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 코루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외환}}
{{외환}}
{{화폐 정보
{{화폐 정보
|화폐이름 = 체코 코루나
|현지어 명칭 = Koruna Česká <small>코루나 [[프란체스카|체스카]]<sup>[[체코어|cz]]</sup></small>
|원어이름 = Koruna Česká
|다른 언어명 = Czech Koruna <small>체크 코루나<sup>[[영어|en]]</sup></small>
|그림    = CeskaNarodniBanka.png
|그림1 =CeskaNarodniBanka.png
|그림설명 =  
|그림1_설명 =  
|그림2   =  
|그림2 =  
|그림2설명=  
|그림2_설명 =  
|사용국   = {{나라|체코}}
|사용국 = {{국기|체코}}
|비공식   =  
|비공식 사용국 =
|ISO      = CZK
|iso 코드 = CZK
|기호     = Kč
|기호 = Kč
|보조단위 =
|보조단위_비율_1 = 1/100
{{화폐 정보/보조단위
|보조단위_이름_1 = 할레르(Haléř)
|비율 = 1/100
|보조단위_비율_2 =
|이름 = 할레르(Haléř)
|보조단위_이름_2 =
}}
|지폐 = 100Kč, 200Kč, 500Kč, 1000Kč<br /><small>(드물게 사용 : 2000Kč, 5000Kč)</small><br /><small><s>(폐기된 구권 : 20Kč, 50Kč)</s></small>
|지폐     = 100Kč, 200Kč, 500Kč, 1000Kč<br /><small>(드물게 사용 : 2000Kč, 5000Kč)</small><br /><small><s>(폐기된 구권 : 20Kč, 50Kč)</s></small>
|동전 = 1Kč, 2Kč, 5Kč, 10Kč, 20Kč, 50Kč
|동전     = 1Kč, 2Kč, 5Kč, 10Kč, 20Kč, 50Kč
|발행 기관 = 체코국립은행 (Česká Národní Banka)  
|중앙은행 = 체코국립은행 (Česká Národní Banka)
|인쇄처 =  
|인쇄처   =  
|조폐국 = 체코조폐국 (Česká Mincovna)
|조폐국   = 체코조폐국 (Česká Mincovna)
|인플레이션 = 2.5%<small> (2017년 추정치)</small>
|환율     = 51원/Kč<small> (2019.12.07 기준)</small><br />(Range : 40 ~ 65)
|환율 = 51원/Kč<small> (2019.12.07 기준)</small><br />(Range : 40 ~ 65)
|고정환율 =  
|고정환율 =  
|이전화폐 = [[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 (1 : 1)<ref>[[슬로바키아]]와 쪼개질 때, 인구와 생산량 등의 규모를 정확히 나누어서 통화발행량을 나누었다.</ref>
|전신 = [[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 (1 : 1)<ref>[[슬로바키아]]와 쪼개질 때, 인구와 생산량 등의 규모를 정확히 나누어서 통화발행량을 나누었다.</ref>
|이후화폐 =
|후신 =  
|비고    =  
}}
}}
Czech Koruna <small>체크 코루나<sup>[[영어|en]]</sup></small>


== 개요 ==
== 개요 ==
48번째 줄: 46번째 줄:


== 현행권 ==
== 현행권 ==
[[슬로바키아 코루나]]가 대체적으로 빽빽한 선과 어두운 색조를 이용하여 찍어낸 데 반해, 체코 코루나는 손때가 그대로 묻을것 같은 세심한 선과 밝은 색조를 이용하여 돈을 찍어내고 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초판 (1993~1994, '''시중 유통 중단''')<ref>전권종 중단. 초판에는 5,000Kč 권종이 없음.</ref>[[파일:CZK109old.jpg]]<br />오리지널 판본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Czech Koruna Series (Current)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2판 (1997~1999, '''시중 유통 중단''')<ref group="예외">최고액권인 5,000Kč (1999년판)는 계속 유통 가능.</ref>[[파일:CZK109.jpg]]<br />뒷면 하단에 무늬 추가 + 색상톤 약간 변경
| style="text-align: center;" | 3판 (2007~2018)[[파일:500 Czech koruna Obverse.jpg]]<br />스캔방지링/패치 추가<ref>금속패치는 2판에서도 4자리수 고액권 한정으론 부착되어 있었다.</ref> 및 삽입 은선 강화
|-
|-
! colspan="3" | 체코 코루나 현행권 시리즈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File:CZK105.jpg]]
|-
| style="text-align: center;" | 100Kč
| style="text-align: center;" | 100Kč 카를 4세
| style="text-align: center;" | 카를 4세
| style="text-align: center;" | 200Kč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
| style="text-align: center;" | 카를 대학의 문장
| style="text-align: center;" | 500Kč 보제나 넴초바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CZK1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ZK107.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CZK1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200Kč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CZK1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
| style="text-align: center;" | 눈으로 보는 세계지도 (Orbis Sensualium Pictus)
|-
|-
| style="text-align: center;" | 카를 대학의 문장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ZK1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눈으로 보는 세계지도<sub>Orbis Sensualium Pictus</sub>
| style="text-align: center;" | 500Kč
| style="text-align: center;" | 보제나 넴초바
| style="text-align: center;" | 넴초바 저서의 상징인 월계관을 쓴 여인
| style="text-align: center;" | 넴초바 저서의 상징인 월계관을 쓴 여인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č 프란티섹 팔라츠키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00Kč 에미 데스틴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č
| style="text-align: center;" | 5,000Kč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 style="text-align: center;" | 프란티섹 팔라츠키
| style="text-align: center;" | 크롬녜지쉬 궁전과 독수리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1000CZK obverse.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ZK1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ZK1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2,000Kč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CZK115.jpg]]
| style="text-align: center;" | 에미 데스틴
| style="text-align: center;" | 에우테르페
|-
|-
| style="text-align: center;" | 크롬녜지쉬 궁전과 독수리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ZK115.jpg]]
| style="text-align: center;" | 에우테르페
| style="text-align: center;" | 5,000Kč
| style="text-align: center;" | 성 비투스 대성당 ([[프라하]])
| style="text-align: center;" |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 style="text-align: center;" | 성 비투스 대성당의 고딕/바로크 양식 건물 ([[프라하]])
|-
|-
| rowspan="3"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폐기권}}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20Kč 프셰미슬 오타카르 1세 ('''유통 정지''')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50Kč 보헤미아의 아녜스 ('''유통 정지''')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파일:CZK1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ZK101.JPG]]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파일:CZK1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20Kč
| style="text-align: center;" | 프셰미슬 오타카르 1세
| style="text-align: center;" | 왕관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왕관
| style="text-align: center;" | [[File:CZK103.JPG]]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성 살바토르 성당의 천장부분
| style="text-align: center;" | 50Kč
| style="text-align: center;" | 보헤미아의 아녜스, 성스러운 하트
| style="text-align: center;" | 성 살바토르 성당의 천장부분
|}
|}
* 위 표 하단의 소액권 2종은 2008년(20Kč), 2011년(50Kč)부터 유통 정지 되었다. 공교롭게도 해당 두 지폐의 인물은 부녀관계이다.
* 각각 2008년(20Kč), 2011년(50Kč)부터 유통 불능이 되었다. 여담이지만 이 두 지폐의 도안이 서로 부녀관계이기도 하다.
* 동전의 경우 총 3*3=9종류. 50, 20, 10코루나(이상 합금형), 5, 2, 1코루나(이상 니켈백동화), 50, 20, 10할레루(이상 알루미늄화)가 있다. 다만 2008년을 끝으로 할레르화는 통용금지가 되었으니 실질적으론 6종류만 쓰여지고 있다. 범위는 엔화처럼 1단위까지 정확하게 계산되어 쓰이는 중.
* 동전의 경우 총 3*3=9종류. 50, 20, 10코루나(이상 합금형), 5, 2, 1코루나(이상 니켈백동화), 50, 20, 10할레루(이상 알루미늄화)가 있다. 다만 2008년을 끝으로 할레르화는 통용금지가 되었으니 실질적으론 6종류만 쓰여지고 있다. 범위는 엔화처럼 1단위까지 정확하게 계산되어 쓰이는 중.
* 2021년 7월 1일부터 초판 코루나화는 액면 유통 정지되었다. 은행에서 신권 교환은 무기한으로 가능하다.
* 2021년 7월부로 1993년에 발행된 초판 코루나 화는 액면 불문하고 권종 통용이 중지되었다. 초판과 2/3판을 앞면으로 구분하기는 어렵고<ref>작게 쓰여진 연도가 사실상 유일한 판별법이다. 덧붙여 2판과 3판은 스캔방지고리(노란색)의 유무로 판별이 가능하다.</ref>, 뒷면 좌하단의 문양의 유무(초판은 없고, 그 이후부터는 있음)로 판별하는 것이 좋다.
** 2022년 7월 1일부터 2판 코루나화 또한 최고액권인 5,000Kč만 제외하고 전부 통용이 정지된다. 마찬가지로 은행에서 신권 교환은 가능하다.
*** 2023년 가을부터 최고액권의 개정판인 5,000Kč (2023년판) 권종이 발행되지만, 구 버전(1999년판/2009년판)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 여담으로, 한 때 같이 지내다 떨어진 [[슬로바키아|옆 나라]]의 [[슬로바키아 코루나|코루나화]]는 빽빽한 선과 어두운 색조를 띄는 것에 반해, 체코의 코루나화는 손때가 그대로 묻을것 같은 가느다란 선과 밝은 색조를 띄고 있어, 같이 놓고 보면 매우 대조적이다.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