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노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웹사이트 정보
{{웹사이트 정보
|이름     = 에버노트
| 이름           = Evernote
|원어이름 =  
| 패비콘          = Evernote_favicon.png
|패비콘  =  
| 로고            = evernote_logo_center_512.png
|로고     = [[파일:Evernote Lockup Primary RGB.svg|150px]]
| 로고 크기      =  
|그림     =  
| 로고설명        =
|그림설명 =  
| 그림            =
|URL      = {{URL|https://www.evernote.com/}}
| 그림2          =
|종류     =  
| 그림3          =
|운영    = Evernote Corporation
| 그림 크기      =  
|제작    = Stepan Pachikov
| 설명            =  
|언어    =  
| url            = {{URL|https://www.evernote.com/}}
|시작일   = 2007년
| 표어            =
|종료일   =  
| 영리 여부      = 영리
|회원가입 = 필수
| 종류           =
|라이선스 =  
| 회원 가입      = 필수
|영리여부 = 영리
| 언어            =
|작성언어 =  
| 사용자 수      = 1억 5천만명 이상<ref>2015년 12월, [https://blog.evernote.com/ko/2015/12/18/4-million-users-in-korea/ Evernote Blog (ko)]</ref>
|비고    =  
| 콘텐츠 라이선스 =
| 프로그래밍 언어 =  
| 소유자          = Evernote Corporation
| 제작자          = Stepan Pachikov
| 편집자          =
| 운영자          = Evernote Corporation
| 시작일         = 2007년
| 종료일         = <!-- {{종료일|YYYY|MM|DD}} -->
| 수익            =  
| [[알렉사 인터넷|알렉사]] 순위          =  
| ip              =  
| 현재 상태      = 운영 중
| 각주            =  
}}
}}
'''에버노트'''(Evernote)는 다양한 자료 수집이 가능한 메모 클라우드 서비스다. 메모를 기반으로 웹 사이트나 문서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노트북'이라는 카테고리와 태그를 통해 자료를 원하는 대로 분류하고 찾을 수 있다.
[[분류:웹 사이트]]
[[분류: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분류:문서 편집기]]
 
== 개요 ==
Evernote(에버노트)는 다양한 자료 수집이 가능한 메모 클라우드 서비스다. 메모를 기반으로 웹 사이트나 문서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노트북'이라는 카테고리와 태그를 통해 자료를 원하는 대로 분류하고 찾을 수 있다.  


== 역사 ==
== 역사 ==
27번째 줄: 44번째 줄:


== 기능 ==
== 기능 ==
* 브라우저에 [https://evernote.com/intl/ko/webclipper/ Evernote Web Clipper] 확장 기능을 설치하면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보이는 대로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OS의 공유 기능을 통해 가능하다. <br />유사 서비스인 [[원노트]]에도 웹 클리퍼 기능이 있으나, 에버노트가 웹 페이지의 HTML 정보를 가져오는 데 반해 원노트는 단순히 이미지로 캡쳐하는 방식이다.
* 브라우저에 [https://evernote.com/intl/ko/webclipper/ Evernote Web Clipper] 확장 기능을 설치하면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보이는 대로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OS의 공유 기능을 통해 가능하다. <br />유사 서비스인 [[원노트]]에도 웹 클리퍼 기능이 있으나, 에버노트가 웹 페이지의 HTML 정보를 가져오는 데 반해 원노트는 단순히 이미지로 캡쳐하는 방식이다.  
 
* 무료 사용자는 월 60MB,  프리미엄 사용자는 월 10GB<ref>2018년 4월 초 이전까지 가입 가능하던 플러스는 월 1GB [https://help.evernote.com/hc/ko/articles/209005157-어느-Evernote-제품이-저에게-적합합니까- 어느 Evernote 제품이 저에게 적합합니까? – Evernote 지원 및 도움말]</ref>를 업로드할 수 있다. 총 용량이 아닌 월 업로드 용량이 기준이기 때문에 총 용량은 사실상 무제한으로 늘어날 수 있고, 서비스 등급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ref>대용량 파일이 아닌 노트 클라우드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60MB도 반드시 부족한 것은 아니다. </ref>
* 무료 사용자는 월 60MB,  프리미엄 사용자는 월 10GB<ref>2018년 4월 초 이전까지 가입 가능하던 플러스는 월 1GB [https://help.evernote.com/hc/ko/articles/209005157-어느-Evernote-제품이-저에게-적합합니까- 어느 Evernote 제품이 저에게 적합합니까? – Evernote 지원 및 도움말]</ref>를 업로드할 수 있다. 총 용량이 아닌 월 업로드 용량이 기준이기 때문에 총 용량은 사실상 무제한으로 늘어날 수 있고, 서비스 등급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ref>대용량 파일이 아닌 노트 클라우드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60MB도 반드시 부족한 것은 아니다. </ref>


*[[URL]]를 통한 노트 공유를 지원한다. 때문에 정보 공유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검색 엔진]]으로는 수집되지 않기 때문에 공유하는 내용에 따라서는 [[블로그]]와 같은 다른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URL]]를 통한 노트 공유를 지원한다. 때문에 정보 공유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검색 엔진]]으로는 수집되지 않기 때문에 공유하는 내용에 따라서는 [[블로그]]와 같은 다른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 [[구글 드라이브]]와 연동하여 구글 드라이브의 파일을 노트에 추가할 수 있다. URL 형식으로 추가되기 때문에 용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 노트의 특정 텍스트를 암호화할 수 있다. 모바일의 경우 앱을 잠그는 것도 가능하다.
* [[구글 드라이브]]와 연동하여 구글 드라이브의 파일을 노트에 추가할 수 있다. URL 형식으로 추가되기 때문에 용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 [https://help.evernote.com/hc/ko/articles/208313828 검색 연산자]를 통해 태그와 날짜와 같은 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 알림을 추가하여 To-Do 앱이나 [[캘린더]]처럼 활용할 수 있다. 공식 블로그에서 달력 템플릿을 추가해 사용할 수도 있다.
* 노트의 특정 텍스트를 암호화할 수 있다. 모바일의 경우 앱을 잠그는 것도 가능하다.  
* [[Post-it]]을 카메라로 찍어 색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명함]] 정보를 [[링크드인]]과 연동할 수 있다.
* [https://help.evernote.com/hc/ko/articles/208313828 검색 연산자]를 통해 태그와 날짜와 같은 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 [[몰스킨]]과 함께 수첩을 내놓았다. 함께 제공되는 스티커를 붙여 스마트폰 앱으로 찍으면 스티커 설정에 따라 스캔한 페이지가 분류된다. 구매시 3개월 프리미엄 사용권이 제공된다.
 
* [[IFTTT]]를 통해 [[Pocket]]에 저장한 글을 자동으로 저장한다거나 링크를 포함한 [[트위터|트윗]]을 했을 때 자동으로 저장하는 등 자동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알림을 추가하여 To-Do 앱이나 [[캘린더]]처럼 활용할 수 있다. 공식 블로그에서 달력 템플릿을 추가해 사용할 수도 있다.  
 
* [[Post-it]]을 카메라로 찍어 색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명함]] 정보를 [[링크드인]]과 연동할 수 있다.  
 
* [[몰스킨]]과 함께 수첩을 내놓았다. 함께 제공되는 스티커를 붙여 스마트폰 앱으로 찍으면 스티커 설정에 따라 스캔한 페이지가 분류된다. 구매시 3개월 프리미엄 사용권이 제공된다.  
 
* [[IFTTT]]를 통해 [[Pocket]]에 저장한 글을 자동으로 저장한다거나 링크를 포함한 [[트위터|트윗]]을 했을 때 자동으로 저장하는 등 자동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기타 ==
== 기타 ==
*[https://blog.evernote.com/ko/ 에버노트 블로그]에서는 공지사항과 함께 다양한 에버노트 활용 방법,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RSS]]로 구독할 수 있다.
*[https://blog.evernote.com/ko/ 에버노트 블로그]에서는 공지사항과 함께 다양한 에버노트 활용 방법,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RSS]]로 구독할 수 있다.  
*전 대학 교수인 [[김정운]]이 저서 《에디톨로지》와 강연에서 여러 번 언급하며 에버노트 사용자임을 밝혔다.<ref>[https://youtu.be/I9-ziD54Fns 김정운 교수 "창조는 편집에 있다" 영림원CEO포럼에서 강연], [https://blog.evernote.com/ko/2015/01/08/drkim_editology/ 내 삶을 창조적으로 만드는 데이터베이스- 김정운 박사의 에디톨로지 도구는?]</ref> 만화 [[미생]]》의 작가 [[윤태호]]는 사용자 컨퍼런스에서 자신의 활용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다.<ref>[http://it.donga.com/22431/ 에버노트, 일상의 변화를 이끌다 '유저 컨퍼런스 2015']</ref>
 
*전 대학 교수인 [[김정운]]이 저서 '에디톨로지'와 강연에서 여러 번 언급하며 에버노트 사용자임을 밝혔다.<ref>[https://youtu.be/I9-ziD54Fns 김정운 교수 "창조는 편집에 있다" 영림원CEO포럼에서 강연], [https://blog.evernote.com/ko/2015/01/08/drkim_editology/ 내 삶을 창조적으로 만드는 데이터베이스- 김정운 박사의 에디톨로지 도구는?]</ref> 만화 '[[미생]]'의 작가로 유명한 [[윤태호]]는 사용자 컨퍼런스에서 자신의 활용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다.<ref>[http://it.donga.com/22431/ 에버노트, 일상의 변화를 이끌다 '유저 컨퍼런스 2015']</ref>


{{주석}}
{{주석}}
[[분류:웹 사이트]]
[[분류: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분류:문서 편집기]]
[[분류:2008년 소프트웨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