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홋카이도'''({{일본어=|北海道|r=ほっかいどう}})는 [[일본]] 북부에 있는 큰 [[섬]]이다. 일본의 [[도도부현]] 중 유일한 도({{일본어=|}})이다.
'''홋카이도'''({{루비|北海道|ほっかいどう}})는 [[일본]] 북부에 있는 큰 [[섬]]이다. 일본의 [[일본#.EC.9D.BC.EB.B3.B8.EC.9D.98_.EB.8F.84.EB.8F.84.EB.B6.80.ED.98.84|도도부현]] 중 유일한 도(道)이다.
[[파일:Hokkaido-map.jpg|섬네일|홋카이도 지도]]
[[파일:Hokkaido-map.jpg|섬네일|홋카이도 지도]]


== 명칭 ==
== 명칭 ==
일단 가장 먼저 언급할 것이 맞춤법을 틀리기 쉬운 부분으로, '''<big></big>'''카이도가 아니라 '''<big></big>'''카이도다. (<small>'''{{세로|ㅎㅗㅅ}}'''</small>카이도)
절대 '훗'카이도가 아니다! '홋'카이도다. <small>'''{{만몽 유니코드|ㅎㅗㅅ}}'''</small>   카이도.


또한 일본어로도 틀리기 쉬운 부분이 홋카이'''토'''({{일본어=|ほっかいとう(北海島)}})가 아니라 홋카이'''도'''({{일본어=|ほっかいどう(北海道)}})이다. 원어 발음으로는 "혹・가이도~ (Hok-kaido)"에 가깝다.
본래 홋카이도는 아이누 족이 원주민으로 살던 섬으로, 일본에서는 남쪽에나 작은 번이 있던 허허벌판으로 취급되었다. 이름도 '에조(蝦夷)', 북주(北州)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었다. 그러나 근대에 러시아의 남하 저지와 아이누 족 통치 강화의 필요성을 느낀 에도 막부는 마쓰우라 다케시로를 시켜 지리·지질 조사를 진행했고, 메이지 정부는 1869년 '개척사(開拓使)'를 두고 명칭의 변경을 검토한다<ref>田端宏 「風と人間」 田端宏・桑原真人・船津功・関口明 『北海道の歴史』 山川出版社 ISBN 978-4634320109 (2000년 9월) page 2.</ref>. 앞서 지리 조사를 진행하고 아이누족과 교류가 있었던 마쓰우라는 {{루비|北加伊|きたかい}}道, 海北道, 海東道, {{루비|日高見|ひたかみ}}道, 東北道, 千島道 등 6개의 안을 제시했다.


본래 홋카이도는 아이누인이 원주민으로 살던 섬으로, 실질적으로도 지배하지 않았고, 일본에서는 남쪽에나 작은 번이 있던 허허벌판으로 취급되었다. 이름도 '에조(蝦夷)', 북주(北州)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었다. 그러나 근대에 러시아의 남하 저지와 [[아이누족]] 통치 강화의 필요성을 느낀 에도 막부는 마쓰우라 다케시로를 시켜 지리·지질 조사를 진행했고, 메이지 정부는 1869년 '개척사(開拓使)'를 두고 명칭의 변경을 검토한다<ref>{{일본어=|田端宏 「風と人間」 田端宏・桑原真人・船津功・関口明 『北海道の歴史』 山川出版社}} {{ISBN|978-4634320109}} (2000년 9월) page 2.</ref>. 앞서 지리 조사를 진행하고 아이누족과 교류가 있었던 마쓰우라는 {{일본어=|{{루비|北加伊|きたかい}}道, 海北道, 海東道, {{루비|日高見|ひたかみ}}道, 東北道, 千島道}} 등 6개의 안을 제시했다.
이 안들에는 해(海)와 도(道)가 많이 들어가고, 마침 [[고키시치도]]에 도카이 도(東海道), 사이카이 도(西海道), 난카이 도(南海道)는 있는데 홋카이 도(北海道)는 없었다는 점에 착안, 홋카이도라 명명되었다. 다른 도(道) 단위는 옛날에 있었으나 번/현 단위로 쪼개지면서 사라진 반면, 홋카이도는 근대 들어서 생겨난 명칭이라 道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에서 쓰는 그 도와 같다.
 
이 안들에는 해(海)와 도(道)가 많이 들어가고, 마침 [[고키시치도]]에 도카이 도({{일본어=|東海道}}), 사이카이 도({{일본어=|西海道}}), 난카이 도({{일본어=|南海道}})는 있는데 홋카이 도({{일본어=|北海道}})는 없었다는 점에 착안, 홋카이도라 명명되었다. 다른 도(道) 단위는 옛날에 있었으나 번/현 단위로 쪼개지면서 사라진 반면, 홋카이도는 근대 들어서 생겨난 명칭이라 道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에서 쓰는 그 도와 같다.


유래는 홋카이+도이지만 한국어 번역에서 두 단어를 띄어 쓰는 경우는 찾기 어렵다. 로마자 표기로도 Hokkaido Prefecture, 아니면 그냥 Hokkaido라고만 표기한다. 도쿄<sup>v</sup>도처럼 행정단위를 띄어 쓰는 다른 지역과의 차이점.
유래는 홋카이+도이지만 한국어 번역에서 두 단어를 띄어 쓰는 경우는 찾기 어렵다. 로마자 표기로도 Hokkaido Prefecture, 아니면 그냥 Hokkaido라고만 표기한다. 도쿄<sup>v</sup>도처럼 행정단위를 띄어 쓰는 다른 지역과의 차이점.


원래는 홋카이도를 지방으로 놓고 그 아래에 몇 개의 현으로 나눌 계획을 했으나, 무산되어 하나의 거대한 광역자치단체가 되었다. 때문에 일본 지역 네타로 뎃카이도(でっかい道)<ref>'겁나 큰'을 의미하는 でっかい+도(道)</ref>부르기도 한다. 그 외에 전통적인 표현 중에도 도산코({{루비|道産子|どさんこ}})라는 표현이 있는데, 원래는 홋카이도산 말 품종을 가리키는 어휘였다가 홋카이도 태생, 홋카이도 물건 등을 통틀어 아우르는 표현으로 변질된 것이다.
일본에서는 지역 네타로 뎃카이도(でっかい道)<ref>'겁나 큰'을 의미하는 でっかい+도(道)</ref>부르기도 한다.


== 역사 ==
== 역사 ==
21번째 줄: 19번째 줄:
일본 열도를 이루는 4대 섬 중 하나다.<ref>나머지 셋은 [[혼슈]], [[규슈 지방|규슈]], [[시코쿠 지방|시코쿠]] </ref>
일본 열도를 이루는 4대 섬 중 하나다.<ref>나머지 셋은 [[혼슈]], [[규슈 지방|규슈]], [[시코쿠 지방|시코쿠]] </ref>


[[남한]]의 약 3/4에 달하는 거대한 섬으로, 인구는 약 600만 명에 불과하지만 [[인간 성기사 뿌뿌뽕|일본의 식량을 책임지는]] 곡창지대이다. <ref> 일본의 모 일어강사에 따르면 원래 일본 내에서 '곡창지대'하면 [[후쿠시마현]]으로 대표되는 [[도호쿠 지방]]을 떠올렸다고 한다. 그러나 요즘 들어서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인지 홋카이도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s> 실제로 홋카이도산 쌀로 밥지어 먹으면 맛있다.</s> </ref> 대설지인 만큼, 겨울 스포츠로도 유명하다.
[[남한]]의 약 3/4에 달하는 거대한 섬으로, 인구는 약 600만 명에 불과하지만 [[인간 성기사 뿌뿌뽕|일본의 식량을 책임지는]] 곡창지대이다. <ref> 일본의 모 일어강사에 따르면 원래 일본 내에서 '곡창지대'하면 [[후쿠시마 현]]으로 대표되는 [[도호쿠 지방]]을 떠올렸다고 한다. 그러나 요즘 들어서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인지 홋카이도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s> 실제로 홋카이도산 쌀로 밥지어 먹으면 맛있다.</s> </ref> 대설지인 만큼, 겨울 스포츠로도 유명하다.


=== 기후 ===
=== 기후 ===
27번째 줄: 25번째 줄:


=== 도시 ===
=== 도시 ===
홋카이도에서 가장 큰 도시는 인구수 약 200만 명의 [[삿포로]]. 그 외에도 삿포로 북쪽의 [[아사히카와]], 서쪽의 항구도시이자 [[러브레터]]의 촬영지로 유명한 [[오타루시]], 세계 3대 미항<s>누구 맘대로?</s>이라고 하는 [[하코다테시]], 낙농업이 유명한 [[오비히로시]], [[신치토세 공항]]이 있는 [[지토세시]] 등이 대표적인 도시들이다.
홋카이도에서 가장 큰 도시는 인구수 약 200만 명의 [[삿포로]]. 그 외에도 삿포로 북쪽의 [[아사히카와]], 서쪽의 항구도시이자 [[러브레터]]의 촬영지로 유명한 [[오타루 시]], 세계 3대 미항<s>누구 맘대로?</s>이라고 하는 [[하코다테 시]], 낙농업이 유명한 [[오비히로 시]], [[신치토세 공항]]이 있는 [[지토세 시]] 등이 대표적인 도시들이다.


많은 도시명이 한자식으로 음차된 [[아이누어]] 지명을 쓴다. 예를 들어 삿포로는 도요히라가와 강을 아이누어로 부르던 명칭에서 온 것으로, {{lang|ain|sat-poro}}(건조하고 큰) 또는 {{lang|ain|sari-poro-pet}}(그 갈대밭이 넓고 큰 강)를 {{일본어=|札幌}}(さつ+ほろ)로 음차한 것이다.
많은 도시명이 한자식으로 음차된 [[아이누어]] 지명을 쓴다. 예를 들어 삿포로는 도요히라가와 강을 아이누어로 부르던 명칭에서 온 것으로, {{lang|ain|sat-poro}}({{llang|ko|건조하고 큰}}) 또는 {{lang|ain|sari-poro-pet}}({{llang|ko|그 갈대밭이 넓고 큰 강}})를 札幌(さつ+ほろ)로 음차한 것이다.


== 행정구역 ==
== 행정구역 ==
홋카이도에는 14개의 [[종합진흥국]]이 있다. 홋카이도에서 가장 큰 도시인 [[삿포로]]는 [[이시카리 진흥국]]에 있다. 이시카리 진흥국 이외에도 오호츠크 해와 접해 있는 [[오호츠크 진흥국]], 일본 최북단에 위치한 [[소야 진흥국]] 등이 있다. 아래는 진흥국 목록이다.
홋카이도에는 14개의 [[종합진흥국]]이 있다. 홋카이도에서 가장 큰 도시인 [[삿포로]]는 [[이시카리 진흥국]]에 있다. 이시카리 진흥국 이외에도 오호츠크 해와 접해 있는 [[오호츠크 진흥국]], 일본 최북단에 위치한 [[소야 진흥국]] 등이 있다. 아래는 진흥국 목록이다.
* [[소야 진흥국]]
* [[소야 진흥국]]
* [[오호츠크 진흥국]]
* [[오호츠크 진흥국]]
49번째 줄: 48번째 줄:


== 문화 ==
== 문화 ==
일본 내에서 보는 이미지는 평화와 대자연의 상징이다. '이상향'이라고도 볼 수 있다. 특히 일본 문학계에서 파라다이스, 이상향의 상징으로 홋카이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일본 내에서 휴가 가고 싶은 곳 1위에 선정되었다고도 한다.
일본 내에서 보는 이미지는 평화와 대자연의 상징이다. '이상향'이라고도 볼 수 있다. 특히 일본 문학계에서 파라다이스, 이상향의 상징으로 홋카이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일본 내에서 휴가 가고 싶은 곳 1위에 선정되었다고도 한다.  


=== 음식 ===
=== 음식 ===
[[파일:Soup curry.jpg|thumb|수프카레는 이런 느낌이다]]
[[File:Soup curry.jpg|thumb|수프카레는 이런 느낌이다]]
[[파일:焼き味噌ラーメン (498138138).jpg|thumb|야키미소라멘(焼き味噌ラーメン) {{ㅊ|맛있겠다}}]]
[[File:焼き味噌ラーメン (498138138).jpg|thumb|야키미소라멘(焼き味噌ラーメン) {{ㅊ|맛있겠다}}]]


일단 홋카이도의 음식은 대부분 맛있다. 안심하고 여행하자. 특히 홋카이도는 식량자급률이 200%에 달할 정도로 식재료가 풍부한 동네이다.
일단 홋카이도의 음식은 대부분 맛있다. 안심하고 여행하자. 특히 홋카이도는 식량자급률이 200%에 달할 정도로 식재료가 풍부한 동네이다.  


[[돼지고기]]를 사랑하는 홋카이도지만, 그 중에서도 토카치(十勝)식 부타동(돼지고기 덮밥)이 유명하다. 보통 부타동과는 달리 큼지막히 잘라 달짝지근한 양념을 해서 숯불에 구운 돼지고기에 파를 곁들여 올리는데, 매우 맛있다. [http://kcanari.egloos.com/4039283 이 블로그]에 {{ㅊ|위꼴}} 사진이 있으니 궁금하면 들어가보자.
[[돼지고기]]를 사랑하는 홋카이도지만, 그 중에서도 토카치(十勝)식 부타동(돼지고기 덮밥)이 유명하다. 보통 부타동과는 달리 큼지막히 잘라 달짝지근한 양념을 해서 숯불에 구운 돼지고기에 파를 곁들여 올리는데, 매우 맛있다. [http://kcanari.egloos.com/4039283 이 블로그]에 {{ㅊ|위꼴}} 사진이 있으니 궁금하면 들어가보자.  


[[삿포로]]에서 만들어진 스프카레도 유명하다. [[수프]]+[[카레]]의 조합이라니 마치 [[괴식]]일 것 같지만, 오히려 [[한국인]]의 입맛에도 어울리는 요리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육개장]] 같은 [[카레]]라고 보면 편하다(...). 우리가 흔히 먹는 카레라이스라기 보다는 차라리 [[국밥]]에 가까운 편. 얼큰하고 뜨끈뜨끈한 국물요리라 겨울에 특히 잘 어울린다.
[[삿포로]]에서 만들어진 스프카레도 유명하다. [[수프]]+[[카레]]의 조합이라니 마치 [[괴식]]일 것 같지만, 오히려 [[한국인]]의 입맛에도 어울리는 요리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육개장]] 같은 [[카레]]라고 보면 편하다(...). 우리가 흔히 먹는 카레라이스라기 보다는 차라리 [[국밥]]에 가까운 편. 얼큰하고 뜨끈뜨끈한 국물요리라 겨울에 특히 잘 어울린다.  


역시 [[삿포로]]가 발상지인 미소라멘도 유명한 홋카이도 음식이다. 깊고 부드러운 국물맛을 자랑한다. 다만 일본에서 [[라멘]]은 [[중국요리]]로 생각된다는 게 함정. 한국의 [[짜장면]]을 생각하면 된다.
역시 [[삿포로]]가 발상지인 미소라멘도 유명한 홋카이도 음식이다. 깊고 부드러운 국물맛을 자랑한다. 다만 일본에서 [[라멘]]은 [[중국요리]]로 생각된다는 게 함정. 한국의 [[짜장면]]을 생각하면 된다.  


또한 섬답게 [[연어]]나 털게를 비롯한 해산물도 일품이다. 삿포로 서쪽에 있는 도시인 [[이시카리시]]에는 연어를 이용한 이시카리 나베(石狩鍋)라는 음식이 유명하다. 홋카이도를 대표하는 음식으로 선정된 적도 있다고 하니 근처에 갈 일이 있다면 시도해보자.
또한 섬답게 [[연어]]나 털게를 비롯한 해산물도 일품이다. 삿포로 서쪽에 있는 도시인 [[이시카리]]시에는 연어를 이용한 이시카리 나베(石狩鍋)라는 음식이 유명하다. 홋카이도를 대표하는 음식으로 선정된 적도 있다고 하니 근처에 갈 일이 있다면 시도해보자.


그 외에도 {{ㅊ|파산한 지자체로도 유명한}} 유바리(夕張市)는 일본 최고의 [[멜론]]으로 유명하다. 멜론 두 개에 250만엔을 호가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 ㅎㄷㄷ.
그 외에도 {{ㅊ|파산한 지자체로도 유명한}} 유바리(夕張市)는 일본 최고의 [[멜론]]으로 유명하다. 멜론 두 개에 250만엔을 호가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 ㅎㄷㄷ.  


아이스크림도 재미나는 것들이 보인다. 해당화(浜茄子) 맛이나 [[라벤더]] 맛 아이스크림, '''주황색''' 멜론<ref>일본에서 먹는 멜론은 주로 과육이 주황색이다. 맛은 초록색 멜론이랑 거의 같다.</ref> 아이스크림 등등. 추운 동네긴 하지만 갈 일이 있다면 이런 저런 특산품을 이용한 다양한 아이스크림을 맛보는 것도 재미다. 참고로 홋카이도의 모 일본어 선생에 따르면 홋카이도 사람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사치는 한겨울에 집에서 난방을 해두고 반팔을 입고 아이스크림을 먹는 것이라 [[카더라]].
아이스크림도 재미나는 것들이 보인다. 해당화(浜茄子) 맛이나 [[라벤더]] 맛 아이스크림, '''주황색''' 멜론<ref>일본에서 먹는 멜론은 주로 과육이 주황색이다. 맛은 초록색 멜론이랑 거의 같다.</ref> 아이스크림 등등. 추운 동네긴 하지만 갈 일이 있다면 이런 저런 특산품을 이용한 다양한 아이스크림을 맛보는 것도 재미다. 참고로 홋카이도의 모 일본어 선생에 따르면 홋카이도 사람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사치는 한겨울에 집에서 난방을 해두고 반팔을 입고 아이스크림을 먹는 것이라 [[카더라]].
78번째 줄: 77번째 줄:
{{일본의 행정구역}}
{{일본의 행정구역}}
[[분류:홋카이도| ]]
[[분류:홋카이도| ]]
{{리브레 맵스 마커|43.06428682999925|141.34684681892395|6|홋카이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