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MEGA39's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게임이름 = 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디바 MEGA39's
|게임이름 = 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디바 MEGA39's
|원어이름 = 初音ミク Project DIVA MEGA39’s
|원어이름 = 初音ミク Project DIVA MEGA39’s
|배경색  = #88D4D3
|배경색  = #ade170
|글자색  = #ffffff
|글자색  = #ffffff
|그림    = [[파일:Mega39slogo.png|250px]]
|그림    = [[File:Mega39slogo.png|250px]]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배급사  = {{깃발|일본}} [[세가|세가 게임즈]]<br />{{깃발|한국}} [[세가퍼블리싱코리아]]
|개발사  = 세가 인터랙티브 제2연구개발부
|개발사  = 세가 인터랙티브 제2연구개발부
|제작    =  
|배급사  = {{국기그림|일본}} [[세가|세가 게임즈]]<br />{{국기그림|한국}} [[세가퍼블리싱코리아]]
|기획자  =  
|작가    =  
|작가    =  
|미술    =  
|미술    =  
|작곡가  =  
|작곡가  =  
|장르    = [[리듬 게임]]
|시리즈  =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출시일  = {{깃발|일본}}{{깃발|한국}}[[2020년]] [[2월 13일]]<br />{{깃발|미국}} [[2020년]] [[5월 15일]]
|출시일  = {{국기그림|일본}}{{국기그림|한국}}[[2020년]] [[2월 13일]]<br />{{국기그림|미국}} [[2020년]] [[5월 15일]]
|종료일  =  
|종료일  =  
|플랫폼  = [[닌텐도 스위치]]
|플랫폼  = [[닌텐도 스위치]]
|장르    = [[리듬 게임]]
|모드    = 싱글플레이
|모드    = 싱글플레이
|언어    =  
|언어    =  
|이용등급 = {{국기그림|일본}} CERO:C<br />{{국기그림|한국}} 청소년이용불가<br />{{국기그림|미국}} ESRB:T
|엔진    =  
|엔진    =  
|시리즈  =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버전    =  
|이전작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Future Tone DX]]
|이전작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Future Tone DX]]
|후속작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MEGA39's+]]
|후속작  =  
|웹사이트 = [http://segagames.co.kr/mega39s/ 한국 공식 사이트]<br />[http://miku.sega.jp/mega39s/ 일본 공식 사이트]
|웹사이트 = [http://segagames.co.kr/mega39s/ 한국 공식 사이트]<br />[http://miku.sega.jp/mega39s/ 일본 공식 사이트]
|비고    =  
|비고    =  
39번째 줄: 41번째 줄:


==시스템==
==시스템==
이 설명문은 PC 이식작인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MEGA39's+》에서 변경된 사항도 기제하고 있다. 몇몇 자잘한 변경점을 제외하면 MEGA39's+도 크게 다를건 없다.
===리듬 게임===
===리듬 게임===
*리듬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아케이드 모드와 믹스 모드로 나뉘어 있으며 게임을 처음으로 시작하면 튜토리얼 모드가 나온다. +버튼을 길게 누르면 스킵이 가능하며 갤러리에서 다시 플레이할 수 있다.
*리듬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아케이드 모드와 믹스 모드로 나뉘어 있으며 게임을 처음으로 시작하면 튜토리얼 모드가 나온다. +버튼을 길게 누르면 스킵이 가능하며 갤러리에서 다시 플레이할 수 있다.
*리듬 게임을 완주하면 VP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사용하여 모듈이나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을 살 수 있다.
*리듬 게임을 완주하면 VP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사용하여 모듈이나 커스터마이징 아이템을 살 수 있다.
*판정은 COOL, FINE, SAFE, SAD, WORST/WRONG/ALMOST로 나뉜다. COOL, FINE만 콤보가 이어진다. WORST는 아이콘을 놓쳤을 경우, WRONG은 엉뚱한 아이콘을 쳤을 경우, ALMOST는 동시 누름 마커를 칠 때 부분적으로 못쳤을 경우에 나온다. 믹스 모드는 동시 누름 마커가 나오지 않으므로 ALMOST 판정은 나오지 않는다. 결과 화면에서 WORST/WRONG/ALMOST는 하나로 합산해서 처리된다.
*판정은 COOL, FINE, SAFE, SAD, WORST/WRONG/ALMOST로 나뉜다. COOL, FINE만 콤보가 이어진다. WORST는 아이콘을 놓쳤을 경우, WRONG은 엉뚱한 아이콘을 쳤을 경우, ALMOST는 동시 누름 마커를 칠 때 부분적으로 못쳤을 경우에 나온다. 믹스 모드는 동시 누름 마커가 나오지 않으므로 ALMOST 판정은 나오지 않는다. 결과 화면에서 WORST/WRONG/ALMOST는 하나로 합산해서 처리된다.
**COOL과 FINE에는 정박 판정과 빠른 판정, 느린 판정이 따로 존재하며 FINE에는 정박 판정이 없다. 아이콘의 그라데이션으로 이를 구분하지만 점수나 달성률에는 영향이 없다. 하지만 홀드를 잡을때는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프레임의 차이로 인하여 점수차가 나기 때문이다.([https://bbs.ruliweb.com/game/85298/read/9413360 홀드 공략])
*라이프 게이지가 존재하며 계속 실수를 하여 이 게이지가 다 떨어지면 게임 오버가 된다.
*라이프 게이지가 존재하며 계속 실수를 하여 이 게이지가 다 떨어지면 게임 오버가 된다. 라이프 게이지는 SAD부터 줄어들며 SAFE가 나오면 그대로 유지, COOL과 FINE은 라이프 게이지가 늘어난다. 잘못된 버튼을 눌렀지만 판정이 COOL이 나올 경우 WRONG과 ALMOST 아이콘 색이 붉게 나오는데 이 경우에는 라이프 게이지가 적게 줄어든다.
*라이프 게이지 외에 클리어 게이지가 있으며 이 게이지가 최소 클리어 목표치까지 도달해야 클리어가 가능하다. 클리어 게이지를 얼만큼 채웠느냐에 따라 판정이 나뉘며 MISSXTAKE<ref>영문판은 DROPXOUT으로 나온다.</ref>, STANDARD, GREAT, EXCELLENT, PERFECT가 있다.
*라이프 게이지 외에 클리어 게이지가 있으며 이 게이지가 최소 클리어 목표치까지 도달해야 클리어가 가능하다.
*연습 모드를 선택하여 해당 곡을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며 연습할 구간을 직접 설정하여 연습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리어 판정은 MISSXTAKE<ref>영문판은 DROPXOUT으로 나온다.</ref>, STANDARD, GREAT, EXCELLENT, PERFECT가 있다. PERFECT여부는 클리어 게이지와는 상관 없이 그냥 모든 마커를 COOL, FINE으로 쳐서 콤보가 끊기지 않으면 된다. 즉, 클리어 게이지가 100%를 못넘겨도 콤보가 끊기지 않으면 PERFECT가 나온다.
*연습 모드를 선택하여 해당 곡을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며 연습할 구간을 직접 설정하여 연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모드에서는 PV가 재생되지 않는다.
*완주 모드는 실수를 많이 해서 라이프가 다 닮는다 하더라도 게임 오버가 되지 않지만 클리어 게이지를 채우지 못하면 클리어로 인정이 안 된다. 기록이 갱신되지 않으며 랭크업 경험치도 오르지 않지만 VP는 얻을 수 있다.
*MV에 등장하는 메인 캐릭터나 게스트 캐릭터는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하지만 캐릭터를 바꾼다 하더라도 보컬은 바뀌지 않으며 LOLI-MEIKO의 보컬을 지원하는 『Nostalogic』나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에서 넘어온 곡들 중에서 보컬 체인지를 지원하는 곡들만 따로 설정해서 바꿀 수 있다.
*MV에 등장하는 메인 캐릭터나 게스트 캐릭터는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하지만 캐릭터를 바꾼다 하더라도 보컬은 바뀌지 않으며 LOLI-MEIKO의 보컬을 지원하는 『Nostalogic』나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에서 넘어온 곡들 중에서 보컬 체인지를 지원하는 곡들만 따로 설정해서 바꿀 수 있다.


62번째 줄: 59번째 줄:
*무지개색 타깃 아이콘을 치는데 성공하면 MV의 연출이 바뀐다.
*무지개색 타깃 아이콘을 치는데 성공하면 MV의 연출이 바뀐다.
*EASY, NORMAL 난이도에서 곡의 클라이맥스 부분에 등장하는 첼린지 타임은 라이프 게이지가 줄지 않는 대신 난이도가 높다.
*EASY, NORMAL 난이도에서 곡의 클라이맥스 부분에 등장하는 첼린지 타임은 라이프 게이지가 줄지 않는 대신 난이도가 높다.
*리듬 게임 옵션은 패널티를 설정해서 플레이 하는 옵션이다.
**HI SPEED : 멜로디/슬라이드 아이콘이 나오는 속도가 더 빨라진다.
**HIDDEN : 멜로디/슬라이드 아이콘이 타깃 아이콘과 겹치기 전에 사라진다.
**SUDDEN : 멜로디/슬라이드/타깃 아이콘이 타이밍 직전까지 표시되지 않는다.
*난이도는 Future Tone와 마찬가지로 EASY, NORMAL, HARD, EXTREME, EXTRA EXTREME이 있다. EXTREME과 EXTRA EXTREME은 HARD를 클리어 하면 해금된다.
*난이도는 Future Tone와 마찬가지로 EASY, NORMAL, HARD, EXTREME, EXTRA EXTREME이 있다. EXTREME과 EXTRA EXTREME은 HARD를 클리어 하면 해금된다.
*아이콘의 기본 설정은 A, B, Y, X 버튼으로 되어 있다. 아케이드의 도형 형식이나 화살표 형식으로 바꾸고 싶다면 커스터마이즈 메뉴에 들어가서 바꾸면 된다.
*아이콘의 기본 설정은 A, B, Y, X 버튼으로 되어 있다. 아케이드의 도형 형식이나 화살표 형식으로 바꾸고 싶다면 커스터마이즈 메뉴에 들어가서 바꾸면 된다.
*위에서 설명했듯 이 모드는 Future Tone과 시스템이 똑같다. 그 탓에 Joy-Con이나 Pro-Con으로 치기에 곤란한 채보가 다수 존재하며 십자키의 인식 문제가 있는 Pro-Con보다는 Joy-Con이 플레이 하기에는 훨씬 편하다. 따라서 난이도는 어려운 편. 이를 해결하려면 커스터마이즈에서 키 설정을 하거나 전용 컨트롤러를 사야 하지만 후자는 컨트롤러의 가격이 너무나 비싼 편이다.<ref>HORI에서 나온 전용 컨트롤러의 가격은 세금 포함 37,778엔으로 환율만 따져서 계산해도 대충 408,000원 정도다. 그마저도 일정 기간까지 수량을 주문 받고 제작해서 파는 방식이라 더 이상 판매를 하지 않아 되팔이들이 정가보다 더 비싸게 팔아먹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까지 비싸진 이유는 아케이드의 패드를 그대로 재연하기 위해 슬라이드 패드를 터치 스크린으로 만들었기 때문. 해당 컨트롤러가 나오기 전에 나온 컨트롤러를 사용하려면 컨버터가 필요하며 국내의 IST나 중국의 일부 업체에서 만드는 컨트롤러는 HORI에서 나오는 것들 보다 가격이 싸고 평가도 나쁘지 않지만 이것도 주문제작 방식이라 제품이 만들어지고 발송되는데 시간이 걸린다. 이 컨트롤러 중에서도 옵션에 따라 가격이 HORI 컨트롤러와 맞먹는 것도 있다.</ref> 하지만 MEGA39's+는 PC라는 점에서 키보드가 지원되며 컨트롤러 선택도 자유로우니 사정이 훨씬 낫다.
*위에서 설명했듯 이 모드는 Future Tone과 시스템이 똑같다. 그 탓에 Joy-Con이나 Pro-Con으로 치기에 곤란한 채보가 다수 존재하며 십자키의 인식 문제가 있는 Pro-Con보다는 Joy-Con이 플레이 하기에는 훨씬 편하다. 따라서 난이도는 어려운 편. 이를 해결하려면 커스터마이즈에서 키 설정을 하거나 전용 컨트롤러를 사야 하지만 후자는 컨트롤러의 가격이 너무나 비싼 편이다.<ref>HORI에서 나온 전용 컨트롤러의 가격은 세금 포함 37,778엔으로 환율만 따져서 계산해도 대충 408,000원 정도다. 그마저도 일정 기간까지 수량을 주문 받고 제작해서 파는 방식이라 더 이상 판매를 하지 않아 되팔이들이 정가보다 더 비싸게 팔아먹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까지 비싸진 이유는 아케이드의 패드를 그대로 재연하기 위해 슬라이드 패드를 터치 스크린으로 만들었기 때문. 해당 컨트롤러가 나오기 전에 나온 컨트롤러를 사용하려면 컨버터가 필요하며 국내의 IST나 중국의 일부 업체에서 만드는 컨트롤러는 HORI에서 나오는 것들 보다 가격이 싸고 평가도 나쁘지 않지만 이것도 주문제작 방식이라 제품이 만들어지고 발송되는데 시간이 걸린다. 이 컨트롤러 중에서도 옵션에 따라 가격이 HORI 컨트롤러와 맞먹는 것도 있다.</ref>


====믹스 모드====
====믹스 모드====
75번째 줄: 68번째 줄:
*노란색으로 빛나는 롱 노트는 노트의 길이 만큼 버튼을 누르면 된다.
*노란색으로 빛나는 롱 노트는 노트의 길이 만큼 버튼을 누르면 된다.
*노트를 치는 판정은 넉넉한편인데 이는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의 터치 모드와 흡사한 점이다.
*노트를 치는 판정은 넉넉한편인데 이는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의 터치 모드와 흡사한 점이다.
*이 모드는 MV 분기 아이콘이 없다.
*MEGA39's+에는 없다.


===커스터마이징===
===커스터마이징===
102번째 줄: 93번째 줄:
**아이콘 표시 설정에 따라 버튼의 표시가 변한다.
**아이콘 표시 설정에 따라 버튼의 표시가 변한다.
**1.0.5 버전 부터 게임 진행 중에 R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다. 기본 설정은 반투명이며 한 번 누르면 불투명,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버튼이 표시되지 않는다.
**1.0.5 버전 부터 게임 진행 중에 R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다. 기본 설정은 반투명이며 한 번 누르면 불투명,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버튼이 표시되지 않는다.
**믹스모드와 마찬가지로 MEGA39's+에는 없다.


===MV 플레이리스트 재생===
===MV 플레이리스트 재생===
124번째 줄: 114번째 줄:


====광고 극장====
====광고 극장====
*본작의 오프닝을 볼 수 있다.
* 본작의 오프닝을 볼 수 있다.
*MEGA39's+에서는 본작의 오프닝뿐만 아니라 역대 아케이드 계열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의 오프닝들을 볼 수 있다.


====제작진====
====제작진====
174번째 줄: 163번째 줄:
|-
|-
| 18 || 추가곡 팩 시즌 페스 2 || 38,900원 || 2020. 07. 16
| 18 || 추가곡 팩 시즌 페스 2 || 38,900원 || 2020. 07. 16
|-
| 19 || 추가곡 팩 12th || 9,400원 || 2022. 08. 25
|-
| 20 || 추가곡 팩 13th || 9,400원 || 2022. 08. 25
|-
| 21 || 추가곡 팩 14th || 9,400원 || 2022. 08. 25
|-
| 22 || 추가곡 팩 15th || 9,400원 || 2022. 08. 25
|-
| 23 || 추가곡 팩 16th || 9,400원 || 2022. 08. 25
|-
| 24 || 추가곡 팩 17th || 9,400원 || 2022. 08. 25
|-
| 25 || 추가곡 팩 18th || 9,400원 || 2022. 08. 25
|-
| 26 || 추가곡 팩 시즌 페스 3 || 55,800원 || 2022. 08. 25
|}
|}


197번째 줄: 170번째 줄:


==수록곡==
==수록곡==
{{참고|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MEGA39's/수록곡}}
{{참조|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MEGA39's/수록곡}}
기본 수록곡 수는 총 101곡. 한국어 정발판은 『천본앵』과 『오오에도 줄리아 나이트』가 빠진 99곡이다.
기본 수록곡 수는 총 101곡. 한국어 정발판은 『천본앵』과 『오오에도 줄리아 나이트』가 빠진 99곡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