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성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소'''(蘇, 蕭, 邵)씨는 [[한국]] [[중국]]의 [[성씨]]이다.
'''소'''(蘇, 蕭, 邵)씨는 한국 및 중국의 성씨이다.
 


== 깨어날 소 蘇 ==
== 깨어날 소 蘇 ==
=== 한국 ===
=== 한국 ===
'''소'''(蘇)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9,552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69위이다. 본관은 '''[[진주 소씨]]'''(晋州 蘇氏) 단본이다.
'''소'''(蘇)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9,552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69위이다. 본관은 '''[[진주 소씨]]'''(晋州 蘇氏) 단본이다.  


요 임금의 후손인 기곤오가 소성의 하백에 봉해지고 기원전 2266년 소성이 [[단군조선]]에 영속되었으며 기씨를 소씨로 고쳐서 소씨가 생겼다고 한다. 소곤오(기곤오)의 후손이 [[신라]] 6부 촌장 중의 한사람인 돌산 고허촌(突山 高墟村)의 '''소벌도리'''(蘇伐都利)라고 전해지나 후대의 윤색으로 여겨진다.
요임금의 후손인 기곤오가 소성의 하백에 봉해지고 기원전2266년 소성이 [[단군조선]]에 영속되었으며 기씨를 소씨로 고쳐서 소씨가 생겼다고 한다. 소곤오(기곤오)의 후손이 [[신라]] 6부 촌장 중의 한사람인 돌산 고허촌(突山 高墟村)의 '''소벌도리'''(蘇伐都利)라고 전해지나 후대의 윤색으로 여겨진다.  


[[진주 소씨]]의 시조는 소벌도리의 25세손이며 [[신라]] [[진덕여왕]] 때의 상대등인 '''소경'''이다. 소경은 진골귀족의 수장으로서 왕이 될 수 있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진주로 낙향하여 진주 소씨의 직계조상이 되었다. 신라는 엄격한 신분사회로써 각각 신분에 따라 옷 색이 다르고 집 크기가 다르며 관직을 맡을 한계가 있었다. 왕은 부계 모계 모두 왕족인 성골이어야 하고 최고 관직인 상대등, 각간은 한쪽만 왕족인 진골이 아니면 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26대 진평왕에 이르러 성골 남자는 아무도 없어 할 수 없이 성골 여자 [[선덕여왕]]이 생겼으며 또 그 뒤를 사촌동생 진덕여왕이 계승하게 되었다. 진덕여왕은 진골귀족 중 최고 서열과 전공(戰功)이 뛰어난 소경을 상대등으로 삼고 국정을 주도케 하였다. 진덕여왕이 승하하자 이제는 진골 중에서 왕을 추대할 수밖에 없는데 77세의 소경은 이때 신노(身老)하다 하여 젊은 진골 중 국제적 명성이 있는 [[김춘추]]를 대신 추천함으로써 태종무열왕이 되게 하였다. 태종무열왕은 소경의 덕행에 보답하는 뜻으로 소경의 24대조인 소벌도리를 문열왕(文烈王)으로 추봉하였다. 15세손 소계령은 [[고려 헌종]] 때 이부상서가 되었으며 딸이 회순왕후(懷純王后)로 봉해져 진산부원군이 되었고 그 후 원종2년에 무숭공(戊崇公)께서 진주로 관향을 공인받게 되었다.
[[진주 소씨]]의 시조는 소벌도리의 25세손이며 진덕여왕 때의 상대등인 '''소경'''이다. 소경은 진골귀족의 수장으로서 왕이 될 수 있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진주로 낙향하여 우리의 직계조상이 되었다. 신라는 엄격한 신분사회로써 각각 신분에 따라 옷 색이 다르고 집 크기가 다르며 관직을 맡을 한계가 있었다. 왕은 부계 모계 모두 왕족인 성골이어야 하고 최고 관직인 상대등, 각간은 한쪽만 왕족인 진골이 아니면 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26대 진평왕에 이르러 성골 남자는 아무도 없어 할 수 없이 성골 여자 선덕여왕이 생겼으며 또 그 뒤를 사촌동생 진덕여왕이 계승하게 되었다. 진덕여왕은 진골귀족 중 최고 서열과 전공(戰功)이 뛰어난 소경을 상대등으로 삼고 국정을 주도케 하였다. 진덕여왕이 승하하자 이제는 진골 중에서 왕을 추대할 수밖에 없는데 77세의 소경은 이때 신노(身老)하다 하여 젊은 진골 중 국제적 명성이 있는 김춘추를 대신 추천함으로써 태종무열왕이 되게 하였다. 태종무열왕은 소경의 덕행에 보답하는 뜻으로 소경의 24대조인 소벌도리를 문열왕(文烈王)으로 추봉하였다. 15세손 소계령은 [[고려 헌종]] 때 이부상서가 되었으며 딸이 회순왕후(懷純王后)로 봉해져 진산부원군이 되었고 그 후 원종2년에 무숭공(戊崇公)께서 진주로 관향을 공인받게 되었다.


《진주소씨족보》(1935년)나 《씨족원류》에 의하면 진주 소씨의 시조는 고려 말기의 '''[[소희철]]'''(蘇希哲)이다. 소희철은 상호군(上護軍)이었으며, [[소희철]]의 후손 [[소세량]](蘇世良)은 문과 출신으로 벼슬이 대사성(大司成)이었다. 소세량의 아우 [[소세양]](蘇世讓)도 문과 출신으로 벼슬이 찬성(贊成)과 대제학(大提學)에 이르렀고 문정(文靖)이란 시호를 받았다.
『진주소씨족보』(1935)나 『씨족원류』에 의하면 [[진주 소씨]]의 시조는 고려 말기의 '''소희철'''(蘇希哲)이다. [[소희철]](蘇希哲)은 상호군(上護軍)이었으며, [[소희철]]의 후손 소세량(蘇世良)은 문과 출신으로 벼슬이 대사성(大司成)이었다. [[소세량]]의 아우 [[소세양]](蘇世讓)도 문과 출신으로 벼슬이 찬성(贊成)과 대제학(大提學)에 이르렀고 문정(文靖)이란 시호를 받았다.


=== 중국 ===
=== 중국 ===
'''소'''(蘇, 병음 Su)씨는 중국 성씨 순위 41위이며, 대략 일곱 계통이 있다. [[초나라]]에 병합된 [[소나라]], 고대 중국의 [[중국의 소수민족|소수민족]], [[북위]] [[선비족]] 세 가지 계통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위구르]]과 유사한 유고족(裕固族), [[이족]], [[창족]] 등이 창성했다고 한다. 인물로는 당나라의 장군 [[소정방]](蘇定方)이 있다.
'''소'''(蘇, 병음 Su)씨는 중국 성씨 순위 41위이며, 대략 7가지 계통이 있다. [[초나라]]에 병합된 [[소나라]], 고대 중국의 [[중국의 소수민족|소수민족]], [[북위]] [[선비족]] 3가지 계통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위구르]]과 유사한 유고족(裕固族), [[이족]], [[창족]]등이 창성했다고 한다. 인물로는 당나라의 장군 [[소정방]](蘇定方)이 있다.


=== 베트남 ===
=== 베트남 ===
18번째 줄: 19번째 줄:


== 나라 소 邵 ==
== 나라 소 邵 ==
'''소'''(邵, 병음 Hao)씨는 한국 및 중국의 성씨이다. [[주나라]], 관직명, [[초나라]], 기타 소수민족 등을 포함하여 일곱 가지 정도의 계통이 있다고 한다. 소옹(邵雍)은 주나라 소공의 후손인데, 召자가 전하여 邵자로 되었다고 한다.
'''소'''(邵, 병음 Hao)씨는 한국 및 중국의 성씨이다. [[주나라]], 관직명, [[초나라]], 기타 소수민족등을 포함하여 7가지 정도의 계통이 있다고 한다. 소옹(邵雍)은 주나라 소공의 후손인데, 召자가 전하여 邵자로 되었다고 한다.  


소(邵)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9,904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진주, 익산(益山), 평산(平山) 등 16본이다.
소(邵)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9,904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진주, 익산(益山), 평산(平山) 등 16본이다.  


역사 인물로 [[고려]]의 문신 [[소태보]](邵台輔)가 있으나 본관은 알 수 없다. 소태보는 [[고려 문종]] 말에 호부시랑을 거쳐 [[고려 선종|선종]] 때 여러 요직을 역임하고 [[고려 헌종|헌종]] [[이자의의 난]]을 사전에 분쇄하여 수사도판리부사(守司徒判吏部事)에 올랐으며 숙종 때 수태사(守太師)가 되어 협모공신(協謀功臣)의 호를 받았다.
역사 인물로 [[고려]]의 문신 [[소태보]](邵台輔)가 있으나 본관은 알 수 없다. 소태보는 [[고려 문종]] 말에 호부시랑을 거쳐 [[선종]] 때 여러 요직을 역임하고 헌종 때 이자의(李資義)의 난을 사전에 분쇄하여 수사도판리부사(守司徒判吏部事)에 올랐으며 숙종 때 수태사(守太師)가 되어 협모공신(協謀功臣)의 호를 받았다.
* '''[[평산 소씨]]'''(平山 邵氏)의 시조는 [[고려 명종]] 때 [[경상도]] [[안찰사]]를 지낸 '''소광빈'''(邵光賓)이다. 2000년 기준 인구는 725명이다.
 
* '''[[평산 소씨]]'''(平山 邵氏)의 시조는 [[고려 명종]] 때 [[경상도]] [[안찰사]]를 지낸 '''소광빈'''(邵光賓)이다. 2000년 기준 인구는 725명이다.  


== 맑은대쑥 소 蕭 ==
== 맑은대쑥 소 蕭 ==
'''소''' (蕭, 병음 Xiao)는 중국의 성씨로 다양한 계통이 있다. 그 가운데 영성 계열도 있다. [[요나라]](거란) [[예지황후]]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황후들이 소(蕭)씨인데, 요나라 안에서 본래는 한 가지 계통이었으나,  후에 최고 공족의 성을 [[야율아보기|야율]]과 [[소]](蕭) 두 성씨로 일원화하여 계통이 증가하였다. 고려가 거란과 전쟁, 교섭하였을 때 문헌에 등장하지만 한국에는 존재하지 않는 성이다.
'''소''' (蕭, 병음 Xiao)는 중국의 성씨로 다양한 계통이 있다. 그 가운데 영성 계열도 있다. [[요나라]](거란) [[예지황후]]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황후들이 소(蕭)씨인데, 요나라 안에서 본래는 한가지 계통이었으나,  후에 최고 공족의 성을 [[야율아보기|야율]]과 [[소]](蕭) 두 성씨로 일원화하여 계통이 증가하였다. 고려가 거란과 전쟁, 교섭하였을 때 문헌에 등장하지만 한국에는 존재하지 않는 성이다.
 
{{각주}}
{{각주}}
{{한국인의 성씨}}
{{한국의 성씨}}
{{퍼온문서|소 (성씨)|15580798}}
{{퍼온문서|소 (성씨)|15580798}}
[[분류:중국의 성씨]]
[[분류: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의 성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