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카트라이더 리그 에볼루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Img welcome league.png|섬네일]]
[[파일:Img welcome league.png]]
'''2015 카트라이더 리그 에볼루션'''은 [[레이싱 게임]]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대회로, [[SPOTV GAMES]]에서 주관하는 리그다. [[ONG|온게임넷]]에서 열렸던 것을 포함해서 20번째로 펼쳐지는 리그이다.


[[2014 카트라이더 리그 배틀로얄|지난 시즌]]과 다른 점은 {{ㅊ|문호준이 출전한 것과}} 스피드전에서 3:3 경기가 제외되고 모두 4:4 경기로 바뀌었다는 것과, 4강 이후에서 최종전이 에이스 결정전 한경기 단판으로 끝난다는 것이다.
== 개요 ==
[[SPOTV GAMES]]에서 주관하는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게임으로 펼치는 리그로, [[ONG|온게임넷]]에서 열렸던 것을 포함해서 20번째로 펼쳐지는 리그이다.
 
[[2014 카트라이더 리그 배틀로얄|지난 시즌]]과 다른 점은 {{ㅊ|문호준이 출전한 것과}} 스피드전에서 3:3경기가 제외되고 모두 4:4경기로 바뀌었다는 것과, 4강 이후에서 최종전이 에이스 결정전 한경기 단판으로 끝난다는 것이다.


== 대회 규정 ==
== 대회 규정 ==
31번째 줄: 33번째 줄:


== 예선전 ==
== 예선전 ==
[[2015년]] [[7월 4일]]에는 슈퍼레이스 조의, [[2015년]] [[7월 5일]]에는 KSF조의 예선전이 양일에 걸쳐서 치뤄졌다. 각각 64팀의 신청을 받았으며, 그것보다 팀이 많아질 경우, GP의 합으로 상위 64팀만 출전할 수 있다. 토너먼트로 진행하며 게임 방식은 8강 예선과 동일하다.
{{날짜/출력|2015-7-4}}에는 슈퍼레이스 조의, {{날짜/출력|2015-7-5}}에는 KSF조의 예선전이 양일에 걸쳐서 치뤄졌다. 각각 64팀의 신청을 받았으며, 그것보다 팀이 많아질 경우, GP의 합으로 상위 64팀만 출전할 수 있다. 토너먼트로 진행하며 게임 방식은 8강 예선과 동일하다.
여담으로 디펜딩 챔피언 한주성이 여기서 탈락하는 대이변이 일어났다!


== 라인업 ==
== 라인업 ==
80번째 줄: 81번째 줄:
| 오아희
| 오아희
| 조다훈, 권순민, 박창규, 유관영
| 조다훈, 권순민, 박창규, 유관영
| <ref>팀장이 여성인 둘뿐인 팀. 지난 시즌 3,4위 전에서 혜성처럼 등장해서 7연승(지난 시즌과 지지난 시즌 성적 통틀어서)중이던, 매니저계의 유영혁이라 불리던 류지혜 매니저를 꺾으면서 주목을 받았다. 이번 시즌에는 팀장으로 직위가 상승했다.</ref>
| <ref>팀장이 여성인 유이한 팀. 지난 시즌 3,4위 전에서 혜성처럼 등장해서 7연승(지난 시즌과 지지난 시즌 성적 통틀어서)중이던, 매니저계의 유영혁이라 불리던 류지혜매니저를 꺽으면서 주목을 받았다. 이번 시즌에는 팀장으로 직위가 상승했다.</ref>
|-
|-
! 인디고
! 인디고
| 서주원
| 서주원
| 이다령
| 이다령
| [[문호준]], 장진형, 전대웅, 강석인
| 문호준, 장진형, 전대웅, 강석인
|
|
|-
|-
92번째 줄: 93번째 줄:
| 이지민
| 이지민
| 신현준, 정승민, 김성현, 최유성
| 신현준, 정승민, 김성현, 최유성
| <ref>팀장이 여성인 둘뿐인 팀. 지난 시즌 CJ 레이싱의 이화선 팀장과 마찬가지로 임두연 팀장은 실제 레이싱 선수이다.</ref><ref>임두연 팀장이 등장하자 카트라이더 계의 아이유, 줄여서 '''카이유'''라 부르며 해설진이 진심을 담아 부르짖었다. 본격 사심방송. <s>열심히 부르짖고 멘탈이 돌아오자 이 얘기가 세 나가면 욕먹으니 우리끼리만의 이야기라고 급 조심해졌다.</s> 고1인 여고생에게 뭐하는... 도가 지나쳤다고 느꼈는지, 8강이 끝날 무렵에는 자중하는 모습을 보였다.</ref>
| <ref>팀장이 여성인 유이한 팀. 지난 시즌 CJ 레이싱의 이화선 팀장과 마찬가지로 임두연 팀장은 실제 레이싱 선수이다.</ref><ref>임두연 팀장이 등장하자 카트라이더 계의 아이유, 줄여서 '''카이유'''라 부르며 해설진이 진심을 담아 부르짖었다. 본격 사심방송. <s>열심히 부르짖고 멘탈이 돌아오자 이 얘기가 세 나가면 욕먹으니 우리끼리만의 이야기라고 급 조심해졌다.</s> 고1인 여고생에게 뭐하는... 도가 지나쳤다고 느꼈는지, 8강이 끝날 무렵에는 자중하는 모습을 보였다.</ref>
|}
|}
<!-- 각주의 단계를 보이지 않기 위해 태그를 사용하였습니다. -->
<references />


== 이벤트전 ==
== 이벤트전 ==
[[문호준]]선수의 '''899일'''만의 리그 복귀 및 카트라이더의 11주년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2015년]] [[8월 1일]]에 개막전이 있기 직전에 이벤트 경기를 펼쳤다. [[문호준]]과 [[문희준]] {{ㅊ|라임보소}}이 팀장으로 나서서 관중들과 한 팀이 되어 아이템 경기 3전2승제를 했다. 문희준팀의 경우 남자관중을, 문호준팀은 여자관중들을 뽑아 남녀대결을 펼쳤다. 문호준팀의 경우 문호준이 러너역할을 하여 앞으로 나서는 역할을, 나머지 여성선수들이 서포터 역할을 하면서 천사를 써 주고 나머지 선수들을 견제하는 작전을 세우며 전력을 다했다. 첫 경기는 졌지만 나머지 두 경기는 작전대로 성공하며 [[문호준]]팀이 {{승패|2|1}}로 승리를 가져갔다. 이긴 팀은 큰 인형을 진 팀은 작은 인형을 선물로 받았다.
[[문호준]]선수의 '''899일'''만의 리그 복귀 및 카트라이더의 11주년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날짜/출력|2015-8-1}}에 개막전이 있기 직전에 이벤트 경기를 펼쳤다. [[문호준]]과 [[문희준]] {{ㅊ|라임보소}}이 팀장으로 나서서 관중들과 한 팀이 되어 아이템 경기 3전2승제를 했다. 문희준팀의 경우 남자관중을, 문호준팀은 여자관중들을 뽑아 남녀대결을 펼쳤다. 문호준팀의 경우 문호준이 러너역할을 하여 앞으로 나서는 역할을, 나머지 여성선수들이 서포터 역할을 하면서 천사를 써 주고 나머지 선수들을 견제하는 작전을 세우며 전력을 다했다. 첫 경기는 졌지만 나머지 두 경기는 작전대로 성공하며 [[문호준]]팀이 {{승패|2|1}}로 승리를 가져갔다. 이긴 팀은 큰 인형을 진 팀은 작은 인형을 선물로 받았다.


== 8강 ==
== 8강 ==
=== 슈퍼레이스 ===
=== 슈퍼레이스 ===
==== 1경기 CJ레이싱 VS 팀106 ====
==== 1경기 CJ레이싱 VS 팀106 ====
[[2015년]] [[8월 8일]]진행
{{날짜/출력|2015-8-8}}진행
;레드팀
;레드팀
:CJ레이싱
:CJ레이싱
301번째 줄: 304번째 줄:
스피드전 마지막 경기에서 유영혁이 1등으로 앞서가면서 팀106에게는 중위권 순위가 중요해졌다. 조성제가 초반 3명과의 몸싸움을 하기도 하고, 자폭하면서 상대팀 한명을 잡지만 나머지 CJ레이싱 선수가 앞서가는 등 엎치락 뒤치락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다만, 결정적으로 터널구간에서 팀106선수들이 큰 실수를 하면서 뒤쳐지면서 결국 유영혁이 1등을 했지만 팀의 승리는 내주고 말았다. 결국, CJ레이싱이 스피드전을 잡아내면서 승리에 한걸음 다가갔다.
스피드전 마지막 경기에서 유영혁이 1등으로 앞서가면서 팀106에게는 중위권 순위가 중요해졌다. 조성제가 초반 3명과의 몸싸움을 하기도 하고, 자폭하면서 상대팀 한명을 잡지만 나머지 CJ레이싱 선수가 앞서가는 등 엎치락 뒤치락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다만, 결정적으로 터널구간에서 팀106선수들이 큰 실수를 하면서 뒤쳐지면서 결국 유영혁이 1등을 했지만 팀의 승리는 내주고 말았다. 결국, CJ레이싱이 스피드전을 잡아내면서 승리에 한걸음 다가갔다.


지난 시즌 같은 팀을 이뤘던 엄지아 메니저와 김동은 매니저가 이번엔 적으로 만났다. {{ㅊ|누가 캐리했나 보자면}} 팀장전에서는 김동은 팀장이 이겼다. 아이템전에서 선수들의 카트 바디 구성을 봤을 때에 CJ 레이싱은 비교적 공격적이고 팀106은 수비적인 조합이었다. 스피드전에서 김승태 선수를 견제하느라 앞순위로 나서지 못했던 문민기 선수가 아이템전 선수답게 러너로 달리면서 노련함에는 약간 못 미쳤지만<ref>2경기에서 선두로 달리다가 결승지점에서 바로 역전된다던가</ref> 좋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
지난 시즌 같은 팀을 이뤘던 엄지아 메니저와 김동은 매니저가 이번엔 적으로 만났다. {{ㅊ|누가 캐리했나 보자면}} 팀장전에서는 김동은 팀장이 이겼다. 아이템전에서 선수들의 카트 바디 구성을 봤을 때에 CJ 레이싱은 비교적 공격적이고 팀106은 수비적인 조합이었다. 스피드전에서 김승태 선수를 견제하느라 앞순위로 나서지 못했던 문민기 선수가 아이템전 선수답게 러너로 달리면서 노련함에는 약간 못 미쳤지만<ref>2경기에서 선두로 달리다가 결승지점에서 바로 역전된다던가</ref> 좋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  


에이스 결정전은 노르테유 익스프레스에서 펼쳐졌다. 초반 유영혁과 이재인은 엎치락 뒤치락 하다가 유영혁이 앞서갔다. 그러나 점프하는 구간에서 유영혁이 큰 실수를 하면서 급격하게 차이가 벌어지면서 결국 이번에도 이재인이 이겼다. 이정도면 유영혁은 이재인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길 정도. 결국 유영혁은 이번에도 패로 리그를 시작했다.
에이스 결정전은 노르테유 익스프레스에서 펼쳐졌다. 초반 유영혁과 이재인은 엎치락 뒤치락 하다가 유영혁이 앞서갔다. 그러나 점프하는 구간에서 유영혁이 큰 실수를 하면서 급격하게 차이가 벌어지면서 결국 이번에도 이재인이 이겼다. 이정도면 유영혁은 이재인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길 정도. 결국 유영혁은 이번에도 패로 리그를 시작했다.
310번째 줄: 313번째 줄:


==== 2경기 E레인 VS 그리핀 ====
==== 2경기 E레인 VS 그리핀 ====
[[2015년]] [[8월 8일]]
{{날짜/출력|2015-8-8}}
;레드팀
;레드팀
:E레인
:E레인
324번째 줄: 327번째 줄:
|-
|-
! rowspan="6" | E레인
! rowspan="6" | E레인
! 이원일<ref>이번 주만 안정환 팀장이 불참하였다.</ref>
! 이원일<ref>이번 주만 안정환팀장이 불참하였다.</ref>
| class="cancel_cell" style="background:#555;" |
| class="cancel_cell" style="background:#555;" |
| 세티 9
| 세티 9
480번째 줄: 483번째 줄:


==== 3경기 E레인 VS 팀106 ====
==== 3경기 E레인 VS 팀106 ====
[[2015년]] [[8월 22일]] 진행
{{날짜/출력|2015-8-22}}진행
;레드팀
;레드팀
:E레인
:E레인
639번째 줄: 642번째 줄:
아이템전 두번째 트랙에서 이은택 선수가 바나나아이템을 인상적으로 써주면서 적절한 견제를 해 주었고 그 사이 조성제가 앞서가면서 두번째 트랙을 가져갔다. 아이템전에서는 팀106이 최고라는 것을 입증해 주었다.
아이템전 두번째 트랙에서 이은택 선수가 바나나아이템을 인상적으로 써주면서 적절한 견제를 해 주었고 그 사이 조성제가 앞서가면서 두번째 트랙을 가져갔다. 아이템전에서는 팀106이 최고라는 것을 입증해 주었다.


정연일 팀장은 처음으로 팀장전에서 이겨서 너무 기쁘다고 소감을 말했다. E레인을 상대하기 위해 어떤 작전을 펼쳤냐는 질문에는 "상대팀이 '''2레인'''이니까 우리는 '''1레인'''으로 가면 된다"고 답했으며, 그리핀은 "그리 '''핀'''을 뽑아버리겠다"고 대답하며 {{ㅊ|아저씨개그와}} 유쾌한 모습을 보여주었다.<ref>성승헌 캐스터는 자신은 이런거 좋아하는데 덧글만 안보면 된다고 받아주었다.</ref>전에는 계속 팀장전에서 져 왔기에 표정이 않 좋았는데, 이번엔 이기면서 표정이 많이 밝아졌다. 지난 주의 이동훈 팀장을 보는 듯 했다.
정연일 팀장은 처음으로 팀장전에서 이겨서 너무 기쁘다고 소감을 말했다. E레인을 상대하기 위해 어떤 작전을 펼쳤냐는 질문에는 "상대팀이 '''2레인'''이니까 우리는 '''1레인'''으로 가면 된다"고 답했으며, 그리핀은 "그리 '''핀'''을 뽑아버리겠다"고 대답하며 {{ㅊ|아저씨개그와}} 유쾌한 모습을 보여주었다.<ref>성승헌 캐스터는 자신은 이런거 좋아하는데ㅔ 덧글만 안보면 된다고 받아주었다.</ref>전에는 계속 팀장전에서 져 왔기에 표정이 않 좋았는데, 이번엔 이기면서 표정이 많이 밝아졌다. 지난 주의 이동훈 팀장을 보는 듯 했다.


{{인용문|누구예요? 저거|유영혁|오랜만에 마이크를 잡으며 문모씨에게}}
{{인용문|누구예요? 저거|유영혁|오랜만에 마이크를 잡으며 문모씨에게}}
648번째 줄: 651번째 줄:


==== 4경기 CJ레이싱 VS 그리핀 ====
==== 4경기 CJ레이싱 VS 그리핀 ====
[[2015년]] [[8월 22일]]
{{날짜/출력|2015-8-22}}
;레드팀
;레드팀
:CJ레이싱
:CJ레이싱
776번째 줄: 779번째 줄:


==== 5경기 그리핀 VS 팀106 ====
==== 5경기 그리핀 VS 팀106 ====
[[2015년]] [[9월 5일]]
{{날짜/출력|2015-9-5}}
;레드팀
;레드팀
:그리핀
:그리핀
966번째 줄: 969번째 줄:
|}
|}
==== 6경기 E레인 VS CJ레이싱 ====
==== 6경기 E레인 VS CJ레이싱 ====
[[2015년]] [[9월 5일]]
{{날짜/출력|2015-9-5}}
;레드팀
;레드팀
:E레인
:E레인
1,175번째 줄: 1,178번째 줄:
|-
|-
! 1경기
! 1경기
| rowspan="2" | [[2015년]] [[8월 8일]]
| rowspan="2" | {{날짜/출력|2015-8-8}}
| CJ레이싱
| CJ레이싱
| 팀106
| 팀106
1,196번째 줄: 1,199번째 줄:
|-
|-
! 3경기
! 3경기
| rowspan="2" | [[2015년]] [[8월 22일]]
| rowspan="2" | {{날짜/출력|2015-8-22}}
| 팀106
| 팀106
| E레인
| E레인
1,217번째 줄: 1,220번째 줄:
|-
|-
! 5경기
! 5경기
| rowspan="2" | [[2015년]] [[9월 5일]]
| rowspan="2" | {{날짜/출력|2015-9-5}}
|-
|-
! 6경기
! 6경기
1,265번째 줄: 1,268번째 줄:
=== KSF ===
=== KSF ===
==== 1경기 유베이스 알스타즈 VS 쏠라이트 인디고 ====
==== 1경기 유베이스 알스타즈 VS 쏠라이트 인디고 ====
[[2015년]] [[8월 1일]] 진행.
{{날짜/출력|2015-8-1}} 진행.
;레드팀
;레드팀
:유베이스 알스타즈
:유베이스 알스타즈
1,422번째 줄: 1,425번째 줄:


==== 2경기 알앤더스 VS 범스레이싱 ====
==== 2경기 알앤더스 VS 범스레이싱 ====
[[2015년]] [[8월 1일]] 진행.
{{날짜/출력|2015-8-1}} 진행.
;레드팀
;레드팀
:알앤더스
:알앤더스
1,565번째 줄: 1,568번째 줄:
! 4경기
! 4경기
| 님프 요정마을의 초대
| 님프 요정마을의 초대
| {{카트결과|0|신현준|아이템}}
| {{카트결과|0|신현준|아이템}}  
| 알엔더스
| 알엔더스
|}
|}
1,589번째 줄: 1,592번째 줄:


==== 3경기 알앤더스 VS 쏠라이트 인디고 ====
==== 3경기 알앤더스 VS 쏠라이트 인디고 ====
[[2015년]] [[8월 15일]] 진행.
{{날짜/출력|2015-8-15}} 진행.
;레드팀
;레드팀
:알앤더스
:알앤더스
1,769번째 줄: 1,772번째 줄:


==== 4경기 유베이스 알스타즈 VS 범스레이싱 ====
==== 4경기 유베이스 알스타즈 VS 범스레이싱 ====
[[2015년]] [[8월 15일]] 진행.
{{날짜/출력|2015-8-15}} 진행.
;레드팀
;레드팀
:유베이스 알스타즈
:유베이스 알스타즈
1,919번째 줄: 1,922번째 줄:


==== 5경기 범스레이싱 VS 쏠라이트 인디고 ====
==== 5경기 범스레이싱 VS 쏠라이트 인디고 ====
[[2015년]] [[8월 29일]] 진행.
{{날짜/출력|2015-8-29}} 진행.
;레드팀
;레드팀
:범스레이싱
:범스레이싱
2,096번째 줄: 2,099번째 줄:
|}
|}
==== 6경기 알앤더스 VS 유베이스 알스타즈 ====
==== 6경기 알앤더스 VS 유베이스 알스타즈 ====
[[2015년]] [[8월 29일]] 진행.
{{날짜/출력|2015-8-29}} 진행.
;레드팀
;레드팀
:알앤더스
:알앤더스
2,292번째 줄: 2,295번째 줄:
|-
|-
! 1경기
! 1경기
| rowspan="2" | [[2015년]] [[8월 1일]]
| rowspan="2" | {{날짜/출력|2015-8-1}}
| 쏠라이트<br />인디고
| 쏠라이트<br />인디고
| 유베이스<br />알스타즈
| 유베이스<br />알스타즈
2,313번째 줄: 2,316번째 줄:
|-
|-
! 3경기
! 3경기
| rowspan="2" | [[2015년]] [[8월 15일]]
| rowspan="2" | {{날짜/출력|2015-8-15}}
| 쏠라이트<br />인디고
| 쏠라이트<br />인디고
| 알앤더스
| 알앤더스
2,334번째 줄: 2,337번째 줄:
|-
|-
! 5경기
! 5경기
| rowspan="2" | [[2015년]] [[8월 29일]]
| rowspan="2" | {{날짜/출력|2015-8-29}}
| 쏠라이트<br />인디고
| 쏠라이트<br />인디고
| 범스레이싱
| 범스레이싱
2,396번째 줄: 2,399번째 줄:


== 4강 ==
== 4강 ==
=== 슈퍼레이스 ===
=== 수퍼레이스 ===
[[2015년]] [[9월 12일]] 진행하였다. 예상대로, 슈퍼레이스 조의 1위였던 CJ레이싱과 2위였던 팀106간의 경기가 펼쳐졌다. 앞서 슈퍼레이스 조의 1경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CJ레이싱이 시즌이 진행될수록 더 좋은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CJ레이싱의 우위를 점치는 사람이 많았다. 또한, 유영혁이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다. 특히 유영혁이 넘겨야 할 트라우마가 있었다. 중요한 순간의 에이스 결정전에서 패한 경험이 더 많으며, 이재인이라는 슈퍼루키에 의해 지난 시즌에 결승에서 발목이 잡혔으며 이번 시즌도 시즌 첫 경기에서 이재인에게 에이스 결정전에서 발목이 잡히며 트라우마의 끝판왕을 보여주었다.
{{날짜/출력|2015-9-12}}진행. 수퍼레이스 조의 1,2위끼리 대결한다.
 
{| class="wikitable"
|+ 스피드전
|-
|
! 트랙
! 1등
! 레드
! 블루
|-
! 1경기
| 쥐라기 공룡 결투장
|-
! 2경기
| 비치 해변 드라이브
|-
! 3경기
| 차이나 서안 병마용
|-
! 4경기
| 포레스트 대관령
|-
! 5경기
|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
! 6경기
| 노르테유 익스프레스
|}
{| class="wikitable"
|+ 아이템전
|-
|
! 트랙
! 1등
! 승팀
|-
! 1경기
| 차이나 상해 동방명주
|-
! 2경기
| 공동묘지 유령의 계곡
|-
! 3경기
| 님프 요정마을의 초대
|-
! 4경기
| 브로디 거대한 에너지 생산기
|-
! 5경기
| 쥐라기 디노 마을의 초대
|}
{| class="wikitable"
|+ 에이스 결정전
|-
! colspan="2" | 승
! rowspan="2" | 트랙
! colspan="2" | 패
|-
| 팀
| 선수
| 선수
| 팀
|-
| 팀106
| 유영혁
| 쥐라기 공룡 결투장
| 이재인
| CJ레이싱
|}
 
스피드전에서는 여러 선수가 사고가 나는 대형사고가 많이 벌어졌다. CJ레이싱은 그 사고에서 잘 대처했으며 팀106은 그러지 못했다. 인터뷰에서 밝히길, 안그래도 거칠게 플레이하는 조성제 선수가 오늘따라 컨디션이 좋아서 좀 더 공격적으로 했는데 그것이 자폭으로 이어진 것이었다.
 
아이템전의 팀장전의 데이터 상으로는 김동은 팀장이 질 수 없는 경기였다. 세 시즌 연속으로 참가하여 7전 전승으로 이겨오던 팀장이었기 때문이다. 반면, 정연일 팀장은 [[2014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제로|지지난시즌]]에서 김동은 팀장을 만나서 졌으며, 이번 시즌에서도 1승 2패로 비교적 고전하고 있었다. 그런데 여기서 정연일 팀장과 엄지아 매니저가 이겨버린 것이다. 여기서 분위기가 급격하게 팀106에게 넘어가면서 4승 1패라는 결과로 아이템전을 압도적으로 가져갔다.
 
어쩌면 전체적으로 예상된 그림이었다. 스피드전은 CJ레이싱이 이기고, 아이템전은 팀106이 이기고 이재인과 유영혁의 에이스 결정전. 이재인은 에이스 결정전의 제왕이었다면, 유영혁은 에이스 결정전의 트라우마, 이재인의 트라우마를 깨야 했다. 에결이 시작되고, 초반에 유영혁이 앞서 갔다. 한바퀴를 거의 다 돌기 직전 유영혁의 몸싸움에 이재인이 벽을 긁으며 감속이 되었지만 따라잡지 못할 정도는 아니었다. 그 뒤, 좀 후반에 가서 승부를 보는게 좋다는 김대겸 해설의 말과는 달리 두 선수는 정말 자석처럼 붙어다니며 몇 코너를 돌았다. 결국 부스터가 살짝 적어서 부스터를 모으려다가 라인이 흐트러진 이재인은 벽을 또 한번 긁으며, 그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유영혁이 이겼다. 유영혁이 앞서나가 결승점에 다다르자 김대겸 해설이 '''유영혁, 팀106, 트라우마'''를 외치며 말을 잇지 못했다.
 
이것으로 트라우마의 위기를 극복했던 팀106이 결승에 진출하여 적어도 준우승을 따내며 유영혁의 클레스를 보여주었다. 우승한다면, 이은택의 3연속 우승이 기록에 남을 것이며, 준우승하면 유영혁의 3연속 준우승{{ㅊ|콩라인}}이 기록에 남을 것이다. 다만, 이제 결승에 진출한 것이다. 예전에는 오히려 결승까지는 손쉽게 올라가던 유영혁이 이번에는 결승에 힘겹게 진출했다.
 
{{인용문|(김동은 팀장에게 이겼다는 질문에) 무서워 했는데 생각보다 별거 아니었어요. 거품, 거품.
 
(보장은 없지만 서주원 팀장을 만날 수 있다 질문에) 서주원이라는 분이 잘하시나요?|엄지아 매니저}}
{{인용문|호준이가 2~3년 만에 돌아왔는데 나한테 지고 다시 은퇴 해야지?|유영혁}}
 
=== KSF ===
=== KSF ===
[[2015년]] [[9월 19일]] 진행. KSF조의 1위인 쏠라이트 인디고와 2위인 유베이스 알스타즈가 결승권을 놓고 경기를 펼친다.
{{날짜/출력|2015-9-19}}진행. KSF조의 1위인 쏠라이트 인디고와 2위인 유베이스 알스타즈가 결승권을 놓고 경기를 펼친다.


쏠라이트 인디고(1위) VS 유베이스 알스타즈(2위)
쏠라이트 인디고(1위) VS 유베이스 알스타즈(2위)


== 3-4위 ==
== 3-4위 ==
[[2015년]] [[10월 3일]] 진행. 4강에서 진 팀끼리 대결. 이벤트전도 열린다.
{{날짜/출력|2015-10-3}}진행. 4강에서 진 팀끼리 대결. 이벤트전도 열린다.


== 결승전 ==
== 결승전 ==
[[2015년]] [[10월 10일]] 진행.
{{날짜/출력|2015-10-10}}진행.


{{주석}}
{{주석}}
[[분류:e스포츠]]
[[분류:e스포츠]]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분류:2015년 대한민국]]
[[분류:2015년 스포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