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미하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2번째 줄: 52번째 줄:
== 분류 및 진화 ==
== 분류 및 진화 ==
{{참고|하마#분류 및 진화}}
{{참고|하마#분류 및 진화}}
{| style="float: right;"
본래 피그미하마를 처음으로 학계에 기재한 새뮤얼 조지 모턴은 피그미하마를 하마속으로 분류하고 '''히포포타무스 미노르'''(''Hippopotamus minor'')라는 학명을 붙였지만, 훗날 하마속과 충분히 차이점이 뚜렷하다고 판단하여 별도의 속인 코에롭시스로 재명명되었다. 1977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셜리 코린든은 피그미하마가 같은 하마과에 속해 있던, 아시아에 살던 하마과 종류인 헥사프로토돈속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 [[파일:Pygmy Hippopotamus Skull.jpg|x150px|섬네일|피그미하마의 두개골]]
|}
본래 피그미하마를 처음으로 학계에 기재한 새뮤얼 조지 모턴은 피그미하마를 하마속으로 분류하고 '''히포포타무스 미노르'''(''Hippopotamus minor'')라는 학명을 붙였지만, 훗날 하마속과 충분히 차이점이 뚜렷하다고 판단하여 별도의 속인 코에롭시스로 재명명되었다. 1977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셜리 코린든은 피그미하마가 아시아에 살던 하마 종류인 '''헥사프로토돈'''(''Hexaprotodon'')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발표했으며 피그미하마를 '''헥사프로토돈 리베리엔시스'''(''hexaprotodon liberiensis'')라는 학명을 붙였다. 이 주장은 2005년 피그미하마가 헥사프로토돈속에 속한 종이 아니라는 이론이 주장하기 전까지 널리 받아들여졌다.
 
2005년 보이세리는 하마과의 계통발생에 대한 철저한 조사 끝에 피그미하마는 헥사프로토돈속과는 별개의 속에 속한 종이라고 제안하며 본래의 피그미하마속(''Choeropsis'')으로 재분류했다. 반면에 ITIS는 기존의 학명을 유효한 학명으로 유지했다. 피그미하마가 헥사프로토돈속에 속했는지, 아니면 피그미하마속으로 따로 속해있건 간에, 양쪽 주장 모두 피그미하마가 자신이 속한 속의 유일하게 현존하는 구성원이라는 것에 동의하였다. 2021년 미국 포유류학자 협회는 IUCN의 지원을 받는 조치로 본래의 피그미하마속으로 재분류했으며, 피그미하마의 학명은 '''코에롭시스 리베리엔시스'''(''Choeropsis liberiensis'')로 확정되었다.


하마속에 속한 하마들 가운데 피그미하마와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 것은 근세에 자취를 감춘 난쟁이하마 3종 가운데 하나인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Hippopotamus madagascariensis'')이다.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는 피그미하마처럼 보금자리로 개활된 강가보다 고지대에 우거진 삼림지를 선호하는, 육상생활에 가까운 생활양식을 보였었다. 이 종은 500년 전을 전후로 하여 절멸한 것으로 보인다.
하마속에 속한 하마들 가운데 피그미하마와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 것은 근세에 자취를 감춘 난쟁이하마 3종 가운데 하나인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Hippopotamus madagascariensis'')이다.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는 피그미하마처럼 보금자리로 개활된 강가보다 고지대에 우거진 삼림지를 선호하는, 육상생활에 가까운 생활양식을 보였었다. 이 종은 500년 전을 전후로 하여 절멸한 것으로 보인다.


== 생태 ==
== 생태 ==
[[파일:Pygmy hippopotamus range updated.svg|220px|섬네일|피그미하마의 분포 지역]]
피그미하마는 하마보다 육상 생활에 적응되어 있으며, 수렴 진화의 영향으로 하마보다는 맥의 행동과 더 유사하다. 하마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사회적 생물이지만, 피그미하마는 홀로 생활하거나 소규모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무리의 구성원은 대체로 어미와 새끼로 구성되어 있다. 피그미하마는 다른 개체들끼리 만나면 싸우기보다는 서로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현장에서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수컷 피그미하마의 영역 범위는 1.85㎢ 이상인 반면, 암컷의 영역 범위는 0.4~0.6㎢ 정도 된다.
피그미하마는 하마보다 육상 생활에 적응되어 있으며, 수렴 진화의 영향으로 하마보다는 맥의 행동과 더 유사하다. 하마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사회적 생물이지만, 피그미하마는 홀로 생활하거나 소규모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무리의 구성원은 대체로 어미와 새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장에서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수컷 피그미하마의 영역 범위는 1.85㎢ 이상인 반면, 암컷의 영역 범위는 0.4~0.6㎢ 정도 된다.


피그미하마는 하루의 대부분을 강에 숨어 지낸다. 이들은 새로운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며칠 동안 연속적으로 같은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며, 일부 피그미하마는 강둑에 형성된 땅굴을 은신처로 이용한다. 피그미하마가 직접 굴을 파는 것인지, 또는 굴을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 관찰된 적은 없지만, 혹멧돼지와 같은 다른 우제류 동물들이 파놓은 굴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피그미하마는 하루의 대부분을 강에 숨어 지낸다. 이들은 새로운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며칠 동안 연속적으로 같은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며, 일부 피그미하마는 강둑에 형성된 땅굴을 은신처로 이용한다. 피그미하마가 직접 굴을 파는 것인지, 또는 굴을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 관찰된 적은 없지만, 혹멧돼지와 같은 다른 우제류 동물들이 파놓은 굴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애기하마는 하마에 비해 지상의 생활에 적응했음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피부를 적시거나 체온을 낮추는데는 물에 의존한다. 짝짓기나 출산은 땅과 물에서 일어날수 있다.
애기하마는 하마에 비해 지상의 생활에 적응했음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피부를 적시거나 체온을 낮추는데는 물에 의존한다. 짝짓기나 출산은 땅과 물에서 일어날수 있다.
친척인 하마와는 달리, 피그미하마는 크기가 작을 뿐더러 서식지가 자외선으로부터 어느 정도 안전한 밀림에 위치하여 있어 하마보다 성격이 유순하다. 다른 개체들끼리 만나면 싸우기보다는 서로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미성숙한 개체의 경우 종종 [[아프리카표범|표범]]이나 [[아프리카비단뱀|비단뱀]], [[서아프리카악어|악어]]에게 노려지기도 한다. 그러나 성체의 경우 워낙 덩치가 큰 탓에 천적에게 공격당하는 경우는 흔한 일이 아니며, 여느 야생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자극받았을 경우 매우 공격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 식단 ===
=== 식단 ===
[[파일:Pigmy Hippo 037.jpg|250px|섬네일|야채를 먹는 피그미하마]]
[[파일:Pigmy Hippo 037.jpg|250px|섬네일|야채를 먹는 피그미하마]]
88번째 줄: 80번째 줄:
== 인간과의 관계 ==
== 인간과의 관계 ==
=== 발견 ===
=== 발견 ===
오래 전부터 유럽인들에게 그 존재가 알려진 하마와 달리, 피그미하마는 19세기까지만 해도 서부아프리카 외에서는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다. 관찰이 어려운 밤에 활동한다는 것과 인간의 활동이 힘든 우거진 숲에 서식한다는 점으로 인해 자국 내에서도 세부적인 내용이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라이베리아에서는 물소로 오인받기도 했다. 피그미하마에 대한 초기 현장 보고에서는 야생 돼지로 오인받았다.
오래 전부터 유럽인들에게 그 존재가 알려진 하마와 달리, 피그미하마는 19세기까지만 해도 서부아프리카 외에서는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다. 관찰이 어려운 밤에 활동한다는 것과 인간의 활동이 힘든 우거진 숲에 서식한다는 점으로 인해 자국 내에서도 세부적인 내용이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라이베리아에서는 물소로 오인받기도 했다.
 
피그미하마에 대한 초기 현장 보고에서는 이 동물을 야생 돼지로 오인했다. 이 종의 두개골 몇 개는 라이베리아의 몬로비아에 거주하는 동안 미국의 자연 과학자 새뮤얼 조지 모턴에게 보내졌다. 모턴은 1843년에 처음으로 이 종을 설명했다. 최초의 완전한 표본은 1870~1880년대에 요한 뷔티코퍼 박사에 의해 라이베리아 동물군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의 일환으로 수집되었다. 표본들은 네덜란드 라이덴에 있는 자연사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이 종의 두개골 몇 개는 라이베리아의 몬로비아에 거주하는 동안 미국의 자연 과학자 새뮤얼 조지 모턴에게 보내졌다. 모턴은 1843년에 처음으로 이 종을 설명했다. 최초의 완전한 표본은 1870~1880년대에 요한 뷔티코퍼 박사에 의해 라이베리아 동물군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의 일환으로 수집되었다. 표본들은 네덜란드 라이덴에 있는 자연사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 위협 및 보존 ===
=== 위협 및 보존 ===
피그미하마는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위기'''(EN)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야생에서 약 3,000마리 정도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가 많지 않고 야행성인데다 서식지가 내전 등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해 있어 야생에서 연구하기가 어려운 종으로 손꼽히며, 보존 사업을 진행하기도 어렵다.
수가 많지 않고 야행성이기 때문에 애기하마는 야생에서 연구하기가 어려운 종이다.
 
야생에 남아 있는 피그미하마 개체군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은 서식지 파괴로, 이들의 서식지인 삼림 지대가 벌목, 정착 및 농장 개간을 목적으로 벌목이 이루어지면서 피그미하마의 터전이 사라지고 있다. 또한 서식지인 숲이 줄어들면 그만큼 피그미하마의 번식 가능한 개체군이 더 파편화되어 잠재적인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라이베리아에서 피그미하마는 고기를 얻기 위해 불법으로 사냥당하고 있다. 이들의 고기는 멧돼지고기처럼 질이 좋다고 한다. 하마의 이빨과 달리, 피그미하마의 이빨은 밀렵꾼들에게 있어서 아무런 가치가 없다. 서아프리카의 내전이 피그미하마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피그미하마는 2007년 EDGE 프로젝트에 의해 상위 10종의 초점종중 하나로 확인되었으며, 일부 개체들은 시에라리온의 골라 삼림 보호 구역과 같은 보호 구역에 서식한다.
생존을 위협하는 최대 요소는 서식지 파괴로, 서식하고 있던 삼림 지대가 농장 개간을 목적으로 부서지고 벌목되어 터전이 사라지고 있다. 또한 밀렵과 부시미트를 얻기 위한 사냥, 천적과 내전에 의한 희생 역시 위협적이다. 라이베리아에서 피그미하마는 고기를 얻으려는 목적으로 남획당하기도 한다.
=== 동물원 ===
=== 동물원 ===
[[파일:Pygmy Hippopotamus with the young.jpg|250px|섬네일|체코 이흘라바 동물원의 피그미하마 가족]]
피그미하마는 1911년 유럽의 동물원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이들은 처음에 독일로 보내졌고 그 다음에는 뉴욕시의 브롱크스 동물원으로 보내졌고 거기서도 번성했다. 오늘날 피그미하마에 대해 알려진 정보들은 동물원에 정착한 피그미하마들의 생태를 연구한 것이다.
피그미하마는 1911년 유럽의 동물원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이들은 처음에 독일로 보내졌고 그 다음에는 뉴욕시의 브롱크스 동물원으로 보내졌고 거기서도 번성했다. 오늘날 피그미하마에 대해 알려진 정보들은 동물원에 정착한 피그미하마들의 생태를 연구한 것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