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스트리트맵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2번째 줄: 22번째 줄: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 ''열린길지도'')은 온라인 집단지성 [[지도]] 프로젝트이다. 모두가 편집할 수 있는 점이 [[위키]]와 비슷하지만, 백과사전과 같은 문서 체계를 갖추고 있는 위키와 달리 오픈스트리트맵은 [[지도]] 프로젝트이다. <s>[[심시티]]를 할 수 있다!</s>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 ''열린길지도'')은 온라인 집단지성 [[지도]] 프로젝트이다. 모두가 편집할 수 있는 점이 [[위키]]와 비슷하지만, 백과사전과 같은 문서 체계를 갖추고 있는 위키와 달리 오픈스트리트맵은 [[지도]] 프로젝트이다. <s>[[심시티]]를 할 수 있다!</s>


== 개요 ==
2004년에 [[독일]]에서 만들어졌으며 본격적인 편집은 2005년부터 이루어졌다. 경쟁 사이트로는 [[위키맵피아]]가 있지만 지도 데이터는 이쪽이 훨씬 많다. [[알렉사]] 웹사이트 순위는 [[위키맵피아]]보다 훨씬 낮다. 지도 편집은 훼손을 막기 위해 가입된 사용자만 할 수 있는데 약  200만명이 가입되어 있다고 한다.
2004년에 [[독일]]에서 만들어졌으며 본격적인 편집은 2005년부터 이루어졌다. 경쟁 사이트로는 [[위키맵피아]]가 있지만 지도 데이터는 이쪽이 훨씬 많다. [[알렉사]] 웹사이트 순위는 [[위키맵피아]]보다 훨씬 낮다. 지도 편집은 훼손을 막기 위해 가입된 사용자만 할 수 있는데 약  200만명이 가입되어 있다고 한다.


41번째 줄: 42번째 줄:
현재 지도 데이터 1위인 [[구글 지도]]를 뛰어 넘겠다고 목표를 밝혔다. 실제로도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데 [[소치 올림픽]] 경기장을 구글 지도에서 보면 산밖에 보이지 않지만 오픈스트리트맵은 자세한 경기장까지 다 되어 있다는 기사도 있다.<ref>{{뉴스 인용|제목=소치서 인정받은 모두의 지도, 오픈스트리트맵|url=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18224|뉴스=[[블로터]]|저자=이지현|언어=한국어|확인날짜=2024-01-25|날짜=2014-02-26}}</ref> 특히 [[독일]], [[프랑스]] 등의 [[유럽]]은 가로등과 울타리, 나무, 주차 요금과 도로 상태까지 다 맵핑되어 있는 지역도 있다. [[미국]] 쪽에서도 유럽보다는 덜하지만 데이터가 많은 편이다.
현재 지도 데이터 1위인 [[구글 지도]]를 뛰어 넘겠다고 목표를 밝혔다. 실제로도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데 [[소치 올림픽]] 경기장을 구글 지도에서 보면 산밖에 보이지 않지만 오픈스트리트맵은 자세한 경기장까지 다 되어 있다는 기사도 있다.<ref>{{뉴스 인용|제목=소치서 인정받은 모두의 지도, 오픈스트리트맵|url=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18224|뉴스=[[블로터]]|저자=이지현|언어=한국어|확인날짜=2024-01-25|날짜=2014-02-26}}</ref> 특히 [[독일]], [[프랑스]] 등의 [[유럽]]은 가로등과 울타리, 나무, 주차 요금과 도로 상태까지 다 맵핑되어 있는 지역도 있다. [[미국]] 쪽에서도 유럽보다는 덜하지만 데이터가 많은 편이다.


== 참고, 활용 사이트 ==
==대한민국에서==
* {{url|https://learnosm.org/ko/|learnOSM}}: 초보자를 위한 OSM 입문서이다. 시작하기 전에 읽어보는 것이 좋다.
===토막지도 ===
* {{url|https://wiki.openstreetmap.org/wiki/Ko:%EC%B2%98%EC%9D%8C_%ED%99%94%EB%A9%B4|OSM 위키}}: 기본기를 익힌 다음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 때 이용하는 위키. 속성 부여하는 방법, 울타리 그리는 법, 건물 정확하게 표시하기 등 중급자를 위한 설명이 다 있다.
* {{url|https://community.openstreetmap.org/c/communities/ko|오픈스트리트맵 커뮤니티 (한국)}}: 이곳에서 지도 그리는 법, 이용하는 법, 저작권 등등의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다. 한국 지도는 한국의 규칙을 따라야 하니 매우 중요한 커뮤니티이다.
* {{url|https://luxurycoop.tistory.com}}: 오픈스트리트맵에 엄청난 기여를 하고 있는 블로거이다. 이곳에서 여러 팁들을 얻을 수 있다.
 
== 대한민국에서 ==
=== 토막지도 ===
지도 데이터가 너무 부족하다. [[강릉]]과 [[거창]] 등 일부 지역만 잘 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도 잘 안되어 있다. 그나마 잘된 곳도 하다 만 흔적들이 여기저기에서 보이며, 유럽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도 데이터가 너무 부족하다. [[강릉]]과 [[거창]] 등 일부 지역만 잘 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도 잘 안되어 있다. 그나마 잘된 곳도 하다 만 흔적들이 여기저기에서 보이며, 유럽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부족한 위성사진 ===
===부족한 위성사진===
위성사진도 부족하다. 오픈스트리트맵에서는 편집 버튼을 누르면 지도 데이터들과 함께 위성사진을 보여주는데 광역시와 주요 시들 시내에는 고화질 위성 사진이 있지만 조금만 시내에서 멀어져서 읍내, 시골 등으로 가면 [[고속도로]]나 산만 보이는 흐리멍덩한 위성 사진이 펼쳐져 있다. 위성 사진을 보고 편집하는 편집자들에게는 대한민국이 너무 열악한 조건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성사진도 부족하다. 오픈스트리트맵에서는 편집 버튼을 누르면 지도 데이터들과 함께 위성사진을 보여주는데 광역시와 주요 시들 시내에는 고화질 위성 사진이 있지만 조금만 시내에서 멀어져서 읍내, 시골 등으로 가면 [[고속도로]]나 산만 보이는 흐리멍덩한 위성 사진이 펼쳐져 있다. 위성 사진을 보고 편집하는 편집자들에게는 대한민국이 너무 열악한 조건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군사지역 ===
===군사지역===
보통 [[네이버 지도]]와 [[다음 지도]], [[구글 지도]]에서는 군사 지역이 표기되어있지 않을 뿐더러 위성 사진을 봐도 군사 지역이 산으로 떡칠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독일에 서버를 두고 있는 오픈스트리트맵은 군사지역, 군사공항 등이 버젓이 나와 있다. 편집 버튼을 눌러 위성 사진으로 들어가도 군사 시설이 보인다. 이를 보면 정부와 [[국회의원|높으신 분들]] 입장에서는 가만히 있을 수 없는데 의외로 아직까지도 오픈스트리트맵에 대해서는 정부에서 눈을 감고 있다. <s>[[김정은|꿀꾸리우스]]가 이 지도를 좋아합니다.</s>
보통 [[네이버 지도]]와 [[다음 지도]], [[구글 지도]]에서는 군사 지역이 표기되어있지 않을 뿐더러 위성 사진을 봐도 군사 지역이 산으로 떡칠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독일에 서버를 두고 있는 오픈스트리트맵은 군사지역, 군사공항 등이 버젓이 나와 있다. 편집 버튼을 눌러 위성 사진으로 들어가도 군사 시설이 보인다. 이를 보면 정부와 [[국회의원|높으신 분들]] 입장에서는 가만히 있을 수 없는데 의외로 아직까지도 오픈스트리트맵에 대해서는 정부에서 눈을 감고 있다. <s>[[김정은|꿀꾸리우스]]가 이 지도를 좋아합니다.</s>


물론 [[북한]]의 군사시설도 아~주 자세히 나와 있다. <s>아마도 [[국방부]]와 [[국정원]]에서도 이 지도를 보고 있는 것 같다.</s>
물론 [[북한]]의 군사시설도 아~주 자세히 나와 있다. <s>아마도 [[국방부]]와 [[국정원]]에서도 이 지도를 보고 있는 것 같다.</s>


=== 커뮤니티 ===
===커뮤니티===
대한민국에는 공식 지역 지부가 없지만 비공식 로컬 커뮤니티가 있다. {{url|https://osm.kr}}
대한민국에는 공식 지역 지부가 없지만 비공식 로컬 커뮤니티가 있다. {{url|https://osm.kr}}


69번째 줄: 64번째 줄:
[[위키미디어 재단]]에서도 위키에 지도를 삽입하는 기능을 구현할 때 이용한다.
[[위키미디어 재단]]에서도 위키에 지도를 삽입하는 기능을 구현할 때 이용한다.


== 문제점 ==
==문제점==
*지도 편집기나 태그 등이 잘못 번역된 경우도 있고 한국의 사정에 맞게 태그를 현지화 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태그를 어떻게 지정할지 합의점이 아직 없는 경우 편집자마다 태그가 통일되지 않기도 한다. 이는 단순히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닌 한국 문화, 정서에 맞게 현지화 시키는 번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일치한다.
*지도 편집기나 태그 등이 잘못 번역된 경우도 있고 한국의 사정에 맞게 태그를 현지화 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태그를 어떻게 지정할지 합의점이 아직 없는 경우 편집자마다 태그가 통일되지 않기도 한다. 이는 단순히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닌 한국 문화, 정서에 맞게 현지화 시키는 번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일치한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