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법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영어의 문법을 다루는 문서<br />
영어의 문법을 다루는 문서<br/>
영어의 문법은 한국어를 제외한 언어 중 한국인들이 필연적으로 자주 접할 수 없는 문법이며 많은 영포자들을 자아냈던 부분이다. 위 문서는 영어의 문법을 간단하게나마 정리하는 문서이다.
영어의 문법은 한국어를 제외한 언어 중 한국인들이 필연적으로 자주 접할 수 없는 문법이며 많은 영포자들을 자아냈던 부분이다. 위 문서는 영어의 문법을 간단하게나마 정리하는 문서이다.


40번째 줄: 40번째 줄:
  <strong>Subject + Verb + Complement(Subjective Complement)</strong>
  <strong>Subject + Verb + Complement(Subjective Complement)</strong>


{{인용문2|He became a doctor. (그는 의사가 되었다.)<br />It is getting dark. ((날씨가, 또는 상황이) 어두워지고 있다.)<br />She is in the library. (그녀는 도서관 안에 있다.)}}
{{인용문2|He became a doctor. (그는 의사가 되었다.)<br/>It is getting dark. ((날씨가, 또는 상황이) 어두워지고 있다.)<br/>She is in the library. (그녀는 도서관 안에 있다.)}}
2형식이 1형식과 구분되어야 하는 이유는 위 문장들에서 보어를 제거해 보면 알 수 있다.
2형식이 1형식과 구분되어야 하는 이유는 위 문장들에서 보어를 제거해 보면 알 수 있다.


{{인용문2|He became.* (그는 되었다.)<br />It is getting.* (~해지고 있다.)<br />She is.* (그녀는 이다.)<ref>위 문장이 그녀는 그렇다.라고도 해석되려면 앞에 그녀의 상태를 특정해주는 내용의 문장이 있어야 한다.</ref><br />
{{인용문2|He became.* (그는 되었다.)<br/>It is getting.* (~해지고 있다.)<br/>She is.* (그녀는 이다.)<ref>위 문장이 그녀는 그렇다.라고도 해석되려면 앞에 그녀의 상태를 특정해주는 내용의 문장이 있어야 한다.</ref><br/>
<small>[[비문]]을 표시할 때는 문장 끝에 *을 달았다.</small>}}
<small>[[비문]]을 표시할 때는 문장 끝에 *을 달았다.</small>}}
그는 되었다. 해지고 있다. 그녀는 이다. 무엇을 말하려는지 알 수 없는 문장이 되고 만다. 따라서 동사 뒤에 동사의 의미를 도와주는 '보어'의 존재가 필수불가결해짐에 따라 2형식이라는 문장의 형태가 생겨나게 된다.
그는 되었다. 해지고 있다. 그녀는 이다. 무엇을 말하려는지 알 수 없는 문장이 되고 만다. 따라서 동사 뒤에 동사의 의미를 도와주는 '보어'의 존재가 필수불가결해짐에 따라 2형식이라는 문장의 형태가 생겨나게 된다.
62번째 줄: 62번째 줄:
  <strong>Subject + Verb + Object(Direct Object)</strong>
  <strong>Subject + Verb + Object(Direct Object)</strong>


{{인용문2|I see you. (나는 너를 본다.) <s>아바타?</s><br />I think I know him. (난 그를 아는 것 같아. 또는 난 그를 안다고 생각해.)}}
{{인용문2|I see you. (나는 너를 본다.) <s>아바타?</s><br/>I think I know him. (난 그를 아는 것 같아. 또는 난 그를 안다고 생각해.)}}
주어와 동사 뒤에 목적어라는 새로운 것이 붙었다. 목적어와 보어의 차이는 간단하다. 2형식에서의 보어(주격 보어)는 주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 데 반해, 3형식에서의 목적어는 그렇지 않다.
주어와 동사 뒤에 목적어라는 새로운 것이 붙었다. 목적어와 보어의 차이는 간단하다. 2형식에서의 보어(주격 보어)는 주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 데 반해, 3형식에서의 목적어는 그렇지 않다.


{{인용문2|I see you. (나는 너를 본다.) (3형식)<br />I am a doctor. (나는 의사이다.) (2형식)}}
{{인용문2|I see you. (나는 너를 본다.) (3형식)<br/>I am a doctor. (나는 의사이다.) (2형식)}}
위의 두 문장을 비교해 보면, 첫 번째 문장에서는 동사를 사이에 둔 두 단어가 서로 다른 것을 가리키는 데 반해, 두 번째 문장은 서로 같은 것을 가리킨다는 차이가 있다. 목적어는 주어에 대한 설명이라기보다, 동사에 관한 설명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좋다.
위의 두 문장을 비교해 보면, 첫 번째 문장에서는 동사를 사이에 둔 두 단어가 서로 다른 것을 가리키는 데 반해, 두 번째 문장은 서로 같은 것을 가리킨다는 차이가 있다. 목적어는 주어에 대한 설명이라기보다, 동사에 관한 설명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좋다.


2형식 문장과 3형식 문장의 차이는 또 있다. 3형식 문장에서는 목적어를 떼는 순간 완전히 다른 의미의 문장이 되지만 2형식 문장에서처럼 <strong>문장이 아니게 되지는 않는다</strong>. 위의 문장들에서 목적어 역할을 하는 부분을 떼어 보자.
2형식 문장과 3형식 문장의 차이는 또 있다. 3형식 문장에서는 목적어를 떼는 순간 완전히 다른 의미의 문장이 되지만 2형식 문장에서처럼 <strong>문장이 아니게 되지는 않는다</strong>. 위의 문장들에서 목적어 역할을 하는 부분을 떼어 보자.


{{인용문2|I see. (나는 본다.)<br />I think. (나는 생각한다.)}}
{{인용문2|I see. (나는 본다.)<br/>I think. (나는 생각한다.)}}
{{ㅊ|물론 대체 뭘 봤니? 뭘 생각했니? 하고 묻고 싶어지는 문장들이지만}} 일단 무엇을 말하려는지 알 수 있다는 부분에서 문장이 맞다. 목적어를 떼자 주어+동사의 평범한 1형식 문장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ㅊ|물론 대체 뭘 봤니? 뭘 생각했니? 하고 묻고 싶어지는 문장들이지만}} 일단 무엇을 말하려는지 알 수 있다는 부분에서 문장이 맞다. 목적어를 떼자 주어+동사의 평범한 1형식 문장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81번째 줄: 81번째 줄:
  <strong>Subject + Verb + Indirect Object + Direct Object</strong>
  <strong>Subject + Verb + Indirect Object + Direct Object</strong>


{{인용문2|He sent me an letter. (그는 내게 편지 한 통을 보냈다.)<br />She bought him a present. (나는 그녀에게 그의 책을 주었다.)}}
{{인용문2|He sent me an letter. (그는 내게 편지 한 통을 보냈다.)<br/>She bought him a present. (나는 그녀에게 그의 책을 주었다.)}}


목적어는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 둘로 나뉜다. 직접 목적어는 (~을)이라는 의미로 해석되며, 간접 목적어는 주로 (~에게)(~로) 등으로 해석된다. 동사의 지배를 직접 받는 목적어가 직접 목적어, 동사의 목적지가 되는 목적어가 간접 목적어라고 해석하면 더 쉬울 수도 있다.
목적어는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 둘로 나뉜다. 직접 목적어는 (~을)이라는 의미로 해석되며, 간접 목적어는 주로 (~에게)(~로) 등으로 해석된다. 동사의 지배를 직접 받는 목적어가 직접 목적어, 동사의 목적지가 되는 목적어가 간접 목적어라고 해석하면 더 쉬울 수도 있다.
87번째 줄: 87번째 줄:
4형식 문장은 보통 3형식으로 바꿀 수 있다. 3형식 문장은 특정한 경우에만<ref>3형식→4형식일 경우가 4형식→3형식일 경우보다 훨씬 제약이 많다.</ref> 4형식으로 바꿀 수 있으나, 4형식의 경우 거의 모두 3형식으로 바꿀 수 있다. 다음은 위의 문장을 3형식으로 바꾸어 본 것이다.
4형식 문장은 보통 3형식으로 바꿀 수 있다. 3형식 문장은 특정한 경우에만<ref>3형식→4형식일 경우가 4형식→3형식일 경우보다 훨씬 제약이 많다.</ref> 4형식으로 바꿀 수 있으나, 4형식의 경우 거의 모두 3형식으로 바꿀 수 있다. 다음은 위의 문장을 3형식으로 바꾸어 본 것이다.


{{인용문2|He sent an letter to me.<br />She bought a present for him.}}
{{인용문2|He sent an letter to me.<br/>She bought a present for him.}}
4형식 문장을 3형식으로 바꾸어도 의미는 똑같다. 여기서 to me와 for him은 전치사구로서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문장의 형식과 관련이 없게 되어버려<ref>앞의 2형식 예외 부분과는 다르다. 1형식에서의 예시를 참고한다.</ref> 위 문장은 주어+동사+(직접)목적어의 3형식 문장이 되어 버린다.
4형식 문장을 3형식으로 바꾸어도 의미는 똑같다. 여기서 to me와 for him은 전치사구로서 문장에서 부사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문장의 형식과 관련이 없게 되어버려<ref>앞의 2형식 예외 부분과는 다르다. 1형식에서의 예시를 참고한다.</ref> 위 문장은 주어+동사+(직접)목적어의 3형식 문장이 되어 버린다.


95번째 줄: 95번째 줄:
! to를 써야 할 경우 !! for를 써야 할 경우 !! of를 써야 할 경우
! to를 써야 할 경우 !! for를 써야 할 경우 !! of를 써야 할 경우
|-
|-
| 간접목적어가 <br />(~에게)라는 의미일 때 || 간접목적어가 <br />(~를 위해) 라는 의미일 때 || 동사가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br />요청 또는 요구하는 의미일 때
| 간접목적어가 <br/>(~에게)라는 의미일 때 || 간접목적어가 <br/>(~를 위해) 라는 의미일 때 || 동사가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br/>요청 또는 요구하는 의미일 때
|-
|-
| give, send, bring, pass(전달하다), <br />offer, write, lend, read(읽어주다), <br />hand(건네주다), teach, show, pay, <br />take(데려가다, 가져가다), tell<br />ask(물어보다) || make, buy, get, choose(골라 주다), <br />keep, order(주문해 주다), cook || ask(요청하다), inquire 등
| give, send, bring, pass(전달하다), <br/>offer, write, lend, read(읽어주다), <br/>hand(건네주다), teach, show, pay, <br/>take(데려가다, 가져가다), tell<br/>ask(물어보다) || make, buy, get, choose(골라 주다), <br/>keep, order(주문해 주다), cook || ask(요청하다), inquire 등
|}
|}


ask의 용례는 두 가지가 있다.
ask의 용례는 두 가지가 있다.
{{인용문2|I asked him a question. (나는 그에게 질문 하나를 했다.)<br />She asked me a favor. (그녀는 내게 부탁 하나를 했다.)}}
{{인용문2|I asked him a question. (나는 그에게 질문 하나를 했다.)<br/>She asked me a favor. (그녀는 내게 부탁 하나를 했다.)}}
ask가 '질문하다'라는 뜻일 경우, 3형식일 때의 전치사는 to이다. 그러나 ask가 '요청, 요구하다'라는 뜻일 경우의 전치사는 of이다. 위의 두 번째 문장을 직역하면, 그녀는 내게 부탁 하나를 들어줄 것을 요청했다. 가 되므로 전치사는 of를 골라야 한다.
ask가 '질문하다'라는 뜻일 경우, 3형식일 때의 전치사는 to이다. 그러나 ask가 '요청, 요구하다'라는 뜻일 경우의 전치사는 of이다. 위의 두 번째 문장을 직역하면, 그녀는 내게 부탁 하나를 들어줄 것을 요청했다. 가 되므로 전치사는 of를 골라야 한다.


위의 문장 2개를 3형식으로 바꾸면 아래와 같다.
위의 문장 2개를 3형식으로 바꾸면 아래와 같다.
{{인용문2|I asked a question to him.<br />She asked a favor of me.}}
{{인용문2|I asked a question to him.<br/>She asked a favor of me.}}


*4형식 문장을 굳이 3형식으로 바꾸는 이유
*4형식 문장을 굳이 3형식으로 바꾸는 이유
120번째 줄: 120번째 줄:
보어가 주어의 의미를 부연설명한다면 주격 보어가 된다. 보어가 목적어의 의미를 부연설명한다면 목적격 보어가 된다. 예시를 들어보자.
보어가 주어의 의미를 부연설명한다면 주격 보어가 된다. 보어가 목적어의 의미를 부연설명한다면 목적격 보어가 된다. 예시를 들어보자.


{{인용문2|{{색|#dc143c|He}} became a {{색|#143cdc|doctor}}. (그는 의사가 되었다.)<br />{{색|#dc143c|He}} made {{색|#3cdc14|me}} a {{색|#143cdc|doctor}}. (그는 나를 의사로 만들었다.)}}
{{인용문2|{{색|#dc143c|He}} became a {{색|#143cdc|doctor}}. (그는 의사가 되었다.)<br/>{{색|#dc143c|He}} made {{색|#3cdc14|me}} a {{색|#143cdc|doctor}}. (그는 나를 의사로 만들었다.)}}
위의 두 문장의 차이는 이렇게 이해할 수 있다. 첫 번째 문장에서는 {{색|#dc143c|He}}(그, 주어)와 {{색|#143cdc|doctor}}(의사, 보어)가 같은 대상을 가리켰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색|#3cdc14|me}}(나, 목적어)와 {{색|#143cdc|doctor}}(의사, 보어)가 같은 대상을 가리켰다. 두 문장의 차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두 문장의 차이는 이렇게 이해할 수 있다. 첫 번째 문장에서는 {{색|#dc143c|He}}(그, 주어)와 {{색|#143cdc|doctor}}(의사, 보어)가 같은 대상을 가리켰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색|#3cdc14|me}}(나, 목적어)와 {{색|#143cdc|doctor}}(의사, 보어)가 같은 대상을 가리켰다. 두 문장의 차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132번째 줄: 132번째 줄:


일반적인 5형식 문장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5형식 문장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인용문2|He made me a liar! (그는 나를 거짓말쟁이로 만들었어!)<br />You ordered me to do this. (당신이 제게 이것을 하도록 명령하였습니다.)<br />She named him Paul. (그녀는 그를 Paul, 폴이라고 이름지었다.)}}
{{인용문2|He made me a liar! (그는 나를 거짓말쟁이로 만들었어!)<br/>You ordered me to do this. (당신이 제게 이것을 하도록 명령하였습니다.)<br/>She named him Paul. (그녀는 그를 Paul, 폴이라고 이름지었다.)}}
2형식에서 설명했던 것과 같이 보어에는 [[#명사|명사]]와 [[#형용사|형용사]]가 들어갈 수 있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to do this라는 to부정사구가 통째로 형용사 역할을 했다. 관련 설명은 [[#to부정사|to부정사]] 부분을 참고한다.
2형식에서 설명했던 것과 같이 보어에는 [[#명사|명사]]와 [[#형용사|형용사]]가 들어갈 수 있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to do this라는 to부정사구가 통째로 형용사 역할을 했다. 관련 설명은 [[#to부정사|to부정사]] 부분을 참고한다.


142번째 줄: 142번째 줄:
그러나 <strong>동사가 빠지면 문장은 유지되지 않는다.</strong> 또한 <strong>동사는 한 문장에 하나씩만</strong> 들어가야 한다. 이를 동사의 법칙이라 한다. 사람에 따라 헷갈릴 수도 있는 부분이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그러나 <strong>동사가 빠지면 문장은 유지되지 않는다.</strong> 또한 <strong>동사는 한 문장에 하나씩만</strong> 들어가야 한다. 이를 동사의 법칙이라 한다. 사람에 따라 헷갈릴 수도 있는 부분이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인용문2|go! (가라!)<br />go and get a shower. (가서 씻어라.)}}
{{인용문2|go! (가라!)<br/>go and get a shower. (가서 씻어라.)}}
위 두 문장은 모두 명령문이다. 그러나 두 번째 문장을 보면 한 문장인 것 같아 보이는데 동사가 두 개 있다. 이는 동사의 법칙을 어긴 게 아니라, <strong>두 문장이 하나로 합쳐진 형태</strong>라서 그렇다. 위와 같은 경우를 [[#중문|중문]], 혹은 [[#복문|복문]]이라 하는데, 아래에 추가적으로 서술한다.
위 두 문장은 모두 명령문이다. 그러나 두 번째 문장을 보면 한 문장인 것 같아 보이는데 동사가 두 개 있다. 이는 동사의 법칙을 어긴 게 아니라, <strong>두 문장이 하나로 합쳐진 형태</strong>라서 그렇다. 위와 같은 경우를 [[#중문|중문]], 혹은 [[#복문|복문]]이라 하는데, 아래에 추가적으로 서술한다.


149번째 줄: 149번째 줄:


== 명사 ==
== 명사 ==
영어의 명사는 크게 일반명사(Common nouns)과 고유명사(Proper nouns)으로 나뉜다. <br />
영어의 명사는 크게 일반명사(Common nouns)과 고유명사(Proper nouns)으로 나뉜다. <br/>
일반명사는 Apple와 같이 일반적으로 두루 쓰이는 사물의 이름을 의미하며, 고유명사는 Libre Wiki와 같이 특정한 대상에만 불리는 이름을 의미한다. 다시 명사는 가산명사(Countable nouns)와 불가산명사(Uncountable nouns)로 나뉜다. 가산명사는 말 그대로 셀 수 있는 명사를 불가산 명사는 셀 수 없는 명사를 의미한다.
일반명사는 Apple와 같이 일반적으로 두루 쓰이는 사물의 이름을 의미하며, 고유명사는 Libre Wiki와 같이 특정한 대상에만 불리는 이름을 의미한다. 다시 명사는 가산명사(Countable nouns)와 불가산명사(Uncountable nouns)로 나뉜다. 가산명사는 말 그대로 셀 수 있는 명사를 불가산 명사는 셀 수 없는 명사를 의미한다.


155번째 줄: 155번째 줄:
명사 앞에는 그 대상의 특징을 정의하는 문법적 요소인 관사(article)가 필요하다. 관사는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와 정관사(definite article)로 나뉜다. 명사 앞에는 관사를 붙일 때와 붙이지 않을 때가 있는데, 관사를 꼭 붙여야 할 경우가 있다. be동사의 보어 역할을 하는 명사가 단수일 경우에는 반드시 관사를 붙여야 한다.
명사 앞에는 그 대상의 특징을 정의하는 문법적 요소인 관사(article)가 필요하다. 관사는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와 정관사(definite article)로 나뉜다. 명사 앞에는 관사를 붙일 때와 붙이지 않을 때가 있는데, 관사를 꼭 붙여야 할 경우가 있다. be동사의 보어 역할을 하는 명사가 단수일 경우에는 반드시 관사를 붙여야 한다.


{{인용문2|He is a doctor.(그는 의사이다.) <br />There is an item on the bench. (벤치 위에 무언가가(어떤 물체가) 있다.)}}
{{인용문2|He is a doctor.(그는 의사이다.) <br/>There is an item on the bench. (벤치 위에 무언가가(어떤 물체가) 있다.)}}
의미에 따라 정관사를 붙여야 하는 경우와, 부정관사를 써야 하는 경우가 구별된다. 예를 들어
의미에 따라 정관사를 붙여야 하는 경우와, 부정관사를 써야 하는 경우가 구별된다. 예를 들어
{{인용문2|a book}}
{{인용문2|a book}}
165번째 줄: 165번째 줄:
부정관사는 하나의 물체, 또는 막연하거나 일반적인 것을 지칭하는 관사이며 우리가 흔히 쓰는 a, an이다. 관사 뒤에 오는 단어가 모음(a,e,i,o,u)으로 시작할 경우 an, 자음으로 시작할 경우 a를 사용한다.
부정관사는 하나의 물체, 또는 막연하거나 일반적인 것을 지칭하는 관사이며 우리가 흔히 쓰는 a, an이다. 관사 뒤에 오는 단어가 모음(a,e,i,o,u)으로 시작할 경우 an, 자음으로 시작할 경우 a를 사용한다.


{{인용문2| I have <strong>{{색|#3cdc14|an}} {{색|#dc143c|a}}</strong>pple, and you have <strong>{{색|#3cdc14|a}} {{색|#143cdc|b}}</strong>rush.<br />나는 사과 하나를 가지고 있고, 너는 솔 하나를 가지고 있다.}}
{{인용문2| I have <strong>{{색|#3cdc14|an}} {{색|#dc143c|a}}</strong>pple, and you have <strong>{{색|#3cdc14|a}} {{색|#143cdc|b}}</strong>rush.<br/>나는 사과 하나를 가지고 있고, 너는 솔 하나를 가지고 있다.}}
부정관사는 보통 [[#가산명사|셀 수 있는 명사]]에만 붙일 수 있다.
부정관사는 보통 [[#가산명사|셀 수 있는 명사]]에만 붙일 수 있다.


185번째 줄: 185번째 줄:
|-
|-
| 3인칭 단수 || he/she/it || him/her/it || his/her/- || his/hers/-
| 3인칭 단수 || he/she/it || him/her/it || his/her/- || his/hers/-
|}<br />
|}<br/>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196번째 줄: 196번째 줄:
| 3인칭 복수 || they || them || their || theirs
| 3인칭 복수 || they || them || their || theirs
|}
|}
인칭대명사의 '''주격'''은 대명사가 주어로 사용 될 때 쓰는 대명사이다.<br />
인칭대명사의 '''주격'''은 대명사가 주어로 사용 될 때 쓰는 대명사이다.<br/>


{{인용문2|'''I''' like this computer game.(나는 이 컴퓨터 게임을 좋아한다.)<br />'''You.'''.. '''You''' complete me(넌..넌 날 완성시켜)}}
{{인용문2|'''I''' like this computer game.(나는 이 컴퓨터 게임을 좋아한다.)<br/>'''You.'''.. '''You''' complete me(넌..넌 날 완성시켜)}}
다시 3인칭은 남성에게 사용하는 He, 여성에게 사용하는 She, 사물에게 사용하는 It으로 나뉜다.<br />
다시 3인칭은 남성에게 사용하는 He, 여성에게 사용하는 She, 사물에게 사용하는 It으로 나뉜다.<br/>
{{인용문2|'''He''' who hesitates is lost.(망설이는 자는 기회를 놓친다.)}}
{{인용문2|'''He''' who hesitates is lost.(망설이는 자는 기회를 놓친다.)}}
He는 무언가 위대한, 대단한, 강렬한 것의 대명사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산, 바다, 신, 잔인과 같은 것이 그 예이다.<br />
He는 무언가 위대한, 대단한, 강렬한 것의 대명사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산, 바다, 신, 잔인과 같은 것이 그 예이다.<br/>
{{인용문2|'''She''' is a good student. (그녀는 좋은 학생이다.)}}
{{인용문2|'''She''' is a good student. (그녀는 좋은 학생이다.)}}
She는 교통수단 등 뭔가 포근하고 감싸주는 이미지의 물품의 대명사로도 사용 가능하다. 흔히 사용하는 경우는 배에 그녀라는 호칭을 붙이곤 한다.
She는 교통수단 등 뭔가 포근하고 감싸주는 이미지의 물품의 대명사로도 사용 가능하다. 흔히 사용하는 경우는 배에 그녀라는 호칭을 붙이곤 한다.
{{인용문2|'''It''' is a book( 그건 책이다.)}}
{{인용문2|'''It''' is a book( 그건 책이다.)}}
그런데 it은 경우에 따라 사람을 지칭하는 인칭대명사로도 사용 가능하다.<br />
그런데 it은 경우에 따라 사람을 지칭하는 인칭대명사로도 사용 가능하다.<br/>
{{인용문2|Who is it?}}
{{인용문2|Who is it?}}
이와 같이 문 밖의 누군가를 부를 때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문 밖의 누군가를 부를 때 사용하기도 한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