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자일리톨 씹으며 쉽게 배우는 핀란드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핀란드어가 너무 쉬워서(?) 저 핀란드로 이민 갈렵니다.}}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핀란드어가 너무 쉬워서(?) 저 핀란드로 이민 갈렵니다.}}
{{도와주세요! 리브레 선생님!|시리즈토론:자일리톨 씹으며 쉽게 배우는 핀란드어|도와주세요! 리브레 핀란드어 선생님! 코너 바로가기}}


==Tervetuloa!(개요)==
==Tervetuloa!(개요)==
93번째 줄: 94번째 줄:
| Hyvää päivää || 좋은 날 보내세요
| Hyvää päivää || 좋은 날 보내세요
|}
|}
참고로, 핀란드어에서 말을 잠깐 끌을 때, 'no'라는 단어를 쓰는데, 영어의 것과 같은 부정의 의미는 아니고 그냥 '그럼'이라는 뜻입니다. 대명사는 다음과 같으며, 주어가 1, 2인칭인 경우에는 종종 주어가 생략됩니다.
참고로, 핀란드어에서 말을 잠깐 끌을 때, 'no'라는 단어를 쓰는데, 영어의 것과 같은 부정의 의미는 아니고 그냥 '그럼'이라는 뜻입니다. 대명사는 다음과 같으며, 주어가 1, 2인칭이거나 se인 경우에는 종종 주어가 생략됩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124번째 줄: 125번째 줄:
|-
|-
! 1인칭
! 1인칭
| olen<br />(-n) || olemme<br />(-mme)
| olen<br/>(-n) || olemme<br/>(-mme)
|-
|-
! 2인칭
! 2인칭
| olet<br />(-t) || olette<br />(-tte)
| olet<br/>(-t) || olette<br/>(-tte)
|-
|-
! 3인칭
! 3인칭
| on(불규칙)<br />(마지막 모음을 장음으로) || ovat(불규칙)<br />(-vat/-vät)
| on(불규칙)<br/>(마지막 모음을 장음으로) || ovat(불규칙)<br/>(-vat/-vät)
|}
|}


188번째 줄: 189번째 줄:
* (häne'''n''') hiiri'''nsä''': 그의 쥐
* (häne'''n''') hiiri'''nsä''': 그의 쥐
* (hei'''dän''') käärme'''nsä''': 그들의 뱀
* (hei'''dän''') käärme'''nsä''': 그들의 뱀
* Korea'''n''' niemimaa: 한반도
* Korean niemimaa: 한반도
-n 외에도 '-ni, -mme, -si, -nne, -nsa/-nsä'도 각각 '나의, 우리의, 너의, 너희의, 그(들)의'의 뜻을 갖는 어미입니다. 문어체에서는 속격과 함께 쓰이지만, 구어체에서는 속격만 쓰입니다.
-n 외에도 '-ni, -mme, -si, -nne, -nsa/-nsä'도 각각 '나의, 우리의, 너의, 너희의, 그(들)의'의 뜻을 갖는 어미입니다. 문어체에서는 속격과 함께 쓰이지만, 구어체에서는 속격만 쓰입니다.


230번째 줄: 231번째 줄:
;주격
;주격
* 정해진 물건
* 정해진 물건
*# Onko sinulla kirja?: 너에게 그 책이 있니?
*# Onko sinulla kirja: 너에게 그 책이 있니?


;목적격<ref>엄밀히 말하면 목적격은 대명사에만 있고 대명사의 목적격은 -t를 붙여 만듭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명사에서는 속격(-n)이 목적격을 겸합니다.</ref>
;목적격<ref>주격과 모양이 같기도 하고, 속격과 모양이 같기도 하고, 주격에 -t가 붙은 형태가 되기도 합니다.</ref>
* 완료나 예정
* 완료나 예정
*# Minä ammuin karhu'''n''': 나는 곰을 쏘았다.(맞혔다.)
*# Minä ammuin karhu'''n''': 나는 곰을 쏘았다.(맞혔다.)
*# Minä luen kirja'''n''': 나는 책을 읽겠다.
*# Minä luen kirja'''n''': 나는 책을 읽겠다.
* 전체
*# Minä luin kirja'''n''': 나는 책을(전체를) 읽었다.


;부분격(-a/-ä, -ta/-tä)
;부분격(-a/-ä, -ta/-tä)
243번째 줄: 242번째 줄:
*# kahta talo'''a''': 두 집
*# kahta talo'''a''': 두 집
*# sataa lintu'''a''': 수백 마리의 새
*# sataa lintu'''a''': 수백 마리의 새
* 미완료나 진행<ref>행위의 종결 여부가 불분명하거나, 목적어에게 행위를 계속하고 있는 중인 상태 등</ref>
* 미완료나 진행
*# Minä ammuin karhu'''a''': 나는 곰을 쏘았다.(그러나 맞힌 건진 모르겠다...)
*# Minä ammuin karhu'''a''': 나는 곰을 쏘았다.(그러나 맞힌 건진 모르겠다...)
*# Minä puhun korea'''a''' ja suome'''a''': 나는 한국어와 핀란드어를 말한다.
*# Minä puhun korea'''a''' ja suome'''a''': 나는 한국어와 핀란드어를 말한다.
*# Minä luen kirja'''a''': 나는 책을 읽고 있다.
*# Minä luen kirja'''a''': 나는 책을 읽고 있다.
*# Minä luin kirja'''a''': 나는 책을 읽고 있었다.
* 감정동사의 목적어
* 감정동사의 목적어
*# Minä rakastan sinu'''a''': 나는 너를 사랑한다.
*# Minä rakastan sinu'''a''': 나는 너를 사랑한다.
263번째 줄: 261번째 줄:
* 인사말
* 인사말
*# Hyvä'''ä''' huomen'''ta''': 좋은 아침이에요.
*# Hyvä'''ä''' huomen'''ta''': 좋은 아침이에요.
위에서 몇몇 문장들을 비교해 보면서 격들의 쓰임을 구분해 봅시다.
* 주격(특정) vs 부분격(부정)
*# Onko sinulla kirja?: 너에게 그 책이 있니?
*# Onko sinulla kirja'''a'''?: 너에게 아무 책이라도 있니?
* 목적격(행위의 완료) vs 부분격(행위 완료 여부가 불분명)
*# Minä ammuin karhu'''n''': 나는 곰을 쏘았다.(맞혔다.)
*# Minä ammuin karhu'''a''': 나는 곰을 쏘았다.(그러나 맞힌 건진 모르겠다...)
* 목적격(미래) vs 부분격(현재진행)
*# Minä luen kirja'''n''': 나는 책을 읽겠다.
*# Minä luen kirja'''a''': 나는 책을 읽고 있다.
* 목적격(과거 및 행위의 완료) vs 부분격(과거진행)
*# Minä luin kirja'''n''': 나는 책을(전체를) 읽었다.
*# Minä luin kirja'''a''': 나는 책을 읽고 있었다.


; 새로운 단어
; 새로운 단어
310번째 줄: 293번째 줄:
# 재내격(-ssa/-ssä): '~ 안에'라는 뜻입니다.
# 재내격(-ssa/-ssä): '~ 안에'라는 뜻입니다.
# 탈내격(-sta/-stä): '~ 안에서'라는 뜻입니다. 그 외, mennä나 tykätä 등의 동사의 목적어로 쓰입니다.
# 탈내격(-sta/-stä): '~ 안에서'라는 뜻입니다. 그 외, mennä나 tykätä 등의 동사의 목적어로 쓰입니다.
# 향내격(-Vn<ref>V는 어말의 모음을 뜻하며, 이 경우는 어말 모음을 장음으로 한 뒤 n을 붙이라는 뜻입니다.</ref>, -hVn): '~안으로'라는 뜻입니다.
# 향내격(-Vn<ref>V는 어말의 모음을 뜻하며, 이 경우는 어말 모음을 장음으로 한 뒤 n을 붙이라는 뜻입니다.</ref>, -hVn, -siin, -seen): '~안으로'라는 뜻입니다.
# 재외격(-lla/-llä): '~ 밖에/에게'라는 뜻이며, 상술했듯이 '가지다'라는 뜻을 갖기도 합니다.
# 재외격(-lla/-llä): '~ 밖에/에게'라는 뜻이며, 상술했듯이 '가지다'라는 뜻을 갖기도 합니다.
# 탈외격(-lta/-ltä): '~ 밖에서/에게서'라는 뜻입니다.
# 탈외격(-lta/-ltä): '~ 밖에서/에게서'라는 뜻입니다.
327번째 줄: 310번째 줄:
* kuuluisa: 유명한
* kuuluisa: 유명한
* sana: 단어
* sana: 단어
** sanakirja: 단어사전
** sanakirja: 사전
* länsi(län-/länne-/länte-): 서쪽
* länsi(län-/länne-/länte-): 서쪽
** luode: 북서쪽
** luode: 북서쪽
428번째 줄: 411번째 줄:
! width="10%" | 10
! width="10%" | 10
|-
|-
| yksi || kaksi || kolme || neljä || viisi || kuusi<ref>중요한 사실은 아니지만 '가문비나무'나 '너의 달'도 kuusi라 쓴다.</ref> || seitsemän || kahdeksan || yhdeksän || kymmenen
| yksi || kaksi || kolme || neljä || viisi || kuusi || seitsemän || kahdeksan || yhdeksän || kymmenen
|-
|-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472번째 줄: 455번째 줄:


; 예문
; 예문
* On viisi euroa: 5유로입니다.
* On viisi euroa: 이것은 5유로입니다.
* Linuja on sata: 새가 백 마리 있다.
* lintuja on sata: 새가 백 마리 있다.


; 새로운 단어
; 새로운 단어
660번째 줄: 643번째 줄:
* heinä: 건초
* heinä: 건초
* elo: 삶
* elo: 삶
* syksy(syys): 가을
* syys: 가을
* marras(marra-/marta-): 영혼
* marras(marra-/marta-): 영혼
* joulu: 크리스마스
* joulu: 크리스마스


===Koiramme ei pure.(부정문)===
===Koiramme ei pure.(부정문)===
핀란드어에서 부정문은 ei(아니다, 않다)라는 동사를 이용해 만듭니다. ei는 동사임에도 유일하게 a로 끝나지 않는 동사입니다. 게다가 다른 동사처럼 활용하기도 합니다. ei 동사 뒤에 다른 동사가 올 적에는 인칭어미만 뗀 부분을 씁니다. 목적어는 부분격을 씁니다.
핀란드어에서 부정문은 ei(아니다, 않다)라는 동사를 이용해 만듭니다. ei는 동사임에도 유일하게 a로 끝나지 않는 동사입니다. 게다가 다른 동사처럼 활용하기도 합니다. ei 동사 뒤에 다른 동사가 올 적에는 인칭어미만 뗀 부분을 씁니다.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719번째 줄: 702번째 줄:
* On'''ko''' sinulla vihreä vyö?: 너 초록색 벨트 갖고 있니?
* On'''ko''' sinulla vihreä vyö?: 너 초록색 벨트 갖고 있니?
* '''Mitä''' sinä haluat?: 너는 무엇을 원하니?
* '''Mitä''' sinä haluat?: 너는 무엇을 원하니?
* '''Miksi''' suomi on tärkeä?: 왜 핀란드어가 중요합니까?
* '''Miksi''' suomi on terkeä?: 왜 핀란드어가 중요합니까?
* '''Millainen''' maa Korea on?: 한국은 어떤 나라입니까?
* '''Millainen''' maa Korea on?: 한국은 어떤 나라입니까?
* '''Kuinka''' vanha olet?: [[꼰대|너 몇 살이야?]]
* '''Kuinka''' vanha olet?: [[꼰대|너 몇 살이야?]]
725번째 줄: 708번째 줄:
* '''Kuinka''' voin auttaa sinua?: 제가 어떻게 도와 드릴까요?
* '''Kuinka''' voin auttaa sinua?: 제가 어떻게 도와 드릴까요?
* '''Mitä''' kieltä sinä osaat puhua?: 당신은 어떤 언어를 할 수 있나요?
* '''Mitä''' kieltä sinä osaat puhua?: 당신은 어떤 언어를 할 수 있나요?
* '''Missä''' talosi on?: 네 집은 어디에 있니?
* '''Missä''' on talosi?: 네 집은 어디에 있니?
* '''Mitä''' haluat? mehua'''ko'''? Vai jäätelöä'''kö'''?: 넌 뭘 원하니? 주스? 아니면 아이스크림?(택일형)
* '''Mitä''' haluat? mehua'''ko'''? Vai jäätelöä'''kö'''?: 넌 뭘 원하니? 주스? 아니면 아이스크림?(선다형)
* '''Mitä''' haluat? mehua'''ko'''? Tai jäätelöä'''kö'''?: 넌 뭘 원하니? 주스? 또는 아이스크림?('모두 고르시오'형)
* '''Mitä''' haluat? mehua'''ko'''? Tai jäätelöä'''kö'''?: 넌 뭘 원하니? 주스? 또는 아이스크림?('모두 고르시오'형)
* '''Mikä''' nimesi on?: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Mikä''' nimeni on?: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Kuka''' sinä olet?: 당신은 누굽니까?
* '''Kuka''' sinä olet?: 당신은 누굽니까?
* '''Kuka''' poika ja tyttö ovat?: 그 소년하고 그 소녀는 누구야?
* '''Kuka''' poika ja tyttö ovat?: 그 소년하고 그 소녀는 누구야?
737번째 줄: 720번째 줄:
* vihreä: 초록색의
* vihreä: 초록색의
* vyö: 벨트
* vyö: 벨트
* tärkeä: 중요한
* terkeä: 중요한
* vanha: 늙은, 낡은
* vanha: 늙은, 낡은
** ↔nuori: 젊은
** ↔nuori: 젊은
** vanheta(vanhen-): 늙다
** vanheta(vanhen-): 늙다
* voida(voi-): 할 수 있다(가능성, 능력/방법 등)
* voida(voi-): 할 수 있다(가능성, 능력/방법 등)
* auttaa(autta-/auta-/autto-/auto-): 돕다
* osata(osaa-): 할 수 있다(능력/방법)
* osata(osaa-): 할 수 있다(능력/방법)
* talo: 집
* talo: 집
755번째 줄: 737번째 줄:


===Venäläiset menkää kotiin!(명령)===
===Venäläiset menkää kotiin!(명령)===
명령은 1인칭 단수를 빼고 나머지 인칭은 다 있고, 미완료와 완료로 나뉩니다. 다만, 쓰는 것은 대부분 2인칭이니, 지금은 2인칭만 배웁시다. 2인칭 단수일 때에는 비과거 미완료 시제에서 인칭 어미만 뗀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2인칭 복수는 어근에 -kaa/-kää를 붙인 것과 같습니다. 단, 하지 말라고 할 때에는 ei가 아니라 älä를 씁니다. 2인칭 단수는 앞에 älä를 쓰기만 하면 되고, 2인칭 복수는 älkää를 쓰되 뒷부분은 2인칭 단수 명령에 -ko/-kö를 붙인 것을 씁니다.
명령은 1인칭 단수를 빼고 나머지 인칭은 다 있고, 미완료와 완료로 나뉩니다. 다만, 쓰는 것은 대부분 2인칭ㅇㅣ니, 지금은 2인칭만 배웁시다. 2인칭 단수일 때에는 비과거 미완료 시제에서 인칭 어미만 뗀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2인칭 복수는 어근에 -kaa/-kää를 붙인 것과 같습니다. 단, 하지 말라고 할 때에는 ei가 아니라 älä를 씁니다. 2인칭 단수는 앞에 älä를 쓰기만 하면 되고, 2인칭 복수는 älkää를 쓰되 뒷부분은 2인칭 단수 명령에 -ko/-kö를 붙인 것을 씁니다.


;예문
;예문
788번째 줄: 770번째 줄:


===Minä halusin huutaa näin kerran.(과거시제)===
===Minä halusin huutaa näin kerran.(과거시제)===
과거 시제는 모두 규칙입니다. 제4 유형의 동사는 어간에 -si-를 붙이고, 그 외의 동사는 어간에 -i-를 붙여서 나타냅니다. 예컨대, olla는 어간이 ol(e)-이니, 인칭에 따라 olin, olimme, olit, olitte, oli, olivat으로 나타냅니다. 과거 시제에서는 3인칭 단수일 때에도 i를 장음으로 하지 않습니다.
과거 시제는 모두 규칙입니다. 제4 유형의 동사는 어간에 -si-를 붙이고, 그 외의 동사는 어간에 -i-를 붙여서 나타냅니다. 예컨대, olla는 어간이 ol-이니, 인칭에 따라 olin, olimme, olit, olitte, oli, olivat으로 나타냅니다. 과거 시제에서는 3인칭 단수일 때에도 i를 장음으로 하지 않습니다.


;예문
;예문
919번째 줄: 901번째 줄:


; 새로운 단어
; 새로운 단어
* tietää(tietä-/tiedä-/tie-): 알다(개념 및 표면적인 지식)
* tietää(tietä-/tiedä-/ties-): 알다
** tuntea(tunte-/tunne-/tun-): 알다(전문적이거나 깊은 지식)
** ex) Tiedän häntä, mutta en tunne häntä.[나는 그(의 이름 같은 얕은 정보)를 알지만, 나는 그(의 병력 같은 깊은 정보)를 모른다.]
* kuulla(kuull-/kuul-): 듣다
* kuulla(kuull-/kuul-): 듣다
* kirjailla(kirjaill-/kirjail-): 책을 쓰다
* kirjailla(kirjaill-/kirjail-): 책을 쓰다
964번째 줄: 944번째 줄:
# 3인칭 대명사가 비인간으로 흡수
# 3인칭 대명사가 비인간으로 흡수
# 인접한 단어 사이에서 연음이 일어나기도 함.
# 인접한 단어 사이에서 연음이 일어나기도 함.
# 부분격을 어말 모음의 장음화로 나타냄.
# 부분격을 어말 모음을 장음으로 하여 나타냄.
# d가 ð로, tt나 ts가 θ로 발음되기도 함.
# d가 ð로, tt나 ts가 θ로 발음되기도 함.
# 의문문에 쓰는 어미(-ko/-kö)를 -ks로 쓰기도 함.
# 의문문에 쓰는 어미(-ko/-kö)를 -ks로 쓰기도 함.
1,457번째 줄: 1,437번째 줄:
| 형용사
| 형용사
|-
|-
| terve || 안녕하세요<br />건강한, 평안한 || {{숨김 시작|<center>tervee-/terve-</center>}}
| terve || 안녕하세요<br/>건강한, 평안한 || {{숨김 시작|<center>tervee-/terve-</center>}}
<center>
<center>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1,490번째 줄: 1,470번째 줄:
</center>
</center>
{{숨김 끝}}
{{숨김 끝}}
| 감탄사<br />형용사
| 감탄사<br/>형용사
|-
|-
| tervetuloa || 환영합니다 || <center>terve(건강한) + tul-(오다; tulla) + -o(명사 파생 접사) + -a(부분격)</center>
| tervetuloa || 환영합니다 || <center>terve(건강한) + tul-(오다; tulla) + -o(명사 파생 접사) + -a(부분격)</center>
| 감탄사
| 감탄사
|-
|-
| kiitos || 고맙습니다<br />고마움 || <center>kiit-(찬양 고무하다; kiittä) + -os(명사 파생 접사)</center>
| kiitos || 고맙습니다<br/>고마움 || <center>kiit-(찬양 고무하다; kiittä) + -os(명사 파생 접사)</center>
{{숨김 시작|<center>kiitokse-.kiitoks-</center>}}
{{숨김 시작|<center>kiitokse-.kiitoks-</center>}}
<center>
<center>
1,529번째 줄: 1,509번째 줄:
</center>
</center>
{{숨김 끝}}
{{숨김 끝}}
| 감탄사<br />명사
| 감탄사<br/>명사
|-
|-
| euro || 유로 || {{숨김 시작|<center>euro-</center>}}
| euro || 유로 || {{숨김 시작|<center>euro-</center>}}
1,639번째 줄: 1,619번째 줄:
| 명사
| 명사
|-
|-
| -lainen<sup>1</sup><br />-läinen<sup>1</sup> || ~ 지역의, ~ 지역의 사람,<br />~ 하는 사람, ××주의자 || {{숨김 시작|1=<center>-laise-/-lais-(양성, 중성)<br />-läise-/-läis-(음성)</center>}}
| -lainen<sup>1</sup><br/>-läinen<sup>1</sup> || ~ 지역의, ~ 지역의 사람,<br/>~ 하는 사람, ××주의자 || {{숨김 시작|1=<center>-laise-/-lais-(양성, 중성)<br/>-läise-/-läis-(음성)</center>}}
<br clear="both" />
<br clear="both" />
<center>
<center>
1,645번째 줄: 1,625번째 줄:
! 격 !! 단수 !! 복수
! 격 !! 단수 !! 복수
|-
|-
| 주격 || -lainen<br />-läinen || -laiset<br />-läiset
| 주격 || -lainen<br/>-läinen || -laiset<br/>-läiset
|-
|-
| 목적격 || -lainen, -laisen<br />-läinen, -läisen || -laiset<br />-läiset
| 목적격 || -lainen, -laisen<br/>-läinen, -läisen || -laiset<br/>-läiset
|-
|-
| 속격 || -laisen<br />-läisen || -laisten, -laisein<br />-läisten, -läisein
| 속격 || -laisen<br/>-läisen || -laisten, -laisein<br/>-läisten, -läisein
|-
|-
| 부분격 || -laista<br />-läista || -laisia<br />-läisiä
| 부분격 || -laista<br/>-läista || -laisia<br/>-läisiä
|-
|-
| 재내격 || -laisessa<br />-läisessä || -laisissa<br />-läisissä
| 재내격 || -laisessa<br/>-läisessä || -laisissa<br/>-läisissä
|-
|-
| 탈내격 || -laisesta<br />-läisestä || -laisista<br />-läisistä
| 탈내격 || -laisesta<br/>-läisestä || -laisista<br/>-läisistä
|-
|-
| 향내격 || -laiseen<br />-läiseen || -laisiin<br />-läisiin
| 향내격 || -laiseen<br/>-läiseen || -laisiin<br/>-läisiin
|-
|-
| 재외격 || -laisella<br />-läisella || -laisilla<br />-läisillä
| 재외격 || -laisella<br/>-läisella || -laisilla<br/>-läisillä
|-
|-
| 탈외격 || -laiselta<br />-läiseltä || -laisilta<br />-läisiltä
| 탈외격 || -laiselta<br/>-läiseltä || -laisilta<br/>-läisiltä
|-
|-
| 향외격 || -laiselle<br />-läiselle || -laisille<br />-läisille
| 향외격 || -laiselle<br/>-läiselle || -laisille<br/>-läisille
|-
|-
| 양격 || -laisena<br />-läisenä || -laisina<br />-läisinä
| 양격 || -laisena<br/>-läisenä || -laisina<br/>-läisinä
|-
|-
| 변화격 || -laiseksi<br />-läiseksi || -laisiksi<br />-läisiksi
| 변화격 || -laiseksi<br/>-läiseksi || -laisiksi<br/>-läisiksi
|-
|-
| 부재격 || -laisetta<br />-läisettä || -laisitta<br />-läisittä
| 부재격 || -laisetta<br/>-läisettä || -laisitta<br/>-läisittä
|}
|}
</center>
</center>
{{숨김 끝}}
{{숨김 끝}}
<br clear="both" />
<br clear="both" />
<center>※Venäjä(러시아)에 이 접미사가 붙을 때엔 Venäläinen,<br />la/lä로 끝나는 지명에 이 접미사가 붙을 때엔 -inen만 붙인다.</center>
<center>※Venäjä(러시아)에 이 접미사가 붙을 때엔 Venäläinen,<br/>la/lä로 끝나는 지명에 이 접미사가 붙을 때엔 -inen만 붙인다.</center>
| 접미사
| 접미사
|-
|-
| -lainen<sup>2</sup><br />-läinen<sup>2</sup> || ''형용사 파생 접사'',<br />''형용사의 속격에 붙어 형용사의 의미를 축소하는 접사'' || {{숨김 시작|1=<center>-laise-/-lais-(양성, 중성)<br />-läise-/-läis-(음성)</center>}}
| -lainen<sup>2</sup><br/>-läinen<sup>2</sup> || ''형용사 파생 접사'',<br/>''형용사의 속격에 붙어 형용사의 의미를 축소하는 접사'' || {{숨김 시작|1=<center>-laise-/-lais-(양성, 중성)<br/>-läise-/-läis-(음성)</center>}}
<br clear="both" />
<br clear="both" />
<center>
<center>
1,683번째 줄: 1,663번째 줄:
! 격 !! 단수 !! 복수
! 격 !! 단수 !! 복수
|-
|-
| 주격 || -lainen<br />-läinen || -laiset<br />-läiset
| 주격 || -lainen<br/>-läinen || -laiset<br/>-läiset
|-
|-
| 목적격 || -lainen, -laisen<br />-läinen, -läisen || -laiset<br />-läiset
| 목적격 || -lainen, -laisen<br/>-läinen, -läisen || -laiset<br/>-läiset
|-
|-
| 속격 || -laisen<br />-läisen || -laisten, -laisein<br />-läisten, -läisein
| 속격 || -laisen<br/>-läisen || -laisten, -laisein<br/>-läisten, -läisein
|-
|-
| 부분격 || -laista<br />-läistä || -laisia<br />-läisiä
| 부분격 || -laista<br/>-läistä || -laisia<br/>-läisiä
|-
|-
| 재내격 || -laisessa<br />-läisessä || -laisissa<br />-läisissä
| 재내격 || -laisessa<br/>-läisessä || -laisissa<br/>-läisissä
|-
|-
| 탈내격 || -laisesta<br />-läisestä || -laisista<br />-läisistä
| 탈내격 || -laisesta<br/>-läisestä || -laisista<br/>-läisistä
|-
|-
| 향내격 || -laiseen<br />-läiseen || -laisiin<br />-läisiin
| 향내격 || -laiseen<br/>-läiseen || -laisiin<br/>-läisiin
|-
|-
| 재외격 || -laisella<br />-läisellä || -laisilla<br />-läisillä
| 재외격 || -laisella<br/>-läisellä || -laisilla<br/>-läisillä
|-
|-
| 탈외격 || -laiselta<br />-läiseltä || -laisilta<br />-läisiltä
| 탈외격 || -laiselta<br/>-läiseltä || -laisilta<br/>-läisiltä
|-
|-
| 향외격 || -laiselle<br />-läiselle || -laisille<br />-läisille
| 향외격 || -laiselle<br/>-läiselle || -laisille<br/>-läisille
|-
|-
| 양격 || -laisena<br />-läisenä || -laisina<br />-läisinä
| 양격 || -laisena<br/>-läisenä || -laisina<br/>-läisinä
|-
|-
| 변화격 || -laiseksi<br />-läiseksi || -laisiksi<br />-läisiksi
| 변화격 || -laiseksi<br/>-läiseksi || -laisiksi<br/>-läisiksi
|-
|-
| 부재격 || -laisetta<br />-läisettä || -laisitta<br />-läisittä
| 부재격 || -laisetta<br/>-läisettä || -laisitta<br/>-läisittä
|}
|}
</center>
</center>
1,748번째 줄: 1,728번째 줄:
| 대명사
| 대명사
|-
|-
| mikä || ''관계 대명사''<br />무엇<br />무엇이든 || {{숨김 시작|<center>mi-</center>}}
| mikä || ''관계 대명사''<br/>무엇<br/>무엇이든 || {{숨김 시작|<center>mi-</center>}}
<center>
<center>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1,783번째 줄: 1,763번째 줄:
| 대명사
| 대명사
|-
|-
| kuka || ''관계 대명사''<br />누구<br />누구든 || {{숨김 시작|<center>ku-/ke-/kene-</center>}}
| kuka || ''관계 대명사''<br/>누구<br/>누구든 || {{숨김 시작|<center>ku-/ke-/kene-</center>}}
<center>
<center>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