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생물 분류 정보
{{생물 분류 정보
|이름    = 하마
|이름    = 하마
|그림    = Hippopotamus amphibius Whipsnade Zoo.jpg
|그림    = [[파일:Hippopotamus amphibius Whipsnade Zoo.jpg]]
|그림설명 = 하마 한 쌍, 영국 휩스네이드 동물원
|그림설명 = 영국 휩스네이드 동물원에서 촬영한 하마
|학명    = ''Hippopotamus amphibius''
|학명    = ''Hippopotamus amphibius''
|명명    = [[Linnaeus]], 1758
|명명    = Linnaeus, 1758
|생물분류 =  
|생물분류 =  
  {{생물 분류 정보/분류
  {{생물 분류 정보/분류
44번째 줄: 44번째 줄:


{| style="margin: auto;"
{| style="margin: auto;"
| [[파일:Portrait Hippopotamus in the water.jpg|x500px]]
| [[파일:Portrait Hippopotamus in the water.jpg|500px|섬네일|탄자니아 사다니 국립공원에서 촬영한 하마]]
|}
|}
'''하마'''(河馬, Hippopotamus)는 소목 하마과 하마속에 속하는 반수생 포유류로, 하마과에 속한 동물 중 [[피그미하마]]와 더불어 유이하게 현존하는 종이다. 하마는 크게 지리적 분포, 두개골을 비롯한 형태적 이형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모식아종<small>(''H. a. amphibius'')</small>을 포함한 5종의 아종으로 나뉜다.
'''하마'''(河馬, Hippopotamus)는 소목 하마과 하마속에 속하는 반수생 포유류로, 하마과에 속한 동물 중 [[피그미하마]]와 더불어 유이하게 현존하는 종이다. 하마는 크게 지리적 분포, 두개골을 비롯한 형태적 이형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모식아종<small>(''H. a. amphibius'')</small>을 포함한 5종의 아종으로 나뉜다.
53번째 줄: 53번째 줄:


평균적인 하마의 크기는 몸길이 3.7~4.6m, 어깨높이는 1.5~1.8m에 몸무게는 수컷이 1,500kg, 암컷이 1,300kg으로 수컷에 비해 암컷이 다소 작으며, 육상동물 중 [[코끼리]]와 [[흰코뿔소]] 다음으로 덩치가 크다.
평균적인 하마의 크기는 몸길이 3.7~4.6m, 어깨높이는 1.5~1.8m에 몸무게는 수컷이 1,500kg, 암컷이 1,300kg으로 수컷에 비해 암컷이 다소 작으며, 육상동물 중 [[코끼리]]와 [[흰코뿔소]] 다음으로 덩치가 크다.
== 어원 및 언어적 요소 ==
{{다국어 표기
|언어1 = 한국어
|표기1 = {{한국어|하마, 물뚱뚱이|한자=河馬|문화어=물말}}
|언어2 = 영어
|표기2 = {{영어|Hippopotamus, Hippo}}
|언어3 = 중국어
|표기3 = {{중국어|河马|Hémǎ}}
|언어4 = 일본어
|표기4 = {{일본어|カバ}}
}}
특이하게도 과거에는 하마를 [[말]]과 관련이 깊은 동물로 보았는데, 이는 하마를 옆에서 본 모습에서 마치 다리가 짧고 뚱뚱한 말을 연상시킨 것으로 추정된다.{{--|그런데 솔찍히 지금 와서 보면 뭔가 말보다는 코뿔소나 돼지 같다}} 당장 '''하마'''(河馬)라는 이름도 '강([[河]])에서 사는 말([[馬]])'이라는 의미로 지어진 것이다.
영어권 및 라틴어로 하마를 칭하는 '''히포포타머스'''(Hippopotamus)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인 '''히포포타모스'''( ''ἱπποπόταμος'')에서 따 왔는데, 이 단어들 역시 "강(''πόταμος'')의 말(''ἱππο'')"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름과는 달리 하마는 말이 속해있는 기제목(말목)이 아닌 소와 가까운 우제목에 속해 있다.<ref>재미있게도 [[코뿔소]]는 하마와는 반대로 코 위에 뿔이 달려있는 소라는 의미로 '코뿔소'라는 이름이 붙어졌지만, 말이 속해있는 우제목(소목)이 아닌 기제목에 속해 있다.</ref>
그나마 말과 관련이 없는 이름을 고르자면 우리나라에서 현재는 거의 사어가 된 속된 표현으로 '물속에 있는 뚱뚱한 동물이라는 뜻'의 '''물뚱뚱이''', 아프리카의 요루바족 말로 '물코끼리'라는 뜻이 담긴 '''에린미'''(''erinmi'')가 있다.
이외에도 "하마"라는 명칭은 돼지와 마찬가지로 많이 먹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혹은 뚱뚱한 사람을 가리키는 멸칭으로 쓰이며, 특히 국내에서는 가격에 비해 효율이 좋지 못하는 경우, 혹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드는 경우를 가리켜 'XX먹는 하마'라고 일걷는 경우가 많다.
== 분류 및 진화 ==
{| style="float: right;"
| [[파일: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laurasiatherian mammals as used in molecular evolution analyses.jpg|x235px|섬네일|하마와 고래의 유전적 관계를 나타낸 도표]]
|}
하마와 고래는 약 6,000만 년 전 우제류에서 떨어져나온 메소닉스속의 반수생 동물을 공통 조상으로 두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 공통 조상이 5,400만 년 전 다시 두 갈래로 쪼개져서 각각 하마의 조상뻘인 '''안트라코테리움'''(Anthracotheres)과 동물들과 고래의 조상뻘인 고대고래아목으로 진화한 것으로 추측된다. 원시 하마라고 볼 수 있는 안트라코테리움과 동물들은 현대의 하마와는 달리 앞뒤로 늘씬한 체형에 말처럼 머리와 턱, 주둥이가 비교적 협소하여 하마보다는 마치 주둥이 긴 멧돼지나 맥을 연상시키는 외형을 지니고 있었다.
이 가운데 몇몇 종이 하마과로 분화되어, 플리오세를 거쳐 안트라코테리움과 동물들을 대신하여 유라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통틀어 번성하게 된다. 가장 먼저 나타난 것으로 보이는 하마과 동물은 약 1,500~900만 년 전 케냐에서 서식한 '''케냐포타무스'''(Kenyapotamus)다. 현대 하마의 직계 조상으로 강력히 추정되는 생물은 약 750~180만 년 전에 중동과 아프리카 지방에 살았던 '''아르카이오포타무스'''(Archaeopotamus)로, 이후 플라이스토세 중기 끝무렵에 이르러 현생 하마가 나타나게 된다.
하마는 현재 하마속에 속한 동물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종으로, 상위 분류군인 하마과로 범위를 넓혀봐도 피그미하마와 더불어 유이하게 현존하는 종이다.
== 생물학적 특징 ==
== 생물학적 특징 ==
[[파일:Flickr - Rainbirder - Eye to eye with a Kelpie..jpg|230px|섬네일|수면 위로 윗얼굴을 내밀고 있는 하마]]
{| style="float: right;"
| [[파일:Flickr - Rainbirder - Eye to eye with a Kelpie..jpg|230px|섬네일|수면 위로 윗얼굴을 내밀고 있는 하마]]
|}
외형적으로는 돼지를 연상시키는 포동포동하고 길쭉한 원통형 몸체을 띄고 있으며 피부에는 주둥이나 꼬리를 제외하면 털이 거의 없다. 몸 빛깔은 대체로 탁한 분홍색이나 회색을 머금은 보라색을 띄고 있으며 배와 귀, 눈 쪽으로 갈수록 살구색에 가까워진다. 다리는 땅딸막하고 굵직하며 발굽이 달린 4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고, 그 사이에는 물갈퀴와 비슷한 작은 피막이 있다. 그리고 끄트머리에 억센 털이 자라나 있는 짤막한 꼬리를 갖고 있다.
외형적으로는 돼지를 연상시키는 포동포동하고 길쭉한 원통형 몸체을 띄고 있으며 피부에는 주둥이나 꼬리를 제외하면 털이 거의 없다. 몸 빛깔은 대체로 탁한 분홍색이나 회색을 머금은 보라색을 띄고 있으며 배와 귀, 눈 쪽으로 갈수록 살구색에 가까워진다. 다리는 땅딸막하고 굵직하며 발굽이 달린 4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고, 그 사이에는 물갈퀴와 비슷한 작은 피막이 있다. 그리고 끄트머리에 억센 털이 자라나 있는 짤막한 꼬리를 갖고 있다.


머리는 마치 두꺼운 모래시계처럼 중간이 조금 오목하고 위아래가 넓은 모양으로, 주둥이는 말처럼 길쭉하며 그 상단에 넓직한 콧구멍을 가지고 있다. 얼굴 크기에 비해 눈과 귀는 비교적 작지만, 반수생 생활에 적응한 동물답게 윗얼굴에 눈과 귀, 콧구멍이 자리잡고 있어서 몸뚱이가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도 이 부위들은 모두 수면 위에 뜬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머리는 마치 두꺼운 모래시계처럼 중간이 조금 오목하고 위아래가 넓은 모양으로, 주둥이는 말처럼 길쭉하며 그 상단에 넓직한 콧구멍을 가지고 있다. 얼굴 크기에 비해 눈과 귀는 비교적 작지만, 반수생 생활에 적응한 동물답게 윗얼굴에 눈과 귀, 콧구멍이 자리잡고 있어서 몸뚱이가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도 이 부위들은 모두 수면 위에 뜬 상태로 있을 수 있다.


[[파일:Hippo skull dark.jpg|220px|섬네일|왼쪽|하마 두개골]]
{| style="float: left;"
| [[파일:Hippo skull dark.jpg|220px|섬네일|왼쪽|하마 두개골]]
|}
하마의 턱은 거의 150°에 달하는 각도로 벌어지며 그 힘은 '''1t'''에 달해 [[하이에나]](450kg)와 [[고릴라]](700kg)를 꺾고 포유류 중 가장 치악력이 강한 축에 속한다.<ref>대체적으로 아나콘다나 스밀로돈과 같이 턱이 크게 벌려지는 동물들은 턱 관절이 유연한 대신 자체적인 힘이 약하기 때문에 치악력이 상당히 낮은 경우를 생각하자면 하마의 치악력이 강한 것은 이례적인 경우에 속한다. 다만 체중 대비 치악력은 자기 체중의 절반 정도로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ref> 아래턱의 앞니와 송곳니는 먹이를 먹기보다는 자신의 몸을 지키는 무기에 알맞은 형태로, 그 길이는 40~50cm, 길게는 '''60cm'''에 달하기도 한다.<ref>이는 [[티라노사우루스]]의 송곳니보다 2배 정도 긴 수치다. 하지만 하마의 송곳니를 노린 밀렵이 계속된 탓에 현재는 40cm대의 송곳니를 가진 하마도 상당히 큰 편으로 취급받는다.</ref>
하마의 턱은 거의 150°에 달하는 각도로 벌어지며 그 힘은 '''1t'''에 달해 [[하이에나]](450kg)와 [[고릴라]](700kg)를 꺾고 포유류 중 가장 치악력이 강한 축에 속한다.<ref>대체적으로 아나콘다나 스밀로돈과 같이 턱이 크게 벌려지는 동물들은 턱 관절이 유연한 대신 자체적인 힘이 약하기 때문에 치악력이 상당히 낮은 경우를 생각하자면 하마의 치악력이 강한 것은 이례적인 경우에 속한다. 다만 체중 대비 치악력은 자기 체중의 절반 정도로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ref> 아래턱의 앞니와 송곳니는 먹이를 먹기보다는 자신의 몸을 지키는 무기에 알맞은 형태로, 그 길이는 40~50cm, 길게는 '''60cm'''에 달하기도 한다.<ref>이는 [[티라노사우루스]]의 송곳니보다 2배 정도 긴 수치다. 하지만 하마의 송곳니를 노린 밀렵이 계속된 탓에 현재는 40cm대의 송곳니를 가진 하마도 상당히 큰 편으로 취급받는다.</ref>


70번째 줄: 102번째 줄:
물 속에서 주로 생활하는 까닭에 다른 육상동물들과 비교하여 다리가 비교적 짧은 편이지만, 의외로 보기보다 빠른 동물로 육상에서 순간적으로 시속 30km에 달하는 속도로 달릴 수 있다. 비록 오랜 기간 동안 달릴 수 없으며 몸무게 탓에 뜀뛰기는 할 수 없지만, 가파른 강기슭 따위를 맞닥뜨렸을 때 기어 올라갈 정도는 된다.
물 속에서 주로 생활하는 까닭에 다른 육상동물들과 비교하여 다리가 비교적 짧은 편이지만, 의외로 보기보다 빠른 동물로 육상에서 순간적으로 시속 30km에 달하는 속도로 달릴 수 있다. 비록 오랜 기간 동안 달릴 수 없으며 몸무게 탓에 뜀뛰기는 할 수 없지만, 가파른 강기슭 따위를 맞닥뜨렸을 때 기어 올라갈 정도는 된다.


== 분류 및 진화 ==
== 생태 ==
{| style="float: right;"
{| style="float: right;"
| [[파일: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laurasiatherian mammals as used in molecular evolution analyses.jpg|x235px|섬네일|하마와 고래의 유전적 관계를 나타낸 도표]]
| [[파일:Hippopotamus distribution.png|220px|섬네일|하마의 분포 지역]]
|}
|}
하마와 고래는 약 6,000만 년 전 우제류에서 떨어져나온 메소닉스속의 반수생 동물을 공통 조상으로 두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 공통 조상이 5,400만 년 전 다시 두 갈래로 쪼개져서 각각 하마의 조상뻘인 '''안트라코테리움'''(Anthracotheres)과 동물들과 고래의 조상뻘인 고대고래아목으로 진화한 것으로 추측된다. 원시 하마라고 볼 수 있는 안트라코테리움과 동물들은 현대의 하마와는 달리 앞뒤로 늘씬한 체형에 말처럼 머리와 턱, 주둥이가 비교적 협소하여 하마보다는 마치 주둥이 긴 멧돼지나 맥을 연상시키는 외형을 지니고 있었다.
이 가운데 몇몇 종이 하마과로 분화되어, 플리오세를 거쳐 안트라코테리움과 동물들을 대신하여 유라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통틀어 번성하게 된다. 가장 먼저 나타난 것으로 보이는 하마과 동물은 약 1,500~900만 년 전 케냐에서 서식한 '''케냐포타무스'''(Kenyapotamus)다. 현대 하마의 직계 조상으로 강력히 추정되는 생물은 약 750~180만 년 전에 중동과 아프리카 지방에 살았던 '''아르카이오포타무스'''(Archaeopotamus)로, 이후 플라이스토세 중기 끝무렵에 이르러 현생 하마가 나타나게 된다.
하마는 현재 하마속에 속한 동물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종으로, 상위 분류군인 하마과로 범위를 넓혀봐도 피그미하마와 더불어 유이하게 현존하는 종이다.
== 생태 ==
하마는 박명박모성 및 [[야행성]] 동물로 황혼과 밤에 주로 활동한다. 햇볕이 강한 낮에는 하마는 하루 종일 낮잠을 자거나 물가에서 휴식을 취하며, 하루에 최대 18시간이 넘도록 쉬기도 한다. 휴식 장소로는 수심이 1.3~1.5m 정도 되는 호수나 강가를 선호한다. 늦은 오후에서부터 해가 차츰 지기 시작할 때까지, 즉 오후 4~7시 사이에는 주로 수중 활동이 일어난다. 해가 지고 늦저녁이 되어 주변이 어둑해지면 육상으로 올라와서 먹이를 찾아 6시간 동안 헤매고 다니면서 식사를 하며, 새벽이 되면 다시 물 속으로 복귀한다. 대기 중의 습도가 높을수록 하루 일과 중 물 밖에서 활동하거나 먹이를 찾는 기간이 빈번해지며, 암컷보다 수컷이 하루 일과 중에서 휴식을 취하는 기간이 더 길다.
=== 분포 ===
[[파일:Hippopotamus distribution.png|220px|섬네일|하마의 분포 지역]]
야생에서 하마의 서식지는 현재 콩고민주공화국, 우간다, 탄자니아, 케나,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총 29개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서아프리카보다는 비교적 정치적 안정도가 높은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에 더 많은 개체 수가 남아 있다. [[히포포타무스 고르곱스]]와 같은 하마과에 속한 친척들은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 유럽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기후 변화로 인해 멸종되었다.
야생에서 하마의 서식지는 현재 콩고민주공화국, 우간다, 탄자니아, 케나,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총 29개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서아프리카보다는 비교적 정치적 안정도가 높은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에 더 많은 개체 수가 남아 있다. [[히포포타무스 고르곱스]]와 같은 하마과에 속한 친척들은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 유럽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기후 변화로 인해 멸종되었다.


서식지는 주로 큰 강이나 하천, 늪, 호수, 맹그로브 습지 등 초원과 사바나에서 몸을 담글 수 있을 만큼 물이 풍족한 공간을 거처로 삼으며 매우 드물게 열대 우림에 서식하기도 한다. 대체로 물의 흐름이 천천히 흘러가거나 아예 정체되어 있는 물가를 좋아하지만 일부 수컷은 드물게 암석이 많고 급류가 생겨나는 상류나 계곡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대부분 담수에서 살지만 강어귀처럼 약하게 염분을 머금고 있는 수질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
서식지는 주로 큰 강이나 하천, 늪, 호수, 맹그로브 습지 등 초원과 사바나에서 몸을 담글 수 있을 만큼 물이 풍족한 공간을 거처로 삼으며 매우 드물게 열대 우림에 서식하기도 한다. 대체로 물의 흐름이 천천히 흘러가거나 아예 정체되어 있는 물가를 좋아하지만 일부 수컷은 드물게 암석이 많고 급류가 생겨나는 상류나 계곡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대부분 담수에서 살지만 강어귀처럼 약하게 염분을 머금고 있는 수질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


[[콜롬비아]]에는 1993년 메데인 카르텔의 두령인 [[파블로 에스코바르]]가 사살된 후, 그가 사육하고 있던 하마들이 탈출해 자연번식한 개체들이 존재한다. 2020년에는 이 무리가 100마리까지 불어났고, 번식 주기가 비상히 빨라 개체수 구제가 필요한 골칫거리가 되었다. 너무 빠르게 불어나고 있기 때문에 인간 사회와 생태계 양쪽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도살과 불임수술 등을 단행하는 등 개체 수를 통제하려고 하고 있다.
하마는 박명박모성 및 [[야행성]] 동물로 황혼과 밤에 주로 활동한다. 햇볕이 강한 낮에는 하마는 하루 종일 낮잠을 자거나 물가에서 휴식을 취하며, 하루에 최대 18시간이 넘도록 쉬기도 한다. 휴식 장소로는 수심이 1.3~1.5m 정도 되는 호수나 강가를 선호한다. 늦은 오후에서부터 해가 차츰 지기 시작할 때까지, 즉 오후 4~7시 사이에는 주로 수중 활동이 일어난다. 해가 지고 늦저녁이 되어 주변이 어둑해지면 육상으로 올라와서 먹이를 찾아 6시간 동안 헤매고 다니면서 식사를 하며, 새벽이 되면 다시 물 속으로 복귀한다. 대기 중의 습도가 높을수록 하루 일과 중 물 밖에서 활동하거나 먹이를 찾는 기간이 빈번해지며, 암컷보다 수컷이 하루 일과 중에서 휴식을 취하는 기간이 더 길다.
=== 사회 행동 ===
=== 사회 행동 ===
[[파일:Hippo pod edit.jpg|290px|섬네일|루앙과강의 하마 무리]]
{| style="float: right;"
| [[파일:Hippo pod edit.jpg|290px|섬네일|루앙과강의 하마 무리]]
|}
하마는 서로 교류하고 무리를 이룰 줄 아는 사회적인 동물로 몇몇 개체는 단독으로 생활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여러 개체가 함께 모여 '''포드'''(pod)라는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무리는 평균 12마리에서 많게는 20~30마리 정도로 구성되지만, 종종 100마리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대규모 무리를 짓기도 한다.  
하마는 서로 교류하고 무리를 이룰 줄 아는 사회적인 동물로 몇몇 개체는 단독으로 생활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여러 개체가 함께 모여 '''포드'''(pod)라는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무리는 평균 12마리에서 많게는 20~30마리 정도로 구성되지만, 종종 100마리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대규모 무리를 짓기도 한다.  


98번째 줄: 123번째 줄:
큰일을 볼 때는 꼬리를 스프링클러처럼 탈탈 치면서 자신의 똥(...)을 좌우로 멀리까지 흩뿌리는, 사람이 보기에는 다소 엽기적인 배변 행동을 취한다. 이는 주로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거나, 패로폰이 섞인 똥을 뿌려 암컷에게 자신의 매력을 과시하거나, 먹이를 먹는 경로를 나타내려는 지표로 사용하고 있다는 추측이 유력하다.  
큰일을 볼 때는 꼬리를 스프링클러처럼 탈탈 치면서 자신의 똥(...)을 좌우로 멀리까지 흩뿌리는, 사람이 보기에는 다소 엽기적인 배변 행동을 취한다. 이는 주로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거나, 패로폰이 섞인 똥을 뿌려 암컷에게 자신의 매력을 과시하거나, 먹이를 먹는 경로를 나타내려는 지표로 사용하고 있다는 추측이 유력하다.  


[[파일:Hippo fight.jpg|300px|섬네일|왼쪽|수컷 하마들의 싸움]]
{| style="float: left;"
| [[파일:Hippo fight.jpg|300px|섬네일|왼쪽|수컷 하마들의 싸움]]
|}
간혹 어린 수컷이나 무리 밖에서 찾아온 떠돌이 수컷이 우두머리 수컷에게 도전하는 등 [https://www.youtube.com/watch?v=6FLJ4IgS9mM 수컷들 간에 싸움이 일어나는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 물이 말라 하마의 서식지가 줄어드는 건기에는 영역을 차지하기 위해 이러한 싸움이 자주 일어나는 경우가 잦아진다. 하마는 입을 벌려 크게 하품을 함으로서 다른 하마에게 자신의 힘을 과시, 내지는 위협의 메세지를 보낸다. 싸울 때는 이빨을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송곳니는 무기로서, 앞니는 상대의 잇질을 튕겨내는 방어구로서 활약한다. 싸움에서 승리한 수컷은 막대한 영역과 암컷 무리를 차지할 수 있게 되지만, 패배한 수컷은 치명상을 입고 영역 밖으로 쫓겨나게 되며 간혹 햇볕에 피부가 손상되어 죽거나 악어 무리에게 공격당해 잡아먹히기도 한다.
간혹 어린 수컷이나 무리 밖에서 찾아온 떠돌이 수컷이 우두머리 수컷에게 도전하는 등 [https://www.youtube.com/watch?v=6FLJ4IgS9mM 수컷들 간에 싸움이 일어나는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 물이 말라 하마의 서식지가 줄어드는 건기에는 영역을 차지하기 위해 이러한 싸움이 자주 일어나는 경우가 잦아진다. 하마는 입을 벌려 크게 하품을 함으로서 다른 하마에게 자신의 힘을 과시, 내지는 위협의 메세지를 보낸다. 싸울 때는 이빨을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송곳니는 무기로서, 앞니는 상대의 잇질을 튕겨내는 방어구로서 활약한다. 싸움에서 승리한 수컷은 막대한 영역과 암컷 무리를 차지할 수 있게 되지만, 패배한 수컷은 치명상을 입고 영역 밖으로 쫓겨나게 되며 간혹 햇볕에 피부가 손상되어 죽거나 악어 무리에게 공격당해 잡아먹히기도 한다.


104번째 줄: 131번째 줄:


=== 식단 ===
=== 식단 ===
[[파일:Hippopotamus in Chobe National Park 02.jpg|250px|섬네일|풀을 뜯는 하마,<br />보츠와나 초베 국립공원에서 촬영]]
{| style="float: right;"
| [[파일:Hippopotamus in Chobe National Park 02.jpg|250px|섬네일|풀을 뜯는 하마,<br />보츠와나 초베 국립공원에서 촬영]]
|}
해질녁이 되면 하마는 물 밖으로 나와 늘 다니는 길을 따라 영역을 둘러싼 풀밭으로 이동하며, 물과 가까운 지역에서 식사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주변에 풀이 없으면 먹이를 찾아 영역으로부터 약 3~4km를 빙 돌아서 이동하기도 한다. 비대한 몸집을 유지하기 위해 식사 시에는 한번에 약 55~80kg 가량의 먹이를 섭취한다.  
해질녁이 되면 하마는 물 밖으로 나와 늘 다니는 길을 따라 영역을 둘러싼 풀밭으로 이동하며, 물과 가까운 지역에서 식사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주변에 풀이 없으면 먹이를 찾아 영역으로부터 약 3~4km를 빙 돌아서 이동하기도 한다. 비대한 몸집을 유지하기 위해 식사 시에는 한번에 약 55~80kg 가량의 먹이를 섭취한다.  


112번째 줄: 141번째 줄:


=== 번식 및 생애주기 ===
=== 번식 및 생애주기 ===
[[파일:Family of Hippomotamus.jpg|290px|섬네일|사다니 국립공원의 하마 무리]]
{| style="float: right;"
| [[파일:Family of Hippomotamus.jpg|290px|섬네일|사다니 국립공원의 하마 무리]]
|}
암컷 하마는 6살, 수컷은 7.5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수컷 하마는 일 년 내내 왕성히 교미할 수 있지만 대체로 넓은 영역을 가진 수컷일수록 짝을 찾을 가능성이 높으며, 교미와 출산 모두 먹을 것이 풍부한 우기에 이루어진다. 수컷 하마는 냄새를 통해 짝짓기를 허락할 암컷을 감지한 다음, 그 암컷에게 짝짓기를 허락해줄 때까지 울음소리를 낸다. 하마는 물 속에서 짝짓기를 하며, 이 때 암컷은 물 속에 머무르면서 숨쉬러 나갈 때만 올라온다. 짝짓기를 마친 암컷은 10~14일 동안 무리에서 종적을 감췄다가 돌아온다. 임신한 암컷 하마는 이후 17개월 동안 추가적인 배란을 하지 않는다.
암컷 하마는 6살, 수컷은 7.5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수컷 하마는 일 년 내내 왕성히 교미할 수 있지만 대체로 넓은 영역을 가진 수컷일수록 짝을 찾을 가능성이 높으며, 교미와 출산 모두 먹을 것이 풍부한 우기에 이루어진다. 수컷 하마는 냄새를 통해 짝짓기를 허락할 암컷을 감지한 다음, 그 암컷에게 짝짓기를 허락해줄 때까지 울음소리를 낸다. 하마는 물 속에서 짝짓기를 하며, 이 때 암컷은 물 속에 머무르면서 숨쉬러 나갈 때만 올라온다. 짝짓기를 마친 암컷은 10~14일 동안 무리에서 종적을 감췄다가 돌아온다. 임신한 암컷 하마는 이후 17개월 동안 추가적인 배란을 하지 않는다.


122번째 줄: 153번째 줄:


=== 타 동물과의 관계 ===
=== 타 동물과의 관계 ===
[[파일:하마 vs 악어.jpg|300px|섬네일|하마 무리에 잘못 들어간 나일악어의 최후]]
{| style="float: right;"
| [[파일:하마 vs 악어.jpg|300px|섬네일|하마 무리에 잘못 들어간 나일악어의 최후]]
|}
마냥 온순해보이는 겉모습과는 달리 하마는 '''상당히 사나운 동물'''이다. 하마는 워낙 자외선에 약한 피부 탓에 물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입지에 놓여 있는데, 바다나 강, 밀림 등 자외선을 쉽게 피할 수 있고 물이 풍족한 환경에서 사는 고래나 피그미하마와는 달리 서식지가 태양이 뜨겁게 내려쬐는 사바나에 위치하여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숨길 수 있을 정도로 넓은 호수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마냥 온순해보이는 겉모습과는 달리 하마는 '''상당히 사나운 동물'''이다. 하마는 워낙 자외선에 약한 피부 탓에 물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입지에 놓여 있는데, 바다나 강, 밀림 등 자외선을 쉽게 피할 수 있고 물이 풍족한 환경에서 사는 고래나 피그미하마와는 달리 서식지가 태양이 뜨겁게 내려쬐는 사바나에 위치하여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숨길 수 있을 정도로 넓은 호수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133번째 줄: 166번째 줄:
야생에서 특별한 조건 없이 하마를 확실하게 제압할 수 있는 동물은 [[아프리카코끼리]]가 유일하다. 이외에도 [[흰코뿔소]] 역시 하마가 함부로 건드릴 수 있는 상대는 아니지만, 이들은 모두 어쩌다가 자극을 받았을 경우에만 공격하는 것일 뿐이지 하마와 자주 충돌하는 대상은 아니다.
야생에서 특별한 조건 없이 하마를 확실하게 제압할 수 있는 동물은 [[아프리카코끼리]]가 유일하다. 이외에도 [[흰코뿔소]] 역시 하마가 함부로 건드릴 수 있는 상대는 아니지만, 이들은 모두 어쩌다가 자극을 받았을 경우에만 공격하는 것일 뿐이지 하마와 자주 충돌하는 대상은 아니다.


[[파일:Hippopotamus amphibius1.jpg|280px|섬네일|왼쪽|하마의 몸에 모여든 물고기들]]
{| style="float: left;"
| [[파일:Hippopotamus amphibius1.jpg|280px|섬네일|왼쪽|하마의 몸에 모여든 물고기들]]
|}
그렇다고 하마가 야생에서 어느 동물에게나 무작정 난폭하고 잔혹한 폭군은 아니다. 하마는 이따금 몸에 붙어 사는 기생충을 떼어내기 위해 특정 종류의 물고기가 서식하는 물가를 찾아가, 물고기들이 자신의 몸에 붙은 기생충을 떼어내게끔 입을 벌려 신호를 준다. 즉, 하마는 기생충이 없어져 몸이 개운해지고 물고기는 먹이를 챙길 수 있어 서로가 서로에게 이득이 되는 공생 관계인 셈이다. 또한 하마는 물 속에서 배변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내장 속에 살던 미생물을 분출해 강바닥을 따라 다양한 생체물질들이 침출하게끔 하며, 그 배설물은 물고기와 같은 수생동물들한테 먹이로서 육상에서 얻는 풍부한 영양소를 운반해주어 생태계의 영양 순환을 일궈내는 역할도 하고 있다.<ref>다만 2018년 케냐의 마라 강에서는 하마의 배설물이 과도하게 배출되어 미생물이 이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수중의 산소를 흡수하고 분해 과정에서 수중 생물들에게 유독한 암모니아와 황화물을 배출하여 [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human_animal/845539.html 물고기들의 때죽음을 초래하는 악영향]이 발생했다. 물론 이러한 극단적인 경우는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가뭄이 원인이 된 사건으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며, 이렇게 죽은 물고기들도 새나 악어들이 먹어치우는 등 어떻게든 생태계의 순환으로 이어지니 이러한 현상이 극단적으로 나쁜 경우는 아니다.{{--|풍족한 어자원을 잃어버린 인간들에게는 빼고}}</ref>
그렇다고 하마가 야생에서 어느 동물에게나 무작정 난폭하고 잔혹한 폭군은 아니다. 하마는 이따금 몸에 붙어 사는 기생충을 떼어내기 위해 특정 종류의 물고기가 서식하는 물가를 찾아가, 물고기들이 자신의 몸에 붙은 기생충을 떼어내게끔 입을 벌려 신호를 준다. 즉, 하마는 기생충이 없어져 몸이 개운해지고 물고기는 먹이를 챙길 수 있어 서로가 서로에게 이득이 되는 공생 관계인 셈이다. 또한 하마는 물 속에서 배변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내장 속에 살던 미생물을 분출해 강바닥을 따라 다양한 생체물질들이 침출하게끔 하며, 그 배설물은 물고기와 같은 수생동물들한테 먹이로서 육상에서 얻는 풍부한 영양소를 운반해주어 생태계의 영양 순환을 일궈내는 역할도 하고 있다.<ref>다만 2018년 케냐의 마라 강에서는 하마의 배설물이 과도하게 배출되어 미생물이 이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수중의 산소를 흡수하고 분해 과정에서 수중 생물들에게 유독한 암모니아와 황화물을 배출하여 [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human_animal/845539.html 물고기들의 때죽음을 초래하는 악영향]이 발생했다. 물론 이러한 극단적인 경우는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가뭄이 원인이 된 사건으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며, 이렇게 죽은 물고기들도 새나 악어들이 먹어치우는 등 어떻게든 생태계의 순환으로 이어지니 이러한 현상이 극단적으로 나쁜 경우는 아니다.{{--|풍족한 어자원을 잃어버린 인간들에게는 빼고}}</ref>


139번째 줄: 174번째 줄:


== 인간과의 관계 ==
== 인간과의 관계 ==
[[파일:Flusspferd Jagd-drawing.jpg|270px|섬네일|하마와 인간의 충돌]]
{| style="float: right;"
{{인용문|'''Lions, leopards, hyenas, elephants, buffalo, and crocodiles do kill Africans, but the animal that kills more Africans than any other is the hippopotamus.'''<br /><small>많은 아프리카인이 사자와 표범, 하이에나와 코끼리, 물소와 악어에게 목숨을 잃지만,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인명을 해치는 동물은 하마다.</small>|재레드 다이아몬드|어제까지의 세계, 280쪽||left}}
| [[파일:Flusspferd Jagd-drawing.jpg|270px|섬네일|하마와 인간의 충돌]]
|}
{{인용문|'''Lions, leopards, hyenas, elephants, buffalo, and crocodiles do kill Africans, but the animal that kills more Africans than any other is the hippopotamus.'''<br><small>많은 아프리카인이 사자와 표범, 하이에나와 코끼리, 물소와 악어에게 목숨을 잃지만,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인명을 해치는 동물은 하마다.</small>|재레드 다이아몬드|어제까지의 세계, 280쪽||left}}
예로부터 하마가 있는 지역에서 인간과 하마는 자주 충돌하였다. 생존을 위해서는 물이 필수적인 아프리카의 기후적 특성상 인간이 정착하고 농사를 짓기 좋은 지역이 하마의 서식지와 입지가 겹칠수밖에 없었고, 자신의 영역에 예민한 하마의 성격상 인간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나가던 보트를 들이받거나 농작물을 기르는 밭을 엉망진창으로 만들어 지역 주민들과 마찰을 일으키기도 하며, 이 때문에 아프리카에서는 매년 하마의 습격으로 인해 약 [https://www.britannica.com/list/9-of-the-worlds-deadliest-mammals 500~3,000명]의 희생자가 발생하고 있다.<ref>그러나 일각에서는 하마로 인한 인명피해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미루어 보아 [https://www.verifythis.com/article/news/verify/environment-verify/no-hippos-are-not-the-deadliest-animal-in-the-world/536-d09a667b-d2e4-47e4-9447-49690cbfede8 이러한 수치가 지나치게 과장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의 의견을 내고 있다. 확실히 하마는 무서운 맹수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초식동물이기에 영역에 지나치게 접근하지만 않으면 인간을 공격하지 않는다. 오히려 모기나 뱀이 인간을 해치는 수치가 훨씬 더 높을 정도.</ref>
예로부터 하마가 있는 지역에서 인간과 하마는 자주 충돌하였다. 생존을 위해서는 물이 필수적인 아프리카의 기후적 특성상 인간이 정착하고 농사를 짓기 좋은 지역이 하마의 서식지와 입지가 겹칠수밖에 없었고, 자신의 영역에 예민한 하마의 성격상 인간과 충돌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나가던 보트를 들이받거나 농작물을 기르는 밭을 엉망진창으로 만들어 지역 주민들과 마찰을 일으키기도 하며, 이 때문에 아프리카에서는 매년 하마의 습격으로 인해 약 [https://www.britannica.com/list/9-of-the-worlds-deadliest-mammals 500~3,000명]의 희생자가 발생하고 있다.<ref>그러나 일각에서는 하마로 인한 인명피해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미루어 보아 [https://www.verifythis.com/article/news/verify/environment-verify/no-hippos-are-not-the-deadliest-animal-in-the-world/536-d09a667b-d2e4-47e4-9447-49690cbfede8 이러한 수치가 지나치게 과장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의 의견을 내고 있다. 확실히 하마는 무서운 맹수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초식동물이기에 영역에 지나치게 접근하지만 않으면 인간을 공격하지 않는다. 오히려 모기나 뱀이 인간을 해치는 수치가 훨씬 더 높을 정도.</ref>
=== 어원 및 언어적 요소 ===
{{다국어 표기
|언어1 = 한국어
|표기1 = {{한국어|하마, 물뚱뚱이|한자=河馬|문화어=물말}}
|언어2 = 영어
|표기2 = {{영어|Hippopotamus, Hippo}}
|언어3 = 중국어
|표기3 = {{중국어|河马|Hémǎ}}
|언어4 = 일본어
|표기4 = {{일본어|カバ}}
}}
특이하게도 과거에는 하마를 [[말]]과 관련이 깊은 동물로 보았는데, 이는 하마를 옆에서 본 모습에서 마치 다리가 짧고 뚱뚱한 말을 연상시킨 것으로 추정된다.{{--|그런데 솔찍히 지금 와서 보면 뭔가 말보다는 코뿔소나 돼지 같다}} 당장 '''하마'''(河馬)라는 이름도 '강([[河]])에서 사는 말([[馬]])'이라는 의미로 지어진 것이다.


영어권 및 라틴어로 하마를 칭하는 '''히포포타머스'''(Hippopotamus)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인 '''히포포타모스'''( ''ἱπποπόταμος'')에서 따 왔는데, 이 단어들 역시 "강(''πόταμος'')의 말(''ἱππο'')"이라는 뜻이다.<ref>Almuth Behrmann: Das Nilpferd in der Vorstellungswelt der Alten Ägypter. Teil II. Textband. Frankfurt, 1996, S. </ref>{{참고 쪽|1–203 (S. 78–85 und 174–181)}} 하지만 이름과는 달리 하마는 말이 속해있는 기제목(말목)이 아닌 소와 가까운 우제목에 속해 있다.<ref>재미있게도 [[코뿔소]]는 하마와는 반대로 코 위에 뿔이 달려있는 소라는 의미로 '코뿔소'라는 이름이 붙어졌지만, 말이 속해있는 우제목(소목)이 아닌 기제목에 속해 있다.</ref>
그나마 말과 관련이 없는 이름을 고르자면 우리나라에서 현재는 거의 사어가 된 속된 표현으로 '물속에 있는 뚱뚱한 동물이라는 뜻'의 '''물뚱뚱이''', 나이지리아 남서부에 위치한 요루바족의 언어로 '물코끼리'라는 뜻이 담긴 '''에린미'''(''erinmi'')가 있다.
이외에도 "하마"라는 명칭은 돼지와 마찬가지로 많이 먹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혹은 뚱뚱한 사람을 가리키는 멸칭으로 쓰이며, 특히 국내에서는 가격에 비해 효율이 좋지 못하는 경우, 혹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드는 경우를 가리켜 'XX먹는 하마'라고 일걷는 경우가 많다.
=== 역사상의 기록 ===
하마와 인간이 접촉한 기록과 사료를 통틀어 가장 이른 것은 에티오피아의 아와시강 유역의 보우리 유적지에서 출토된 하마 뼈로, 도살 과정에서 생긴 듯한 생채기가 나 있었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5,000년 전에 사하라 사막 중부 자네트 인근 타실리나제르 산맥 지역에서는 하마 사냥이 이뤄졌단 것을 암시하는 예술품들 역시 남아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하마를 나일강에 현현한 공포로 여겼던 한편, 능묘에 기록된 내용으로 하마 사냥도 성행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마와 인간이 접촉한 기록과 사료를 통틀어 가장 이른 것은 에티오피아의 아와시강 유역의 보우리 유적지에서 출토된 하마 뼈로, 도살 과정에서 생긴 듯한 생채기가 나 있었다. 지금으로부터 약 4,000~5,000년 전에 사하라 사막 중부 자네트 인근 타실리나제르 산맥 지역에서는 하마 사냥이 이뤄졌단 것을 암시하는 예술품들 역시 남아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하마를 나일강에 현현한 공포로 여겼던 한편, 능묘에 기록된 내용으로 하마 사냥도 성행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마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도 알려져 있었으며 그리스 역사가인 헤로도토스의 역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동물지, 로마의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의 박물지에서도 하마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 있었다. 하마가 흘리는 분비물은 예로부터 고약한 냄새에도 불구하고 그 살균 효과를 인정받아 미용 용도로서 사용되었다. 또한 하마는 고대 로마에 성행했던 검투사 경기에서 등장하기도 했는데, 황제 네로나 안토니누스 피우스 대에 원형 경기장에 하마를 데려와 결투용 짐승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로마의 역사가 디오 카시우스에 의하면 콤모두스 황제는 검투 경기에 출전해 하마 여섯 마리를 쓰러뜨렸다고 한다. 4세기 이후 이집트에 점점 하마가 드물어지면서 하마가 나오는 검투경기는 모습을 점차 감추었다.
하마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도 알려져 있었으며 그리스 역사가인 헤로도토스의 역사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동물지, 로마의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의 박물지에서도 하마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 있었다. 하마가 흘리는 분비물은 예로부터 고약한 냄새에도 불구하고 그 살균 효과를 인정받아 미용 용도로서 사용되었다. 또한 하마는 고대 로마에 성행했던 검투사 경기에서 등장하기도 했는데, 황제 네로나 안토니누스 피우스 대에 원형 경기장에 하마를 데려와 결투용 짐승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로마의 역사가 디오 카시우스에 의하면 콤모두스 황제는 검투 경기에 출전해 하마 여섯 마리를 쓰러뜨렸다고 한다. 4세기 이후 이집트에 점점 하마가 드물어지면서 하마가 나오는 검투경기는 모습을 점차 감추었다.
=== 위협 및 보존 ===
=== 위협 및 보존 ===
[[파일:Hippovictora.png|250px|섬네일|고기를 얻을 목적으로 하마를 사냥하는 우간다 원주민]]
{| style="float: right;"
하마는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취약'''(VU)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야생에서 약 115,000~130,000마리 정도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세기 중반에 접어들며 밀렵과 내전 등으로 인해 이집트의 나일 강,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나탈주 지역 등 많은 서식지에서 자취를 감추게 된다. 야생에서 하마는 현재 중남부 아프리카 지역에서만 자체적으로 남아있으며, 그마저도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어 국립공원을 포함한 일부 지역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 [[파일:Hippovictora.png|250px|섬네일|고기를 얻을 목적으로 하마를 사냥하는 우간다 원주민]]
|}
하마는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취약(VU)"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야생에서 약 115,000~130,000마리 정도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세기 중반에 접어들며 밀렵과 내전 등으로 인해 이집트의 나일 강,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나탈주 지역 등 많은 서식지에서 자취를 감추게 된다. 야생에서 하마는 현재 중남부 아프리카 지역에서만 자체적으로 남아있으며, 그마저도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어 국립공원을 포함한 일부 지역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하마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된 원인으로는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해로운 동물이라는 인식으로 인한 지역민과의 충돌, 고기와 이빨 등을 노린 불법 사냥이나 밀렵 등이 있다. 특히 하마의 송곳니는 발색이 잘 일어나지 않아 틀니의 재료나 상아의 대용품으로서 가치가 높기 때문에 코끼리의 상아, 코뿔소의 뿔과 마찬가지로 밀렵꾼의 주된 표적이 되고 있다. 또한 식량이 부족한 지역민들에게 고기를 얻거나 농토 확장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사냥당하기도 한다.
하마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된 원인으로는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해로운 동물이라는 인식으로 인한 지역민과의 충돌, 고기와 이빨 등을 노린 불법 사냥이나 밀렵 등이 있다. 특히 하마의 송곳니는 발색이 잘 일어나지 않아 틀니의 재료나 상아의 대용품으로서 가치가 높기 때문에 코끼리의 상아, 코뿔소의 뿔과 마찬가지로 밀렵꾼의 주된 표적이 되고 있다. 또한 식량이 부족한 지역민들에게 고기를 얻거나 농토 확장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사냥당하기도 한다.
176번째 줄: 196번째 줄:


=== 동물원 ===
=== 동물원 ===
[[파일:Obaysch 1852.jpg|300px|섬네일|1852년 런던 동물원에서 촬영한 오바쉬의 모습.]]
{| style="float: right;"
하마는 [[동물원]]에서 많은 인기를 끄는 스타 동물 중 하나로, 특히 여름철이 되면 사육사가 건내준 통 [[수박]]을 한입에 통째로 먹는 인상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기원전 3500년 이집트의 히에라콘폴리스에서도 하마를 길렀다는 내용이 남아 있다.<ref>Rose, M. (2010). World's First Zoo-Hierakonpolis, Egypt. Archaeology, 63(1), 25-32.</ref> 근대 동물원에 처음으로 사육된 하마는 오바쉬(Obaysch)라고 하는 수컷 하마로서, 1850년 5월 25일 런던 동물원에 처음 도착한 이래 매일 10,000명 이상의 관람객을 끌어들였으며 "하마 폴카"라는 유행가까지 만들어졌다.
| [[파일:Obaysch 1852.jpg|270px|섬네일|1852년 런던 동물원에서 촬영한 오바쉬의 모습.]]
|}
하마는 [[동물원]]에서 많은 인기를 끄는 스타 동물 중 하나로, 특히 여름철이 되면 사육사가 건내준 통 [[수박]]을 한입에 통째로 먹는 인상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기원전 3500년 이집트의 히에라콘폴리스에서도 하마를 길렀다는 내용이 남아 있다. 근대 동물원에 처음으로 사육된 하마는 오바쉬(Obaysch)라고 하는 수컷 하마로서, 1850년 5월 25일 런던 동물원에 처음 도착한 이래 매일 10,000명 이상의 관람객을 끌어들였으며 "하마 폴카"라는 유행가까지 만들어졌다.


현대의 동물원에서 하마를 키우기 위해서는 하마가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넓은 방사장와 전용 풀장, 더위를 식힐 수 있는 진흙 놀이터, 수조에서 배설물을 걸러 줄 수 있는 정교한 정수 설비, 31kPa에 달하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9cm에 달하는 두께의 수중 관람 구역 등이 필요하다. 또한 유지비가 많이 깨지는 특성상 번식을 제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하마를 마스코트로 내세우는 동물원은 미국의 [[신시내티 동물원]]과 스페인의 [[톨레도 동물원]]이 있다. 신시내티 동물원은 수조의 용량만 해도 약 250,000L에 달하는 물이 담겨 있는 세계 최대 규모 하마 우리를 자랑하며, 피오나와 프리츠라는 이름의 아기 하마들을 마스코트로 내세우고 있다. 톨레도 동물원은 세계 최초로 사육 상태의 하마가 물 속에서 새끼를 낳는 모습을 목격했다.


하마를 마스코트로 내세우는 동물원은 미국의 [[신시내티 동식물원]]과 스페인의 [[톨레도 동물원]]이 있다. 신시내티 동식물원은 수조의 용량만 해도 약 250,000L에 달하는 물이 담겨 있는 세계 최대 규모 하마 우리를 자랑하며, 피오나와 프리츠라는 이름의 아기 하마들을 마스코트로 내세우고 있다. 톨레도 동물원은 세계 최초로 사육 상태의 하마가 물 속에서 새끼를 낳는 모습을 목격했다.
국내에서 현재 하마를 볼 수 있는 곳으로는 [[서울대공원]]의 제2아프리카관, [[전주동물원]], 광주 [[우치공원]], 사천 [[아라마루 아쿠아리움]]이 있다.


국내에서 현재 하마를 수 있는 곳으로는 [[서울대공원]]의 제2아프리카관, [[전주동물원]], 광주 [[우치공원]], 사천 [[아라마루 아쿠아리움]]이 있다.
현대의 동물원에서 하마를 키우기 위해서는 하마가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넓은 방사장와 전용 풀장, 더위를 식힐 수 있는 진흙 놀이터, 수조에서 배설물을 걸러 줄 수 있는 정교한 정수 설비, 31kPa에 달하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9cm에 달하는 두께의 수중 관람 구역 등이 필요하다. 또한 유지비가 많이 깨지는 특성상 번식을 제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문화적 묘사 ==
== 문화적 묘사 ==
[[파일:Kalabari masks BM.jpg|250px|섬네일|하마 얼굴을 묘사한 이조족 전통 공예가면]]
{| style="float: right;"
| [[파일:Kalabari masks BM.jpg|250px|섬네일|하마 얼굴을 묘사한 이조족 전통 공예가면]]
|}
하마와 공존한 지역권에서 하마는 예로부터 악마의 화신으로서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자, 동시에 숭배의 대상으로 취급되었다. [[이집트 신화]]에서 사악한 신 [[세트]]는 호루스와 이집트 땅의 패권을 놓고 싸울 때 커다랗고 붉은 하마로 변신하기도 했으며, 망자의 심장을 먹어치우는 지옥의 괴수 [[암무트]]의 모습은 하마와 마찬가지로 공포의 대상으로 여겨진 악어, 사자와 합쳐진 모습이다. 이와는 정반대로 하마 머리를 한 임신부의 모습을 한 여신 [[타와레트]]는 무궁한 모성의 여신으로 여겨진다.
하마와 공존한 지역권에서 하마는 예로부터 악마의 화신으로서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자, 동시에 숭배의 대상으로 취급되었다. [[이집트 신화]]에서 사악한 신 [[세트]]는 호루스와 이집트 땅의 패권을 놓고 싸울 때 커다랗고 붉은 하마로 변신하기도 했으며, 망자의 심장을 먹어치우는 지옥의 괴수 [[암무트]]의 모습은 하마와 마찬가지로 공포의 대상으로 여겨진 악어, 사자와 합쳐진 모습이다. 이와는 정반대로 하마 머리를 한 임신부의 모습을 한 여신 [[타와레트]]는 무궁한 모성의 여신으로 여겨진다.


나이저강 삼각주의 토착민인 이조족은 하마와 같은 수서동물들의 가면을 쓰고 물의 정령을 숭앙하는 의식에 참석했으며, 체와족 역시 하마 가면을 냐우라는 장례식에서 사용했다. 또한 요루바족은 하마의 이빨을 점술 의식에 사용했다. 영국의 탐험가인 로버트 베이든파월 남작에 의하면, 줄루족은 전쟁 노래에서 전사들을 하마에 빗대었다고 한다.
기독교 문화에서도 성경의 구약성서 욥기에 언급되는 괴수 [[베헤모스]]가 하마로 번역되기도 했다.


하마는 다양한 아프리카 민족 구전설화에서 모습을 비춘다. 남아프리카 산족의 설화에서는 조물주가 동물들에게 저마다 생태계에서의 역할을 정해줄 때, 하마는 물에서 살고 싶어했지만 조물주는 하마가 물고기를 다 먹어치울 것을 우려해 허락하지 않았으며, 하마는 빌고 빈 끝에 물고기 대신 풀을 먹을 것과 식사를 하고 난 후 똥을 흩뿌려 물고기 뼈가 있는지 확인할 것을 조건으로 물 속에서 살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은데벨레족 설화에서 하마는 원래 길고 아름다운 털을 갖고 있었지만, [https://global-asp.github.io/stories/ko/0111_%ED%95%98%EB%A7%88%EB%8A%94-%EC%99%9C-%ED%84%B8%EC%9D%B4-%EC%97%86%EC%9D%84%EA%B9%8C%EC%9A%94_slides.html 이를 질투한 토끼 때문에 몸에 불이 붙어 아름다운 털을 모두 잃어버리게 되어 물에서 나오지 않게 되었다]고 얘기하고 있다.{{--|그러니까 토끼 때문에 하마 성격이 개차반이 되었...}}
나이저강 삼각주의 토착민인 이조족은 하마와 같은 수서동물들의 가면을 쓰고 물의 정령을 숭앙하는 의식에 참석했으며, 체와족 역시 하마 가면을 냐우라는 장례식에서 사용했다. 또한 요루바족은 하마의 이빨을 점술 의식에 사용하기도 했다. 로버트 베이든파월 남작에 의하면, 줄루족은 전쟁 노래에서 전사들을 하마에 빗대고는 한다고 하였다.


기독교 문화에서도 성경의 구약성서 욥기에 언급되는 괴수 [[베헤모스]]가 하마로 번역되기도 했다.
하마는 다양한 아프리카 민족 구전설화에서 모습을 비춘다. 산족의 설화에서는 조물주가 동물들에게 저마다 생태계에서의 역할을 정해줄 때, 하마는 물에서 살고 싶어했지만 조물주는 하마가 물고기를 다 먹어치울 것을 우려해 허락하지 않았으며, 하마는 빌고 빈 끝에 물고기 대신 풀을 먹을 것과 식사를 하고 난 후 똥을 흩뿌려 물고기 뼈가 있는지 확인할 것을 조건으로 물 속에서 살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은데벨레족 설화에서 하마는 원래 길고 아름다운 털을 갖고 있었지만, [https://global-asp.github.io/stories/ko/0111_%ED%95%98%EB%A7%88%EB%8A%94-%EC%99%9C-%ED%84%B8%EC%9D%B4-%EC%97%86%EC%9D%84%EA%B9%8C%EC%9A%94_slides.html 이를 질투한 토끼 때문에 몸에 불이 붙어 아름다운 털을 모두 잃어버리게 되어 물에서 나오지 않게 되었다]고 얘기하고 있다.{{--|그러니까 토끼 때문에 하마 성격이 개차반이 되었...}}
=== 대중매체 ===
=== 대중매체 ===
[[파일:Hippopotamus-polka-early1850s.jpg|200px|섬네일|[https://www.youtube.com/watch?v=P_h2OAtDAMY "하마 폴카"]의 포스터]]
{| style="float: right;"
| [[파일:Hippopotamus-polka-early1850s.jpg|200px|섬네일|[https://www.youtube.com/watch?v=P_h2OAtDAMY "하마 폴카"]의 포스터]]
|}
반면에 유럽권에서 하마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서 마땅한 표본이 부족했던 탓에 워낙 생소한 동물이었지만, 런던 동물원에 오바쉬가 들어오고 유행가 "하마 폴카"가 유행한 이후로 하마는 특유의 우스꽝스런 생김새로 인지도를 얻어 서구 문화에서도 유명한 동물이 되었다.
반면에 유럽권에서 하마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서 마땅한 표본이 부족했던 탓에 워낙 생소한 동물이었지만, 런던 동물원에 오바쉬가 들어오고 유행가 "하마 폴카"가 유행한 이후로 하마는 특유의 우스꽝스런 생김새로 인지도를 얻어 서구 문화에서도 유명한 동물이 되었다.


221번째 줄: 247번째 줄:
* [[하마 유고의 모험]] - 유고
* [[하마 유고의 모험]] - 유고
* [[GON]] - 히포 & 타무
* [[GON]] - 히포 & 타무
== 기타 ==
* [[콜롬비아]]에는 1993년 메데인 카르텔의 두령인 [[파블로 에스코바르]]가 사살된 후, 그가 사육하고 있던 하마들이 탈출해 자연번식한 개체들이 존재한다. 2020년에는 이 무리가 100마리까지 불어났고, 번식 주기가 비상히 빨라 개체수 구제가 필요한 골칫거리가 되었다. 너무 빠르게 불어나고 있기 때문에 인간 사회와 생태계 양쪽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도살과 불임수술 등을 단행하는 등 개체 수를 통제하려고 하고 있다.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 [[히포포타무스 고르곱스]]
* [[히포포타무스 고르곱스]]
226번째 줄: 256번째 줄:
* [[난쟁이하마]]
* [[난쟁이하마]]
* [[피그미하마]]
* [[피그미하마]]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 '''서적 및 참고 문헌'''
* '''서적 및 참고 문헌'''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