|웹사이트   = [http://nctuthe7thsense.smtown.com/ 일곱 번째 감각] - 공식 사이트<br />[http://nctuwithoutyou.smtown.com/ WITHOUT YOU] - 공식 사이트
|구성원     = [[태일 (NCT)|태일]]ᆞ[[태용]]ᆞ[[도영]]ᆞ[[텐 (NCT)|텐]]ᆞ[[재현 (NCT)|재현]]ᆞ[[마크 (NCT)|마크]]
|전구성원   =  
}}
}}
== 소개 ==
== 소개 ==
NCT의 첫번째 유닛. NCT UNITED이라는 뜻으로, [[NCT]]의 모든 유닛을 통칭하는 말이다.
NCT의 첫번째 유닛으로 NCT UNIT이라는 뜻이다. 한 마디로 모든 유닛을 통칭하는 이름으로, 사실상 NCT의 모든 멤버가 NCT U라는 이름으로 활동할 수 있다. 따라서 NCT U라고 해서 NCT U의 모든 멤버가 활동하는 게 아니라, 멤버 중에서 활동하는 멤버를 정하여 활동하는 것이다. "일곱 번째 감각"이란 곡으로 활동한 멤버는 [[태용]], [[도영]], [[텐 (NCT)|텐]], [[재현 (NCT)|재현]], [[마크 (NCT)|마크]]로 [[태일 (NCT)|태일]]은 참여하지 않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거기다 후속곡 "WITHOUT YOU"에는 [[태일 (NCT)|태일]], [[재현 (NCT)|재현]], [[도영]]이 참여했는데, 아직 루키즈 멤버였던 [[쿤]]까지 참여하기도 했다.


== 상세 ==
그렇게 [[2017년]]에는 한동안 활동이 없었고, [[2018년]] [[1월]]엔 공식 음반은 아니지만 SM STATION 음반으로 "텐데... (Timeless)"라는 노래를 내기도 했다. 여기선 [[태일 (NCT)|태일]], [[재현 (NCT)|재현]], [[도영]]이 참여했다. 하지만 계속해서 [[NCT 127]][[NCT DREAM]]에만 집중해왔기 때문에 NCT U 컴백은 거의 포기 상태에 있었으나, [[2018년]] [[2월]]에 NCT 2018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뮤직비디오 티저가 떴다!''' 곡명은 [https://www.youtube.com/watch?v=sXcRYBZWrUw BOSS], 기존 NCT U 멤버보다 많은 7명의 [[NCT]] 멤버들이 참여했다. 그 멤버들은 [[태용]], [[마크 (NCT)|마크]], [[재현 (NCT)|재현]], [[도영]], [[정우 (NCT)|정우]], [[루카스 (NCT)|루카스]], [[윈윈]]으로 밝혀졌다.<ref>이 중 새 멤버는 [[정우 (NCT)|정우]][[루카스 (NCT)|루카스]]이며, [[윈윈]][[NCT 127]]에만 있었다가 이번에 참여하게 되었다.</ref>
[[NCT]]나 [[SM 루키즈]] 멤버 중에서 몇 명을 골라 만든 조합으로 활동하는 유닛이다. 원래 유닛 자체가 그런 식이지만, 후에 나온 [[NCT 127]]이나 [[NCT DREAM]]과는 달리 멤버가 정해져 있지 않다. 그러니까 NCT U가 활동한다고 하면 누가 나올지부터 몇 명이 나올지까지 예측불가라는 것이다. [[2018년]] 현재 시점에서 봤을 때는, [[NCT 127|127]]이나 [[NCT DREAM|드림]] 외에 나올 수 있는 모든 조합은 '''모두 NCT U라는 것이다.'''
 
== 활동 기록 ==
* 최소 인원: '''2명''' (Baby Don't Stop - [[태용]], [[텐 (NCT)|텐]])
* 최다 인원
** 타이틀곡: '''7명'''
*** BOSS - [[태용]], [[마크 (NCT)|마크]], [[도영]], [[재현 (NCT)|재현]], [[정우 (NCT)|정우]], [[루카스 (NCT)|루카스]], [[윈윈]]
*** Make A Wish (Birthday Song) - [[태용]], [[도영]], [[재현 (NCT)|재현]], [[루카스 (NCT)|루카스]], [[샤오쥔]], [[재민]], [[쇼타로]]
*** 90's Love - [[텐 (NCT)|]], [[윈윈]], [[마크 (NCT)|마크]], [[제노]], [[해찬]], [[양양]], [[성찬]]
** 수록곡: '''9명'''
*** Raise The Roof - [[태일 (NCT)|태일]], [[쟈니]], [[유타 (NCT)|유타]], [[]], [[정우 (NCT)|정우]], [[헨드리]], [[런쥔]], [[천러]], [[지성 (NCT)|지성]]
* 최소 한 번 이상 참여한 멤버
** [[NCT]]: '''23명 전원'''
** [[SM 루키즈]]: '''1명''' ([[쿤]])<ref>WITHOUT U로 활동할 당시 [[SM 루키즈]] 소속이었다. 물론 이후에 [[NCT]]로 데뷔했으며, [[NCT 2018]] 멤버로 공식 활동은 마쳤다.</ref>
* 최연장자 멤버: [[태일 (NCT)|태일]] (1994년생)
* 최연소자 멤버: [[지성 (NCT)|지성]] (2002년생)
* 최다 참가 멤버: [[도영]] (11회) (비공식 - 14회)


== 멤버 ==
== 멤버 ==
=== 공식 ===
* [[태일 (NCT)|태일]]
{{NCT U의 멤버}}
* [[태용]]
* [[도영]]
* [[텐 (NCT)|텐]]
* [[재현 (NCT)|재현]]
* [[마크 (NCT)|마크]]


=== 비공식 ===
== 음반 ==
<div style="overflow: auto;">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margin: auto; border: 1px solid #32438B; text-align: center;width: 100%"
{| class="wikitable nowraplinks" style="border: 1px solid #32438B;width: 100%;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background: #32438B;color: #FFFFFF" | '''NCT U의 음반 목록'''
|- style="background: #32438B;color: #FFFFFF;font-weight: bold"  
|- style="background: #32438B;color: #FFFFFF"
| 날짜 || 브랜드 || 내용
| '''앨범 종류'''
| colspan="9" | 멤버
| '''발매일'''
| 비고
| '''앨범 제목'''
|-
| '''타이틀 곡'''
| [[2016년]] [[4월 19일]] || [[SK텔레콤]] || 폼(POM) 광고
| '''비고'''
| [[태용]] || [[텐 (NCT)|텐]] || [[마크 (NCT)|마크]] || || || || || ||
| [https://www.youtube.com/watch?v=-gb5Qm38s3o 영상]
|-
| [[2017년]] [[8월 7일]] || [[학교 2017]] || OST 〈Stay In My Life〉 참여
| [[태일 (NCT)|태일]] || [[태용]] || [[도영]] || || || || || ||
| [https://www.youtube.com/watch?v=4e2DvKk2Z6E 뮤비]
|-
|-
| [[2017년]] [[12월 4일]] || [[롯데면세점]] || 뮤직비디오 광고
| style="background: #7183CC" | '''디지털 싱글'''
| [[태일 (NCT)|태일]] || [[태용]] || [[유타 (NCT)|유타]] || [[도영]] || [[텐 (NCT)|텐]] || [[재현 (NCT)|재현]] || [[윈윈]] || [[마크 (NCT)|마크]] || [[해찬]]
| 2016.04.09
| [https://www.youtube.com/watch?v=wSucB6K1N1w 영상]
|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데뷔 음반
|-
|-
| [[2018년]] [[8월 11일]] || [[쇼! 음악중심]] || [[셀럽파이브]] 콜라보 무대
| style="background: #7183CC" | '''디지털 싱글'''
| [[쟈니]] || [[태용]] || [[유타 (NCT)|유타]] || [[도영]] || [[정우 (NCT)|정우]] || [[해찬]] || || ||
| 2016.04.10
| [https://www.youtube.com/watch?v=hXZ19lXILjg 직캠]
| [[WITHOUT YOU]]
| '''WITHOUT YOU'''
| 데뷔 음반
|-
|-
| [[2020년]] [[6월 26일]] || [[뮤직뱅크]] || Kick & Ride 무대
| style="background: #7183CC" | '''SM STATION 2'''
| [[재현 (NCT)|재현]] || [[정우 (NCT)|정우]] || [[제노]] || [[해찬]] || [[재민]] || || || ||
| 2018.01.12
| [https://www.youtube.com/watch?v=eL3RFs4fXFs 직캠]
| [[텐데... (Timeless)]]
| '''텐데... (Timeless)'''
|  
|}
|}
</div>


== 음반 ==
{{본문|NCT U/음반 목록}}
{{NCT U의 음반}}
=== 디지털 싱글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 디지털 싱글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곡 목록
{{곡 목록
| 총 재생시간 = 3:34
|작사표시 =
| 곡 목록    =
|작곡표시 =
{{곡 목록/곡
|제목1 =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트랙 번호  = 1
|작사1 = 1월 8일ᆞ김동현ᆞ<br />조진주ᆞ[[태용]]ᆞ[[마크 (NCT)|마크]]
| 제목        =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작곡1 = Timothy `Bos` BullockᆞTay Jasperᆞ<br />Adrian MckinnonᆞSara Forsbergᆞ<br />Michael JiminezᆞLeven Kali
| 타이틀      = 예
|재생시간1 = 3:34
| 작사        = 1월 8일ᆞ김동현ᆞ조진주ᆞ[[태용]]ᆞ[[마크 (NCT)|마크]]
|총재생시간 = 3:34
| 작곡        = Timothy `Bos` BullockᆞTay JasperᆞAdrian MckinnonᆞSara ForsbergᆞMichael JiminezᆞLeven Kali
| 재생시간    = 3:34
}}
}}
}}
<br />
<br />
97번째 줄: 84번째 줄:
=== 디지털 싱글 《[[WITHOUT YOU]]》 ===
=== 디지털 싱글 《[[WITHOUT YOU]]》 ===
{{곡 목록
{{곡 목록
| 총 재생시간 = 6:50
|작사표시 =
| 곡 목록    =
|작곡표시 =
{{곡 목록/곡
 
| 트랙 번호  = 1
|제목1 = '''[[WITHOUT YOU]]'''
| 제목        = [[WITHOUT YOU]]
|작사1 = 유영진
| 타이틀      = 예
|작곡1 = Matt SchwartzᆞKi FitzgeraldᆞJohn Reid
| 작사        = 유영진
|재생시간1 = 3:25
| 작곡        = Matt SchwartzᆞKi FitzgeraldᆞJohn Reid
 
| 재생시간    = 3:25
|제목2 = '''[[WITHOUT YOU]] (Chinese Ver.)'''
}}
|작사2 = 유영진
{{곡 목록/곡
|작곡2 = Matt SchwartzᆞKi FitzgeraldᆞJohn Reid
| 트랙 번호  = 2
|재생시간2 = 3:25
| 제목        = [[WITHOUT YOU]] (Chinese Ver.)
 
| 작사        = 유영진
|총재생시간 = 6:50
| 작곡        = Matt SchwartzᆞKi FitzgeraldᆞJohn Reid
| 재생시간    = 3:25
}}
}}
}}
<br />
<br />
{{YouTube|y6OcvS54KYQ|||center}}
{{YouTube|y6OcvS54KYQ|||center}}
<br />
<br />
칠감 발매 뒤에 발표한 싱글로, 여기에 참여한 멤버는 [[태일 (NCT)|태일]], [[도영]], [[재현 (NCT)|재현]]이다. SM 루키즈 멤버인 [[쿤]]도 참여했으나 중국어 버전에만 참여했다. 장르는 팝 락<ref>[[윤하]]의 "비밀번호 486" 같은 곡들을 생각하면 쉽다. [[록]] 중에서도 대중적인 색채를 많이 띠는 장르.</ref>으로 칠감과는 달리 익숙한 장르기 때문에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곡이다.
칠감 발매 뒤에 발표한 싱글로, 여기에 참여한 멤버는 [[태일 (NCT)|태일]], [[도영]], [[재현 (NCT)|재현]]이다. SM 루키즈 멤버인 [[쿤]]도 참여했으나 중국어 버전에만 참여했다. 장르는 팝 락<ref>[[윤하]]의 "비밀번호 486" 같은 곡들을 생각하면 쉽다. [[록 (음악)|록]] 중에서도 대중적인 색채를 많이 띠는 장르.</ref>으로 칠감과는 달리 익숙한 장르기 때문에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곡이다.


=== SM STATION 2 《[[텐데... (Timeless)]]》 ===
=== SM STATION 2 《[[텐데... (Timeless)]]》 ===
{{곡 목록
{{곡 목록
| 총 재생시간 = 8:20
|작사표시 =
| 곡 목록    =
|작곡표시 =
{{곡 목록/곡
|편곡표시 =
| 트랙 번호  = 1
 
| 제목        = [[텐데... (Timeless)]]
|제목1 = '''[[텐데... (Timeless)]]'''
| 타이틀      = 예
|작사1 = 전간디
| 작사        = 전간디
|작곡1 = Andrew Choiᆞ220ᆞ김용신
| 작곡        = Andrew Choiᆞ220ᆞ김용신
|편곡1 = 220
| 편곡        = 220
|재생시간1 = 4:10
| 재생시간    = 4:10
 
}}
|제목2 = '''[[텐데... (Timeless)]] (inst.)'''
{{곡 목록/곡
|작사2 =
| 트랙 번호  = 2
|작곡2 = Andrew Choiᆞ220ᆞ김용신
| 제목        = [[텐데... (Timeless)]] (inst.)
|편곡2 = 220
| 작곡        = Andrew Choiᆞ220ᆞ김용신
|재생시간2 = 4:10
| 편곡        = 220
 
| 재생시간    = 4:10
|총재생시간 = 8:20
}}
}}
}}
<br />
<br />
146번째 줄: 129번째 줄:
정식 발매 이전에 [[SM 루키즈]] 활동할 때 선보인 적이 있으며, 참여한 멤버는 각각 [[태일 (NCT)|태일]], [[재현 (NCT)|재현]], [[도영]]이다.
정식 발매 이전에 [[SM 루키즈]] 활동할 때 선보인 적이 있으며, 참여한 멤버는 각각 [[태일 (NCT)|태일]], [[재현 (NCT)|재현]], [[도영]]이다.


=== 《NCT 2018 EMPATHY》 ===
=== BOSS ===
==== BOSS ====
{{YouTube|0AUFyFEt35g|||center}}
{{YouTube|0AUFyFEt35g|||center}}
<br />
<br />
154번째 줄: 136번째 줄:


뮤직비디오에서는 7명의 멤버가 각자의 영역에서 온 7명의 다른 보스로 나온다. 이 보스들이 이 중에서 최고의 보스를 가리기 위해 결전을 벌이기 위해 한 곳으로 모이는 것. 그래서 서로서로 염탐하고 치고 박고 싸우지만, 하지만 마지막에는 모든 보스들이 다 같은 한 팀이란 걸 깨닫는다. 그래서 모든 보스가 단합하여 다른 한 대상과의 싸움을 준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뮤직비디오에서는 7명의 멤버가 각자의 영역에서 온 7명의 다른 보스로 나온다. 이 보스들이 이 중에서 최고의 보스를 가리기 위해 결전을 벌이기 위해 한 곳으로 모이는 것. 그래서 서로서로 염탐하고 치고 박고 싸우지만, 하지만 마지막에는 모든 보스들이 다 같은 한 팀이란 걸 깨닫는다. 그래서 모든 보스가 단합하여 다른 한 대상과의 싸움을 준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Baby Don't Stop ====
{{YouTube|k0DqRstCgj4|||center}}
<br />
[[SM엔터테인먼트]]의 [[NCT]] 초대형 프로젝트인 [[NCT|NCT 2018]]의 일환으로 공개된 뮤직비디오이다. 참여한 멤버는 [[태용]]과 [[텐 (NCT)|텐]] 딱 2명으로, 개인 티저가 공식 유튜브 채널에 각각 올라왔다. [[2018년]] [[2월 27일]]에 뮤직비디오로 선공개되었다.
==== YESTODAY ====
{{YouTube|gUWDiXBNohY|||center}}
<br />
[[SM엔터테인먼트]]의 [[NCT]] 초대형 프로젝트인 [[NCT|NCT 2018]]의 일환으로 공개된 뮤직비디오이다. 참여한 멤버는 [[태용]], [[마크 (NCT)|마크]], [[루카스 (NCT)|루카스]], [[도영]]으로, [[2018년]] [[4월 2일]] 자정에 공개되었다. 타이틀 곡인 BOSS, Baby Don't Stop, GO, TOUCH 이후로 공개된 뮤직비디오로, NCT 2018 최초로 NCT 2018 EMPATHY 발매일 이후에 공개된 뮤직비디오이다. 제목인 YESTODAY는 YESTERDAY(어제)와 TODAY(오늘)를 합친 말로, '어제가 될 오늘'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 수상 ==
=== 음악방송 1위 ===
* '''Make A Wish (Birthday Song)'''
** [[2020년]] [[10월 21일]]: [[MBC MUSIC]] 쇼 챔피언 - '''1위'''<ref>NCT U 첫 1위</ref>
** [[2020년]] [[10월 22일]]: [[M.net]] [[엠 카운트다운]] - '''1위'''
** [[2020년]] [[10월 23일]]: [[KBS]] [[뮤직뱅크]] - '''1위'''<ref>NCT U 공중파 첫 1위</ref>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183번째 줄: 148번째 줄:
[[분류:NCT U| ]]
[[분류:NCT U| ]]
[[분류:2016년 데뷔]]
[[분류:2016년 데뷔]]
[[분류:NCT]]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