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넷러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놀이 정보
[[파일:안드로이드 넷러너 로고.png|섬네일|오른쪽]]
|놀이이름 = 안드로이드: 넷러너 더 카드 게임
'''Android: Netrunner the Card Game'''
|원어이름 = Android: Netrunner the Card Game
 
|배경색  =
[https://www.fantasyflightgames.com/en/products/android-netrunner-the-card-game/ 공식 홈페이지(영어)]
|글자색  =
 
|그림    = [[파일:안드로이드 넷러너 로고.png]]
|그림설명 = 로고
|다른이름 =
|제작    = 리처드 가필드, 루카스 리츠싱어, 데이먼 스톤
|미술    =
|배급사  = 판타지 플라이트 게임스
|장르    = [[사이버펑크]] [[TCG]]
|출시일  = 2012년
|인원    = 2명
|언어    = [[영어]]
|시스템  = [[리빙 카드 게임]]
|웹사이트 = [https://www.fantasyflightgames.com/en/products/android-netrunner-the-card-game/ 공식 홈페이지]
|비고    =
}}
== 소개 ==
== 소개 ==
* [http://sbrv.tistory.com/entry/SB%EB%A6%AC%EB%B7%B0-%EC%95%88%EB%93%9C%EB%A1%9C%EC%9D%B4%EB%93%9C-%EB%84%B7%EB%9F%AC%EB%84%88-%EC%86%8C%EA%B0%9C 만화로 그린 게임 설명]
{{youtube|rSt2IhyKYVo|||}}
 
[http://sbrv.tistory.com/entry/SB%EB%A6%AC%EB%B7%B0-%EC%95%88%EB%93%9C%EB%A1%9C%EC%9D%B4%EB%93%9C-%EB%84%B7%EB%9F%AC%EB%84%88-%EC%86%8C%EA%B0%9C 만화로 그린 게임 설명.]


'''안드로이드: 넷러너'''》(Android: Netrunner)[[미국]]의 판타지 플라이트 게임스(Fantasy Flight Games, 약칭 FFG)가 [[리빙 카드 게임]](LCG) 포맷으로 내놓은 [[트레이딩 카드 게임]](TCG)이다. TCG의 선두 주자인 《[[매직: 더 개더링]]》의 제작자인 리처드 가필드(Richard Garfield)가 총괄하여 발매 초기부터 화제가 되었고,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어 2015년 10월 현재 FFG의 LCG 중 가장 잘 나가는 작품이 되었다.
'''안드로이드: 넷러너'''는 미국의 판타지 플라이트 게임스(Fantasy Flight Games, 약칭 FFG)가 [[LCG]] 포맷으로 내놓은 카드게임이다. [[TCG|이쪽 장르]]의 선두주자인 [[매직 더 개더링]]제작자인 리처드 가필드(Richard Garfield)가 총괄하여 발매 초기부터 화제가 되었고,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어 2015년 10월 현재 FFG의 LCG 중 가장 잘 나가는 작품이 되었다.


세계관은 [[사이버펑크]] [[디스토피아]]로, 거대 기업은 아젠다를 진행시키고 러너는 이를 해킹하여 훔쳐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대칭 심리 대전 게임이다.
세계관은 [[사이버펑크]] [[디스토피아]]로, 거대 기업은 아젠다를 진행시키고 러너는 이를 해킹하여 훔쳐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대칭 심리 대전 게임이다.
 
본래 이 게임은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TRPG]] [[사이버펑크2020]]세계관 내에서 활동하는 해커들인 "넷러너"들을 주인공으로 [[1996년]] 가필드가 만든 [[TCG]]를 리메이크한 것으로, FFG의 안드로이드 세계관에 편입되어 [[2012년]]에 스타터팩이라 할 수 있는 코어 셋이 발매되었다. 이제는 LCG쪽이 더 유명하기 때문에 넷러너라 하면 보통 안드로이드 : 넷러너를 의미한다. 리브레 위키에서도 [[넷러너]]로 들어가면 이 문서로 넘겨주게 되어 있다.
본래 이 게임은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TRPG]] [[사이버펑크 2020]]》의 세계관 내에서 활동하는 해커들인 "넷러너"들을 주인공으로 [[1996년]] 가필드가 만든 [[TCG]]를 리메이크한 것으로, FFG의 안드로이드 세계관에 편입되어 [[2012년]]에 스타터팩이라 할 수 있는 코어 셋이 발매되었다. 이제는 LCG 쪽이 더 유명하기 때문에 넷러너라 하면 보통 《안드로이드: 넷러너》를 의미한다.


== 특징 ==
== 특징 ==
56번째 줄: 43번째 줄:
코어 셋의 판매량이 좋았는지<del>이게 다 2코어는 사야 하는 게임이기 때문이다.</del> 2015년 9월, 네 번째 딜럭스인 데이터와 운명(Data and Destiny)와 이어서 나오는 다섯 번째 싸이클인 뭄바드(Mumbad) 싸이클 한글판의 예약구매를 시작하였다. 이번에는 번역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넷러너를 즐긴 게이머들은 번역 관련 베타 테스터로 기용하였다. 이게 효과를 보았는지 데이터와 운명 딜럭스는 번역 관련 잡음이 일지 않았다. 뭄바드 싸이클은 다소 지연되었으며 12월 초에 뜬 공지에 따르면 12월 말에서 16년 1월 초에 뭄바드 싸이클의 배송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코어 셋의 판매량이 좋았는지<del>이게 다 2코어는 사야 하는 게임이기 때문이다.</del> 2015년 9월, 네 번째 딜럭스인 데이터와 운명(Data and Destiny)와 이어서 나오는 다섯 번째 싸이클인 뭄바드(Mumbad) 싸이클 한글판의 예약구매를 시작하였다. 이번에는 번역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넷러너를 즐긴 게이머들은 번역 관련 베타 테스터로 기용하였다. 이게 효과를 보았는지 데이터와 운명 딜럭스는 번역 관련 잡음이 일지 않았다. 뭄바드 싸이클은 다소 지연되었으며 12월 초에 뜬 공지에 따르면 12월 말에서 16년 1월 초에 뭄바드 싸이클의 배송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2015년 11월 중 코어 셋 한국어판이 전량 판매로 품절되었다. 2쇄를 찍으며 논란이 되었던 번역을 수정하였다.
2015년 11월 중 코어 셋 한국어판이 전량 판매로 품절되었다. 2쇄를 찍으며 논란이 되었던 번역을 수정하였다.  
 
[[http://www.divedice.com/shop/gboard/bbs/board.php?bo_table=mtg&wr_id=7629&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C7%D1%B1%DB]]
[http://www.divedice.com/shop/gboard/bbs/board.php?bo_table=mtg&wr_id=7629&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C7%D1%B1%DB]


=== K-모드 / U-모드 ===
=== K-모드 / U-모드 ===
69번째 줄: 55번째 줄:
기업은 네 개의 진영이 있다.
기업은 네 개의 진영이 있다.
==== 하스-바이오로이드(Haas-Bioroid) (약칭 HB) ====
==== 하스-바이오로이드(Haas-Bioroid) (약칭 HB) ====
하스 감독([[Director Haas]])이라 불리는 여성 CEO가 재직 중인 [[독일]]계 추정의 바이오로이드 제작 회사. 본사는 하인라인(Heinlein)이라는 [[달]]의 식민 도시에 위치한다.
하스 감독([[Director Haas]])이라 불리는 여성 CEO가 재직 중인 [[독일]]계 추정의 바이오로이드 제작 회사. 본사는 하인라인(Heinlein)이라는 [[달 (위성)|달]]의 식민 도시에 위치한다.
* 두뇌 피해 : 육체 피해나 넷 피해보다도 강력한 두뇌 피해를 주는 효과를 가진 카드가 많다. 성공 시 효과가 강력한 대신 실제로 피해를 입히기에는 어렵다는 게 단점.
* 두뇌 피해 : 육체 피해나 넷 피해보다도 강력한 두뇌 피해를 주는 효과를 가진 카드가 많다. 성공 시 효과가 강력한 대신 실제로 피해를 입히기에는 어렵다는 게 단점.
* 바이오로이드 아이스 :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난 바이오로이드 아이스들을 보유하고 있다. 대신 상당수 바이오로이드 아이스는 러너가 남은 클릭을 이용하면 깰 수 있다.
* 바이오로이드 아이스 :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난 바이오로이드 아이스들을 보유하고 있다. 대신 상당수 바이오로이드 아이스는 러너가 남은 클릭을 이용하면 깰 수 있다.
114번째 줄: 100번째 줄:


== 용어 ==
== 용어 ==
{{참고|안드로이드: 넷러너/용어}}
{{참조|안드로이드: 넷러너/용어}}


== 게임의 진행 ==
== 게임의 진행 ==
{{참고|안드로이드: 넷러너/진행 방법}}
{{참조|안드로이드: 넷러너/진행 방법}}


== NAPD Most Wanted List ==
== NAPD Most Wanted List ==
2016년 2월 1일부터 모든 공식 일정에 적용되는 개념. 다른 TCG 의 금지/제한과 비슷한 개념이다. NAPD를 풀어쓰면 "New Angeles Police Departmet"로, 룰 명칭은 New Angeles 경찰 지명수배 명단으로 풀이된다.
2016년 2월 1일부터 모든 공식 일정에 적용되는 개념. 다른 TCG 의 금지/제한과 비슷한 개념이다.


리스트에 포함된 카드를 덱에 추가할 경우 그 카드가 자기 팩션이든 아니든 카드라 하여도 '''ID의 최대 영향력 수치를 1 깎는다'''.<ref>ID의 영향력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The Proffessor|교수님]]은 '영향력은 1보다 낮아지지 않는다.'는 세부규칙 때문에 역으로 리스트의 카드를 잔뜩 넣어도 손해가 없다.</ref>예를 들어 노이즈가 목록의 [[Clone Chip]] 세장, [[Parasite (안드로이드: 넷러너)|Parasite]] 세 장을 사용한다면 최대 영향력 수치가 9이고, 그중 6을 벌써 클론 칩에 사용한 게 되는 것.
리스트에 포함된 카드를 덱에 추가할 경우 그 카드가 자기 팩션이든 아니든 카드라 하여도 '''ID의 최대 영향력 수치를 1 깎는다'''.<ref>ID의 영향력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The Proffessor|교수님]]은 '영향력은 1보다 낮아지지 않는다.'는 세부규칙 때문에 역으로 리스트의 카드를 잔뜩 넣어도 손해가 없다.</ref>예를 들어 노이즈가 목록의 [[Clone Chip]] 세장, [[Parasite (안드로이드: 넷러너)|Parasite]] 세 장을 사용한다면 최대 영향력 수치가 9이고, 그중 6을 벌써 클론 칩에 사용한 게 되는 것.
126번째 줄: 112번째 줄:
이 규정은 K모드에는 적용하지 않는 것이 16년 2월 다이브다이스 K모드 대회에서 확인되었다. 물론 카드풀이 넓어지면 정책이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규정은 K모드에는 적용하지 않는 것이 16년 2월 다이브다이스 K모드 대회에서 확인되었다. 물론 카드풀이 넓어지면 정책이 변경될 수도 있다.


16년 2월 1일부터 적용되는 토너먼트 규칙 3.0.2의 NAPD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16년 2월 1일부터 적용되는 토너먼트 규칙 3.0.2의 NAPD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https://www.fantasyflightgames.com/en/news/2015/12/31/napd-security-upgrades/ FFG - NAPD 리스트 공지]
[https://www.fantasyflightgames.com/en/news/2015/12/31/napd-security-upgrades/ FFG - NAPD 리스트 공지]


145번째 줄: 130번째 줄:


== 확장팩 및 카드 목록 ==
== 확장팩 및 카드 목록 ==
{{참고|안드로이드: 넷러너/카드 일람}}
{{참조|안드로이드: 넷러너/카드 일람}}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240번째 줄: 225번째 줄:
|-
|-
! Deluxe 4
! Deluxe 4
| '''운명과 통제'''<br />'''Data and Destiny'''
| '''운명과 통제'''</br>'''Data and Destiny'''
|2015.09
|2015.09
|-
|-
312번째 줄: 297번째 줄:
[[분류:SF 게임]]
[[분류:SF 게임]]
[[분류:트레이딩 카드 게임]]
[[분류:트레이딩 카드 게임]]
[[분류:사이버펑크]]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