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18 호넷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3번째 줄: 23번째 줄:
}}
}}


'''F/A-18 호넷''' 은 [[미국]]의 함상 [[전투기]]다.
'''F/A-18 호넷''' 은 [[미국]]의 함상 [[전투기]]다.  


멕도넬 더글러스의 경전투기에서 출발해 미 해군의 함재기로 채택된 후 함재 기종을 단일화 시킨 전투기로 냉전 이후 함재기의 대명사기도 했다.
멕도넬 더글러스의 경전투기에서 출발해 미 해군의 함재기로 채택된 후 함재 기종을 단일화 시킨 전투기로 냉전 이후 함재기의 대명사기도 했다.
30번째 줄: 30번째 줄:
이명인 호넷은 말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명인 호넷은 말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개발==
==개발==
F/A-18 호넷은 멕도넬 더글러스 항공사에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보잉에서 제작된다.
F/A-18 호넷은 멕도넬 더글러스 항공사에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보잉에서 제작된다.  


호넷의 개발 원형은 YF-17 코브라로, F-5의 설계를 계승한 기종이였으며 지금의 호넷과는 달리 공군용으로 개발이 진행중이었던 전투기였다.
호넷의 개발 원형은 YF-17 코브라로, F-5의 설계를 계승한 기종이였으며 지금의 호넷과는 달리 공군용으로 개발이 진행중이었던 전투기였다.  


코브라는 기존 F-5를 바탕으로 개발된 전투기인 P530를, 보다 확장시켜 P600을 개발했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경전투기 YF-17 코브라를 개발한다.
코브라는 기존 F-5를 바탕으로 개발된 전투기인 P530를, 보다 확장시켜 P600을 개발했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경전투기 YF-17 코브라를 개발한다.
54번째 줄: 54번째 줄:
또한 공기흡입구는 다른 초음속기저럼 가변형이 아닌 원통형에 가까운 고정형 흡입구라 일단 호넷 자체의 가속력은 좋으나 초음속 영역에서 공기압축이 불리해 다른 초음속 기종들처럼 음속의 2배 이상 고속을 내는 것은 어렵다.
또한 공기흡입구는 다른 초음속기저럼 가변형이 아닌 원통형에 가까운 고정형 흡입구라 일단 호넷 자체의 가속력은 좋으나 초음속 영역에서 공기압축이 불리해 다른 초음속 기종들처럼 음속의 2배 이상 고속을 내는 것은 어렵다.


결론적으로 호넷의 기동성은 상정한 영역 내에선 독보적이나 그 영역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한 가지 흠이다.
결론적으로 호넷의 기동성은 상정한 영역 내에선 독보적이나 그 영역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한 가지 흠이다.  


호넷 역시 4세대 전투기의 특징이기도 한 전자식 플라이 바이 와이어(FBW)를 사용하고 있어, 반응력이 좋고 자동적으로 기내 컴퓨터가 기체의 비행을 제어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고 받음각 비행에서도 조종면을 보조하여 안정을 유지한다.
호넷 역시 4세대 전투기의 특징이기도 한 전자식 플라이 바이 와이어(FBW)를 사용하고 있어, 반응력이 좋고 자동적으로 기내 컴퓨터가 기체의 비행을 제어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고 받음각 비행에서도 조종면을 보조하여 안정을 유지한다.
64번째 줄: 64번째 줄:
다목적 함상전투기란 임무 특성상 함대 방공과 제공권 장악만큼 대함 공격 및 지상 공격 임무도 중요하기에 중,단거리 공대공 미사일과 ALCM, 각종 유도/무유도 폭탄을 운용한다.
다목적 함상전투기란 임무 특성상 함대 방공과 제공권 장악만큼 대함 공격 및 지상 공격 임무도 중요하기에 중,단거리 공대공 미사일과 ALCM, 각종 유도/무유도 폭탄을 운용한다.


호넷은 경전투기로 개발되었지만 개발 시기부터 하이급 기종들과 동일한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운용 능력을 염두에 두었다. 특히 중거리 공대공 능력이 없던 초기형 F-16의 경우와 대비되게 반능동 중거리 미사일([[AIM-7 스패로]])이 통합된 호넷은 BVR이 가능했다.
호넷은 경전투기로 개발되었지만 개발 시기부터 하이급 기종들과 동일한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운용 능력을 염두에 두었다. 특히 중거리 공대공 능력이 없던 초기형 F-16의 경우와 대비되게 반능동 중거리 미사일([[AIM-7 스패로]])이 통합된 호넷은 BVR이 가능했다.  
 
여기에 능동 레이더 유도방식의 [[AIM-120 암람]]도 공대공 무장으로 통합됨에 따라 호넷은 팰콘에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통합되는 C/D형 이전까지 공대공 우위를 유지하였다.  
여기에 능동 레이더 유도방식의 [[AIM-120 암람]]도 공대공 무장으로 통합됨에 따라 호넷은 팰콘에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통합되는 C/D형 이전까지 공대공 우위를 유지하였다.


공대지 무장은 AGM-45 메버릭과 AGM-88 HARM 같은 일반적인 공대지 미사일부터 AGM-84 [[하푼]]과 사거리 100~200km대의 AGM-84 SLAM 공대지 순항미사일의 플렛폼으로 처음부터 장거리 스텐드 오프 공격능력을 부여받았다.
공대지 무장은 AGM-45 메버릭과 AGM-88 HARM 같은 일반적인 공대지 미사일부터 AGM-84 [[하푼]]과 사거리 100~200km대의 AGM-84 SLAM 공대지 순항미사일의 플렛폼으로 처음부터 장거리 스텐드 오프 공격능력을 부여받았다.
116번째 줄: 115번째 줄:
중립국으로 유명한 스위스의 경우, 냉전 종식 후인 1996년 부터 구형 기종인 미라주3 를 대체하기 위해서 C/D형을 도입해 배치하였다. 26대를 인도받은 스위스 공군은 추락 사고로 4대의 기체를 손실하기도 했으며, 2007년에 현대화 개량 사업이 진행되어 현재 다수의 기체가 현역에서 운용되고 있다.
중립국으로 유명한 스위스의 경우, 냉전 종식 후인 1996년 부터 구형 기종인 미라주3 를 대체하기 위해서 C/D형을 도입해 배치하였다. 26대를 인도받은 스위스 공군은 추락 사고로 4대의 기체를 손실하기도 했으며, 2007년에 현대화 개량 사업이 진행되어 현재 다수의 기체가 현역에서 운용되고 있다.


스페인은 EF-18이란 제식명으로 미 해군이 운용하던 중고 A/B형을 C/D형에 준하도록 개량한 다음 1995년부터 도입해왔다.
스페인은 EF-18이란 제식명으로 미 해군이 운용하던 중고 A/B형을 C/D형에 준하도록 개량한 다음 1995년부터 도입해왔다.  
 
스페인 공군의 호넷은 유고 내전 당시 파병되기도 했으며 캐나다 처럼 1999년 코소보 전쟁 때 이탈리아에 파견되어 공대지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스페인 공군의 호넷은 유고 내전 당시 파병되기도 했으며 캐나다 처럼 1999년 코소보 전쟁 때 이탈리아에 파견되어 공대지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132번째 줄: 130번째 줄:
첫 배치 기종으로 A형이 단좌, B형이 복좌형이다. AIM-7 스패로의 통합으로 반능동 중거리 교전 능력을 갖췄고 AN/APG-65 레이더가 장착되었지만 개량을 통해 AN/APG-73로 교체된 +형이 일선에서 운용된다.
첫 배치 기종으로 A형이 단좌, B형이 복좌형이다. AIM-7 스패로의 통합으로 반능동 중거리 교전 능력을 갖췄고 AN/APG-65 레이더가 장착되었지만 개량을 통해 AN/APG-73로 교체된 +형이 일선에서 운용된다.
주 사용자는 미 해군과 해병대로 C/D형 도입 전까지 운용하였고 해외에선 캐나다,호주,스페인 공군이 도입하였다.
주 사용자는 미 해군과 해병대로 C/D형 도입 전까지 운용하였고 해외에선 캐나다,호주,스페인 공군이 도입하였다.


'''F/A-18C/D'''
'''F/A-18C/D'''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