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8번째 줄: 28번째 줄:


; 고대 [[그리스]]
; 고대 [[그리스]]
:{{참고|그리스 철학}}
:{{참조|그리스 철학}}
:고대 그리스에서는 철학이 매우 발달해 있었으며, 실질적인 [[민주주의]]를 시행하였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고 생각하였고, 그 사람에는 [[여성]]과 [[남성]]이 들어가지 않았다. 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비슷하고, 대부분의 고대 국가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대우 차이와도 유사하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철학이 매우 발달해 있었으며, 실질적인 [[민주주의]]를 시행하였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고 생각하였고, 그 사람에는 [[여성]]과 [[남성]]이 들어가지 않았다. 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비슷하고, 대부분의 고대 국가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대우 차이와도 유사하다.


52번째 줄: 52번째 줄:
[[존 로크]]를 비롯한 많은 유럽 철학가들이 [[자연법]] 이론을 들고 나와 모든 사람들이 본래는 자유롭고 평등하다고 주장했다. 로크는 인간이 모두 신의 산물이기 때문에 모두 평등하다고 보았지만<ref>http://plato.stanford.edu/entries/locke-political/</ref>, 이것은 추후 현대 인권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특히, 이 이론은 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에서 일어난 반란에서 [[실정법]]을 거부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큰 근거로 쓰였다. 이는 현재에도 국가의 인권적 탄압에 대해 개인이 맞서 싸울 때에 사용된다. 물론 완전히 로크적인 자연법 전개는 아니나, 이러한 피탄압자에 대한 자연법 논거를 현재 그 후신인 [[미국]]의 [[미 연방 대법원|연방 대법원]]에서는 [[적법절차원리]]로 인정해 주고 있다. 현대 인권에서, 이는 자연권 혹은 천부인권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같은 시기, 영국에서는 [[권리 장전]]이 [[1689년]] 만들어졌다.
[[존 로크]]를 비롯한 많은 유럽 철학가들이 [[자연법]] 이론을 들고 나와 모든 사람들이 본래는 자유롭고 평등하다고 주장했다. 로크는 인간이 모두 신의 산물이기 때문에 모두 평등하다고 보았지만<ref>http://plato.stanford.edu/entries/locke-political/</ref>, 이것은 추후 현대 인권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특히, 이 이론은 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에서 일어난 반란에서 [[실정법]]을 거부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큰 근거로 쓰였다. 이는 현재에도 국가의 인권적 탄압에 대해 개인이 맞서 싸울 때에 사용된다. 물론 완전히 로크적인 자연법 전개는 아니나, 이러한 피탄압자에 대한 자연법 논거를 현재 그 후신인 [[미국]]의 [[미 연방 대법원|연방 대법원]]에서는 [[적법절차원리]]로 인정해 주고 있다. 현대 인권에서, 이는 자연권 혹은 천부인권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같은 시기, 영국에서는 [[권리 장전]]이 [[1689년]] 만들어졌다.


{{참고|미국 독립 혁명|프랑스 혁명}}
{{참조|미국 독립 혁명|프랑스 혁명}}
[[1700년]]대, [[장 자크 루소]]의 [[신 엘로이즈]], [[에밀]]. 혹은 [[사뮤엘 리차드슨]]의 [[파멜라]] 등의 소설은 대중의 인권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들이 자신의 권리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ref>Hunt, Lynn (2008). Inventing Human Rights: A History. W. W. Norton & Company. </ref><ref>Slaughter, Joseph R. (2007). Human Rights, Inc.:The World Novel, Narrative Form, and International Law. Fordham University Press.</ref> 이는 곧 두 개의 큰 혁명과도 이어졌는데, 바로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이다.
[[1700년]]대, [[장 자크 루소]]의 [[신 엘로이즈]], [[에밀]]. 혹은 [[사뮤엘 리차드슨]]의 [[파멜라]] 등의 소설은 대중의 인권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들이 자신의 권리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ref>Hunt, Lynn (2008). Inventing Human Rights: A History. W. W. Norton & Company. </ref><ref>Slaughter, Joseph R. (2007). Human Rights, Inc.:The World Novel, Narrative Form, and International Law. Fordham University Press.</ref> 이는 곧 두 개의 큰 혁명과도 이어졌는데, 바로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이다.


262번째 줄: 262번째 줄:
;[[중국]]에서의 인권
;[[중국]]에서의 인권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구조적 개혁이 이뤄진 이후 중국 공산당은 공식적으로 법치의 언어를 받아들이고 현대 법원 제도를 수립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수천 개의 새로운 법률과 규정이 제정되었으며 더 많은 법률 전문가를 양성하기 시작했다. 공산당은 헌법에서 '법의 지배'라는 개념을 강조했으며, 여당은 시민들이 법에 따라 보호 받는다는 점을 홍보하는 캠페인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헌법에서, 공산당은 그 권한이 법의 권한을 대신한다. 헌법은 법의 지배를 심화하면서 동시에 '공산당의 지도력'이 법에 대한 우선권을 갖는다는 원칙을 강조하는 모순을 갖고 시작하게 되었다. 사법부는 공산당과 독립적이지 않으며, 판사는 정치적 압력에 직면한다. 많은 경우에 사적 정당위원회가 사건의 결과를 지시한다. 이런 식으로 중국공산당은 사법부의 영향력을 통해 사법부를 통제한다. 더욱이, 법적 제도는 시민권에 대한 보호가 결여되어 있으며, 종종 정당하지 못한 절차를 요구한다.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구조적 개혁이 이뤄진 이후 중국 공산당은 공식적으로 법치의 언어를 받아들이고 현대 법원 제도를 수립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수천 개의 새로운 법률과 규정이 제정되었으며 더 많은 법률 전문가를 양성하기 시작했다. 공산당은 헌법에서 '법의 지배'라는 개념을 강조했으며, 여당은 시민들이 법에 따라 보호 받는다는 점을 홍보하는 캠페인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헌법에서, 공산당은 그 권한이 법의 권한을 대신한다. 헌법은 법의 지배를 심화하면서 동시에 '공산당의 지도력'이 법에 대한 우선권을 갖는다는 원칙을 강조하는 모순을 갖고 시작하게 되었다. 사법부는 공산당과 독립적이지 않으며, 판사는 정치적 압력에 직면한다. 많은 경우에 사적 정당위원회가 사건의 결과를 지시한다. 이런 식으로 중국공산당은 사법부의 영향력을 통해 사법부를 통제한다. 더욱이, 법적 제도는 시민권에 대한 보호가 결여되어 있으며, 종종 정당하지 못한 절차를 요구한다.
{{참고|천안문 사건}}
{{참조|천안문 사건}}


=== 사회적 [[통념]]과 [[인습]] ===
=== 사회적 [[통념]]과 [[인습]] ===
277번째 줄: 277번째 줄:


{{본문|종교 차별}}
{{본문|종교 차별}}
{{참고|근본주의}}
{{참조|근본주의}}
지금도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지만, 다른 종교를 갖고 있다고 해서 박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 다른 종교를 믿고 있는 사람들에 의한 박해이기도 하며, [[가해자가 된 피해자|전통을 버리고 새로운 신앙을 믿고자 하는 사람들에 의해서도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운동 끝에 새로운 신앙은 다시금 전통이자 인습이 되며, 같은 일은 계속 반복되게 된다.<ref>이는 심지어는 [[석가모니]]가 평생토록 이러한 것을 없애려고 했던 [[불교]]에서도 종종 보이는 모습이기도 하다.</ref>
지금도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지만, 다른 종교를 갖고 있다고 해서 박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 다른 종교를 믿고 있는 사람들에 의한 박해이기도 하며, [[가해자가 된 피해자|전통을 버리고 새로운 신앙을 믿고자 하는 사람들에 의해서도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운동 끝에 새로운 신앙은 다시금 전통이자 인습이 되며, 같은 일은 계속 반복되게 된다.<ref>이는 심지어는 [[석가모니]]가 평생토록 이러한 것을 없애려고 했던 [[불교]]에서도 종종 보이는 모습이기도 하다.</ref>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