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인스 경제학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대사|시장은 완벽하지 않다!}}
{{대사|시장은 완벽하지 않다!}}


'''수정자본주의''' 혹은 '''케인스 경제학'''(Keynesian economics)는 시장실패를 막기 위하여 정부가 인위적으로 시장에 개입해야 함을 주장하는 [[자본주의]] 이론이다.
'''수정자본주의''' 혹은 '''케인스 경제학'''(Keynesian economics)는 시장실패를 막기 위하여 정부가 인위적으로 시장에 개입해야 함을 주장하는 [[자본주의]] 이론이다.  


1970년대에 한계점이 지적된 바 있으나, 주류의 자리를 잃지 않고 있으며 오늘날 대부분의 자본주의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자본주의 체제이다.
1970년대에 한계점이 지적된 바 있으나, 주류의 자리를 잃지 않고 있으며 오늘날 대부분의 자본주의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자본주의 체제이다.  


== 용어 ==
== 용어 ==
'''수정자본주의'''는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즈]]가 창시한 이론이므로 '''케인스주의''' 혹은 '''케인스 경제학'''라고도 부른다. 사실 수정자본주의라는 용어는 [[한국]]과 [[일본]]에서만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고, 다른 나라들에서는 케인스주의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학술적으로도 케인스주의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수정자본주의'''는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즈]]가 창시한 이론이므로 '''케인스주의''' 혹은 '''케인스 경제학'''라고도 부른다. 사실 수정자본주의라는 용어는 [[한국]]과 [[일본]]에서만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고, 다른 나라들에서는 케인스주의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학술적으로도 케인스주의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다만 한국에서는 교육기관과 언론에서 수정자본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므로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수정자본주의라는 용어가 더 익숙하다. 따라서 이 문서에서는 수정자본주의로 부르겠다.
다만 한국에서는 교육기관과 언론에서 수정자본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므로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수정자본주의라는 용어가 더 익숙하다. 따라서 이 문서에서는 수정자본주의로 부르겠다.


== 역사 ==
== 역사 ==
초기 자본주의는 정부가 시장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 [[자유방임주의]]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이론에 의하면, 시장은 스스로 수요와 공급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정부는 시장에 개입할 필요성이 없었다.
초기 자본주의는 정부가 시장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 [[자유방임주의]]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이론에 의하면, 시장은 스스로 수요와 공급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정부는 시장에 개입할 필요성이 없었다.  


하지만 자유방임주의 속에서 부(富)는 소수의 자본가들에게만 집중되었으며, 노동자들은 궁핍해져만 갔다. 노동자들이 궁핍해지자 소비가 줄어들었고, 경기는 침체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누적되다가 결국 1929년에 [[경제대공황]]이라는 비극을 초래하였다.
하지만 자유방임주의 속에서 부(富)는 소수의 자본가들에게만 집중되었으며, 노동자들은 궁핍해져만 갔다. 노동자들이 궁핍해지자 소비가 줄어들었고, 경기는 침체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누적되다가 결국 1929년에 [[경제대공황]]이라는 비극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정자본주의는 경제대공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즈]]는 경제대공황을 ‘시장실패’로 규정하고, 시장실패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가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하여 시장의 문제점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정자본주의는 경제대공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즈]]는 경제대공황을 ‘시장실패’로 규정하고, 시장실패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가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하여 시장의 문제점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933년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프랭클린 D. 루즈벨트]]는 [[뉴딜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수정자본주의에 입각한 경제정책들을 과감하게 도입하였다. 루즈벨트 정권은 ① 소수의 자본가들이 독점하고 있던 부를 세금제도를 이용하여 거둔 뒤 노동자 복지에 사용, 소득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였고 ② 댐 건설 등의 대형 국책사업을 벌여서 정부가 직접 일자리를 창출하였으며 ③ 정부 규제를 통해 시장을 통제하였다. 이러한 정책들을 실시하기 위해서 정부는 처음에는 빚을 져야 하지만, 곧 정책이 성과를 거두면 경기가 회복되어 세금 수입이 증가하므로 재정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된다. 결과적으로 미국은 경제대공황을 극복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부분의 자본주의 국가에서 수정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도입하기에 이른다.
1933년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프랭클린 D. 루즈벨트]]는 [[뉴딜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수정자본주의에 입각한 경제정책들을 과감하게 도입하였다. 루즈벨트 정권은 ① 소수의 자본가들이 독점하고 있던 부를 세금제도를 이용하여 거둔 뒤 노동자 복지에 사용, 소득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였고 ② 댐 건설 등의 대형 국책사업을 벌여서 정부가 직접 일자리를 창출하였으며 ③ 정부 규제를 통해 시장을 통제하였다. 이러한 정책들을 실시하기 위해서 정부는 처음에는 빚을 져야 하지만, 곧 정책이 성과를 거두면 경기가 회복되어 세금 수입이 증가하므로 재정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된다. 결과적으로 미국은 경제대공황을 극복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부분의 자본주의 국가에서 수정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도입하기에 이른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