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환증/원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성전환증]]의 원인'''을 [[병인론|밝히는 것]]은 많은 [[트랜스젠더]]와 [[성전환증|성전환자]]는 물론 트랜스젠더를 다루는 [[의사]], [[심리학자]], [[정신건강]] 전문가, 트랜스젠더의 가족 및 친구들에게 관심을 받는 영역이다. 성전환증의 증상은 정신적 성별([[성정체성]])이 출생 당시 [[1차 성징|지정된]] 생물학적 [[성별]]과 일치하지 않으면서 생물학적 성별이 아닌 정신적 성별에 따른 행동을 보이고, 생물학적 성별과 정신적 성별이 일치하지 않는 데에 대한 불쾌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ref>{{웹 인용|title=Transgender experiences – Information and support|url=http://www.dh.gov.uk/prod_consum_dh/groups/dh_digitalassets/documents/digitalasset/dh_097168.pdf|publisher=NHS|accessdate=2012-07-01|author=Curtis, R.|pages=12|format=PDF|date=March 2009|display-authors=etal}}</ref> 현재 성전환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가설이 제기되어 있다. 유전자, 뇌구조, 뇌기능, 태아기의 남성호르몬 노출 등의 선천적 요인은 물론 심리적, 행동적 등 후천적인 요인이 있다. 이들 이론들은 서로 배타적인 설명이 아니다.
{{성소수자}}{{트랜스젠더}}
 
'''[[성전환증]]의 원인'''을 [[병인론|밝히는 것]]은 많은 [[트랜스젠더]]와 [[성전환증|성전환자]]는 물론 트랜스젠더를 다루는 [[의사]], [[심리학자]], [[정신건강]] 전문가, 트랜스젠더의 가족 및 친구들에게 관심을 받는 영역이다. 성전환증의 증상은 정신적 성별([[성정체성]])이 출생 당시 [[1차 성징|지정된]] 생물학적 [[성별]]과 일치하지 않으면서 생물학적 성별이 아닌 정신적 성별에 따른 행동을 보이고, 생물학적 성별과 정신적 성별이 일치하지 않는 데에 대한 불쾌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ref>{{cite web|title=Transgender experiences – Information and support|url=http://www.dh.gov.uk/prod_consum_dh/groups/dh_digitalassets/documents/digitalasset/dh_097168.pdf|publisher=NHS|accessdate=2012-07-01|author=Curtis, R.|pages=12|format=PDF|date=March 2009|display-authors=etal}}</ref> 현재 성전환증의 원인에 대해서는 많은 가설이 제기되어 있다. 유전자, 뇌구조, 뇌기능, 태아기의 남성호르몬 노출 등의 선천적 요인은 물론 심리적, 행동적 등 후천적인 요인이 있다. 이들 이론들은 서로 배타적인 설명이 아니다.
 


==심리적 이론 ==
==심리적 이론 ==
9번째 줄: 12번째 줄:
[[해리 벤저민]]은 "우리의 유전적 내분비적 설비는 잘못된 환경과 심리적 트라우마 아래에서 성전환증과 같은 변이로 발전할 수도 있고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수도 있다"고 썼다.<ref>Benjamin, H. (1966).  ''The transsexual phenomenon.'' New York: Julian Press, page 85.</ref>
[[해리 벤저민]]은 "우리의 유전적 내분비적 설비는 잘못된 환경과 심리적 트라우마 아래에서 성전환증과 같은 변이로 발전할 수도 있고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수도 있다"고 썼다.<ref>Benjamin, H. (1966).  ''The transsexual phenomenon.'' New York: Julian Press, page 85.</ref>


어려서 성기를 사고로 다친 뒤 강제로 여성으로 재지정되어 영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여자로 길러진 [[데이비드 라이머]]의 사례를 통해, 양육을 통해 (그 방향으로) 젠더가 형성된다는 이론은 부정되었다.<ref>{{웹 인용|title=David Reimer, subject of 'sex reassignment,' dead at 38|url=http://the.honoluluadvertiser.com/article/2004/May/13/ln/ln52a.html}}</ref><ref name = Colapinto>{{서적 인용 | last = Colapinto  | first = J | title = As Nature Made Him: The Boy Who Was Raised as a Girl | publisher = [[Harper Perennial]] | year = 2001 | isbn = 0-06-092959-6 | authorlink = John Colapinto}} Revised in 2006</ref> 또한 윤리적인 이유 때문에 이 이론을 광범위하게 검증할 방법이 없다.<ref>http://sciencecases.lib.buffalo.edu/cs/files/gender_reassignment.pdf</ref> 인터섹슈얼 단체에서는 데이비드 라이머 케이스를 근거로 미성년자 인터섹슈얼에 대한 교정 수술을 반대한다.<ref>[http://www.isna.org/faq/reimer Intersex Society of North America | A world free of shame, secrecy, and unwanted genital surgery]</ref>
어려서 성기를 사고로 다친 뒤 강제로 여성으로 재지정되어 영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여자로 길러진 [[데이비드 라이머]]의 사례를 통해, 양육을 통해 (그 방향으로) 젠더가 형성된다는 이론은 부정되었다.<ref>{{cite web|title=David Reimer, subject of 'sex reassignment,' dead at 38|url=http://the.honoluluadvertiser.com/article/2004/May/13/ln/ln52a.html}}</ref><ref name = Colapinto>{{cite book | last = Colapinto  | first = J | title = As Nature Made Him: The Boy Who Was Raised as a Girl | publisher = [[Harper Perennial]] | year = 2001 | isbn = 0-06-092959-6 | authorlink = John Colapinto}} Revised in 2006</ref> 또한 윤리적인 이유 때문에 이 이론을 광범위하게 검증할 방법이 없다.<ref>http://sciencecases.lib.buffalo.edu/cs/files/gender_reassignment.pdf</ref> 인터섹슈얼 단체에서는 데이비드 라이머 케이스를 근거로 미성년자 인터섹슈얼에 대한 교정 수술을 반대한다.<ref>[http://www.isna.org/faq/reimer Intersex Society of North America | A world free of shame, secrecy, and unwanted genital surgery]</ref>


===섹슈얼리티===
===섹슈얼리티===
성과학자 [[레이 블랜처드]](Ray Blanchard)는 [[MTF 트랜스젠더|MTF]] [[성전환증|성전환자]]의 원인을 설명하는 분류체계를 만들었다.<ref name="Blanchard1989">{{저널 인용 |last1=Blanchard |first1=RAY |doi=10.1097/00005053-198910000-00004 |title=The Concept of Autogynephilia and the Typology of Male Gender Dysphoria |pmid=2794988 |journal=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year=1989 |volume=177 |issue=10 |pages=616–23}}</ref> built upon the work of his colleague, Kurt Freund.<ref name="freund1982">{{저널 인용 |last1=Freund |first1=Kurt |last2=Steiner |first2=Betty W. |last3=Chan |first3=Samuel |title=Two types of cross-gender identity |journal=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ume=11 |issue=1 |pages=49–63 |year=1982 |pmid=7073469 |doi=10.1007/BF01541365}}</ref> 이 이론은 성전환증을 남자를 좋아하기 때문에 성별을 바꾸는 [[동성애성전환증]]과 스스로 여성화되는 것에 흥분을 느끼는 비동성애 성전환증으로 나눈다. 이 이론의 저명한 지지자들로는 [[J. 마이클 베일리]], [[앤 로런스]], [[제임스 캔터]] 등이 있으며, 다른 이들은 이 그룹이 섹슈얼리티, 생활하는 성별을 바꾸는 나이, 민족, [[IQ]], [[페티시즘]], 삶의 질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ref name = Blanchard1989class>{{저널 인용 |last1=Blanchard |first1=Ray |title=The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nonhomosexual gender dysphorias |journal=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ume=18 |issue=4 |pages=315–34 |year=1989 |pmid=2673136 |doi=10.1007/BF01541951}}</ref><ref name = Blanchard1988>{{저널 인용 |last1=Blanchard |first1=Ray |title=Nonhomosexual gender dysphoria |journal=Journal of Sex Research |volume=24 |issue=1 |pages=188–93 |year=1988 |doi=10.1080/00224498809551410|pmid=22375647 }}</ref><ref>{{저널 인용 |doi=10.1097/00005053-198910000-00004 |last1=Blanchard |first1=R |title=The concept of autogynephilia and the typology of male gender dysphoria |journal=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ume=177 |issue=10 |pages=616–23 |year=1989 |pmid=2794988}}</ref><ref name = Blanchard1991>{{저널 인용 |first=Ray |last=Blancard |date=Winter 1991 |title=Clinical observations and systematic studies of autogynephilia |journal=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volume=17 |issue=4 |pages=235–51 |doi=10.1080/00926239108404348 |pmid=1815090}}</ref><ref name="bailey2003">{{서적 인용 |last=Bailey |first=J. M. |year=2003  |title=The Man Who Would Be Queen: The Science of Gender-Bending and Transsexualism |publisher=Joseph Henry Press |isbn=0-309-08418-0}}{{Page needed|date=November 2010}}</ref> Veale, Nuttbrock, Moser등은 MTF 성전환자를 불완전하게 대표하고, 비교육적이며, 실험이 과학적으로 통제되지 못했고, 다른 결과와 모순된다며 과학적인 근거를 들어 이 이론을 비판했다.<ref name="veale2008">{{저널 인용 |last1=Veale |first1=Jaimie F. |last2=Clarke |first2=Dave E. |last3=Lomax |first3=Terri C. |title=Sexuality of Male-to-Female Transsexuals |journal=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ume=37 |issue=4 |pages=586–597 |year=2008 |pmid=18299976 |doi=10.1007/s10508-007-9306-9}}</ref><ref name="moser2009">{{저널 인용 |last1=Moser |first1=Charles |title=Autogynephilia in Women |journal=Journal of Homosexuality |volume=56 |issue=5 |pages=539–547 |year=2009 |pmid=19591032 |doi=10.1080/00918360903005212}}</ref><ref name="moser2010">{{저널 인용 |last1=Moser |first1=Charles |title=Blanchard's Autogynephilia Theory: A Critique |journal=Journal of Homosexuality |volume=57 |issue=6 |pages=790–809 |year=2010 |pmid=20582803 |doi=10.1080/00918369.2010.486241}}</ref><ref name="nuttbrock2010">{{저널 인용 |last1=Nuttbrock |year=2010 |first1=L |last2=Bockting |first2=W |last3=Mason |first3=M |last4=Hwahng |first4=S |last5=Rosenblum |first5=A |last6=Macri |first6=M |last7=Becker |first7=J |title=A Further Assessment of Blanchard’s Typology of Homosexual Versus Non-Homosexual or Autogynephilic Gender Dysphoria |pmid=20039113 |journal=Archives of Sexual Behavior |pmc=2894986 |doi=10.1007/s10508-009-9579-2 |volume=40 |issue=2 |pages=247–257}}</ref> 블랜처드의 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블랜처드의 단어 선택이 부적절하고 비하적이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ref>{{cite pmid | 18431641}}</ref> 진화생물학자, 트랜스젠더이자, 활동가 [[줄리아 세러노]]는 In her book ''[[휘핑 걸]]''(Whipping Girl)에서 자기가 여성이 된다는 것에 흥분을 느끼는  autogynephilia의 존재에 대해 의문스럽고 과학적인 입증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ref name="whippinggirl">{{서적 인용 | last = Serano | first= J | authorlink = Julia Serano | title = [[휘핑 걸|Whipping Girl: A Transsexual Woman on Sexism and the Scapegoating of Femininity]] | publisher = [[Perseus Books Group|Seal Press]] | year = 2009 | isbn = 0786747919 | pages = [http://books.google.ca/books?id=VhfrmAM5WbYC&pg=PA131#v=onepage&q&f=false 131] }}</ref> 트랜스젠더에 대한 의학 전문가들의 단체로 가장 큰 단체인 [[트랜스젠더의 건강을 위한 세계 전문가협회]](WPATH)는 실험적 증거가 결핍되었다는 이유로 블랜처드의 이론을 거부했다.<ref name="wpath1">{{cite doi|10.1080/15532739.2010.550766}}</ref><ref name="wpath2">{{cite doi|10.1080/15532739.2011.606195}}</ref>
성과학자 [[레이 블랜처드]](Ray Blanchard)는 [[MTF 트랜스젠더|MTF]] [[성전환증|성전환자]]의 원인을 설명하는 분류체계를 만들었다.<ref name="Blanchard1989">{{cite journal |last1=Blanchard |first1=RAY |doi=10.1097/00005053-198910000-00004 |title=The Concept of Autogynephilia and the Typology of Male Gender Dysphoria |pmid=2794988 |journal=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year=1989 |volume=177 |issue=10 |pages=616–23}}</ref> built upon the work of his colleague, Kurt Freund.<ref name="freund1982">{{cite journal |last1=Freund |first1=Kurt |last2=Steiner |first2=Betty W. |last3=Chan |first3=Samuel |title=Two types of cross-gender identity |journal=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ume=11 |issue=1 |pages=49–63 |year=1982 |pmid=7073469 |doi=10.1007/BF01541365}}</ref> 이 이론은 성전환증을 남자를 좋아하기 때문에 성별을 바꾸는 [[동성애성전환증]]과 스스로 여성화되는 것에 흥분을 느끼는 비동성애 성전환증으로 나눈다. 이 이론의 저명한 지지자들로는 [[J. 마이클 베일리]], [[앤 로런스]], [[제임스 캔터]] 등이 있으며, 다른 이들은 이 그룹이 섹슈얼리티, 생활하는 성별을 바꾸는 나이, 민족, [[IQ]], [[페티시즘]], 삶의 질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ref name = Blanchard1989class>{{cite journal |last1=Blanchard |first1=Ray |title=The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nonhomosexual gender dysphorias |journal=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ume=18 |issue=4 |pages=315–34 |year=1989 |pmid=2673136 |doi=10.1007/BF01541951}}</ref><ref name = Blanchard1988>{{cite journal |last1=Blanchard |first1=Ray |title=Nonhomosexual gender dysphoria |journal=Journal of Sex Research |volume=24 |issue=1 |pages=188–93 |year=1988 |doi=10.1080/00224498809551410|pmid=22375647 }}</ref><ref>{{cite journal |doi=10.1097/00005053-198910000-00004 |last1=Blanchard |first1=R |title=The concept of autogynephilia and the typology of male gender dysphoria |journal=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ume=177 |issue=10 |pages=616–23 |year=1989 |pmid=2794988}}</ref><ref name = Blanchard1991>{{cite journal |first=Ray |last=Blancard |date=Winter 1991 |title=Clinical observations and systematic studies of autogynephilia |journal=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volume=17 |issue=4 |pages=235–51 |doi=10.1080/00926239108404348 |pmid=1815090}}</ref><ref name="bailey2003">{{cite book |last=Bailey |first=J. M. |year=2003  |title=The Man Who Would Be Queen: The Science of Gender-Bending and Transsexualism |publisher=Joseph Henry Press |isbn=0-309-08418-0}}{{Page needed|date=November 2010}}</ref> Veale, Nuttbrock, Moser등은 MTF 성전환자를 불완전하게 대표하고, 비교육적이며, 실험이 과학적으로 통제되지 못했고, 다른 결과와 모순된다며 과학적인 근거를 들어 이 이론을 비판했다.<ref name="veale2008">{{cite journal |last1=Veale |first1=Jaimie F. |last2=Clarke |first2=Dave E. |last3=Lomax |first3=Terri C. |title=Sexuality of Male-to-Female Transsexuals |journal=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ume=37 |issue=4 |pages=586–597 |year=2008 |pmid=18299976 |doi=10.1007/s10508-007-9306-9}}</ref><ref name="moser2009">{{cite journal |last1=Moser |first1=Charles |title=Autogynephilia in Women |journal=Journal of Homosexuality |volume=56 |issue=5 |pages=539–547 |year=2009 |pmid=19591032 |doi=10.1080/00918360903005212}}</ref><ref name="moser2010">{{cite journal |last1=Moser |first1=Charles |title=Blanchard's Autogynephilia Theory: A Critique |journal=Journal of Homosexuality |volume=57 |issue=6 |pages=790–809 |year=2010 |pmid=20582803 |doi=10.1080/00918369.2010.486241}}</ref><ref name="nuttbrock2010">{{cite journal |last1=Nuttbrock |year=2010 |first1=L |last2=Bockting |first2=W |last3=Mason |first3=M |last4=Hwahng |first4=S |last5=Rosenblum |first5=A |last6=Macri |first6=M |last7=Becker |first7=J |title=A Further Assessment of Blanchard’s Typology of Homosexual Versus Non-Homosexual or Autogynephilic Gender Dysphoria |pmid=20039113 |journal=Archives of Sexual Behavior |pmc=2894986 |doi=10.1007/s10508-009-9579-2 |volume=40 |issue=2 |pages=247–257}}</ref> 블랜처드의 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블랜처드의 단어 선택이 부적절하고 비하적이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ref>{{cite pmid | 18431641}}</ref> 진화생물학자, 트랜스젠더이자, 활동가 [[줄리아 세러노]]는 In her book ''[[휘핑 걸]]''(Whipping Girl)에서 자기가 여성이 된다는 것에 흥분을 느끼는  autogynephilia의 존재에 대해 의문스럽고 과학적인 입증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ref name="whippinggirl">{{cite book | last = Serano | first= J | authorlink = Julia Serano | title = [[휘핑 걸|Whipping Girl: A Transsexual Woman on Sexism and the Scapegoating of Femininity]] | publisher = [[Perseus Books Group|Seal Press]] | year = 2009 | isbn = 0786747919 | pages = [http://books.google.ca/books?id=VhfrmAM5WbYC&pg=PA131#v=onepage&q&f=false 131] }}</ref> 트랜스젠더에 대한 의학 전문가들의 단체로 가장 큰 단체인 [[트랜스젠더의 건강을 위한 세계 전문가협회]](WPATH)는 실험적 증거가 결핍되었다는 이유로 블랜처드의 이론을 거부했다.<ref name="wpath1">{{cite doi|10.1080/15532739.2010.550766}}</ref><ref name="wpath2">{{cite doi|10.1080/15532739.2011.606195}}</ref>


==생물학적 이론==
==생물학적 이론==


===유전학===
===유전학===
유전자명을 따서 NR3C4라고도 하는 [[안드로젠 수용체]](AR), [[테스토스테론]]이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을 결합하면 활성화되어 남성의 1차성징과 2차성징을 만드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Hare ''et al.''은 MTF 성전환자들은 유전자 염기서열이 길어서 테스토스테론과의 결합능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했다.<ref>{{저널 인용 |last1=Hare |first1=L |last2=Bernard |first2=P |last3=Sanchez |first3=F |last4=Baird |first4=P |last5=Vilain |first5=E |last6=Kennedy |first6=T |last7=Harley |first7=V |title=Androgen Receptor Repeat Length Polymorphism Associated with Male-to-Female Transsexualism |journal=Biological Psychiatry |volume=65 |issue=1 |pages=93–6 |year=2009 |pmid=18962445 |doi=10.1016/j.biopsych.2008.08.033 |pmc=3402034}}</ref>
유전자명을 따서 NR3C4라고도 하는 [[안드로젠 수용체]](AR), [[테스토스테론]]이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을 결합하면 활성화되어 남성의 1차성징과 2차성징을 만드는데 결정적인 영할을 한다. Hare ''et al.''은 MTF 성전환자들은 유전자 염기서열이 길어서 테스토스테론과의 결합능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했다.<ref>{{cite journal |last1=Hare |first1=L |last2=Bernard |first2=P |last3=Sanchez |first3=F |last4=Baird |first4=P |last5=Vilain |first5=E |last6=Kennedy |first6=T |last7=Harley |first7=V |title=Androgen Receptor Repeat Length Polymorphism Associated with Male-to-Female Transsexualism |journal=Biological Psychiatry |volume=65 |issue=1 |pages=93–6 |year=2009 |pmid=18962445 |doi=10.1016/j.biopsych.2008.08.033 |pmc=3402034}}</ref>


[[프레그네놀론]](pregnenolone)과 [[프로제스테론]]을 작동시키는 유전자 [[CYP17A1|CYP17]]의 변이형은 FTM 트랜스젠더한테서 여성들보다 더 많이 발견되었지만 MTF 트랜스젠더들은 남성과 차이가 없었다. FTM들의 대립유전자 비율은 남성 대조군의 대립유전자 비율과 유사했다. 이 논문은 여성에 한정된 CYP17 T -34C 대립유전자 분포의 감소가 FTM 성전환증과 관련이 있다고 결론내렸다.<ref>{{저널 인용 |last1=GREEN|first1=RICHARD  |last2=KEVERNEb|first2=E.B. |title=The Disparate Maternal Aunt–Uncle Ratio in Male Transsexuals: an Explanation Invoking Genomic Imprinting|journal=Fertility and Sterility |volume=90 |issue=1 |pages=56–9 |year=2008 |pmid=17765230 |doi=10.1016/j.fertnstert.2007.05.056}}</ref>
[[프레그네놀론]](pregnenolone)과 [[프로제스테론]]을 작동시키는 유전자 [[CYP17A1|CYP17]]의 변이형은 FTM 트랜스젠더한테서 여성들보다 더 많이 발견되었지만 MTF 트랜스젠더들은 남성과 차이가 없었다. FTM들의 대립유전자 비율은 남성 대조군의 대립유전자 비율과 유사했다. 이 논문은 여성에 한정된 CYP17 T -34C 대립유전자 분포의 감소가 FTM 성전환증과 관련이 있다고 결론내렸다.<ref>{{cite journal |last1=GREEN|first1=RICHARD  |last2=KEVERNEb|first2=E.B. |title=The Disparate Maternal Aunt–Uncle Ratio in Male Transsexuals: an Explanation Invoking Genomic Imprinting|journal=Fertility and Sterility |volume=90 |issue=1 |pages=56–9 |year=2008 |pmid=17765230 |doi=10.1016/j.fertnstert.2007.05.056}}</ref>


MTF 트랜스젠더에게는 외삼촌보다 이모가 많다는 것을 근거로, X염색체에 대한 [[유전체 각인]]이 성전환증의 확률을 높이고, 이것이 남아의 유산 위험을 높여 트랜스젠더는 이모가 많다는 가설도 제안된 적이 있었다.<ref>{{저널 인용 |last1=Bentz |first1=E |last2=Hefler |first2=L |last3=Kaufmann |first3=U |last4=Huber |first4=J |last5=Kolbus |first5=A |last6=Tempfer |first6=C |title=A polymorphism of the CYP17 gene related to sex steroid metabolism is associated with female-to-male but not male-to-female transsexualism |journal=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volume=202 |issue=1 |pages=55-63 |year=2000 |pmid=17765230 |doi=10.1016/jtbi.1999.1039}}</ref>
MTF 트랜스젠더에게는 외삼촌보다 이모가 많다는 것을 근거로, X염색체에 대한 [[유전체 각인]]이 성전환증의 확률을 높이고, 이것이 남아의 유산 위험을 높여 트랜스젠더는 이모가 많다는 가설도 제안된 적이 있었다.<ref>{{cite journal |last1=Bentz |first1=E |last2=Hefler |first2=L |last3=Kaufmann |first3=U |last4=Huber |first4=J |last5=Kolbus |first5=A |last6=Tempfer |first6=C |title=A polymorphism of the CYP17 gene related to sex steroid metabolism is associated with female-to-male but not male-to-female transsexualism |journal=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volume=202 |issue=1 |pages=55-63 |year=2000 |pmid=17765230 |doi=10.1016/jtbi.1999.1039}}</ref>


===뇌구조===
===뇌구조===
Zhou(1995)는 처음 뇌구조가 원인인지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뇌저신경절을 구성하는 [[분계선조층핵]] (BSTc)이 다르다는 것을 찾아냈다. 이 영역은 성과 [[불안]]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MTF 트랜스젠더들은 여성 평균크기의 FTM 트랜스젠더들은 남성 평균 크기의 [[분계선조층핵]]을 갖고 있었다. 트랜스젠더가 호르몬을 복용하든, 비트랜스젠더가 여러 의학적인 이유로 반대 성의 호르몬을 복용하든 그 크기는 성정체성에 따른 크기를 유지했다. 성적 지향과 [[분계선조층핵]]의 크기 사이의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ref name="Zhou/Gooren">{{저널 인용 |last1=Zhou |first1=Jiang-Ning |last2=Hofman |first2=Michel A. |last3=Gooren |first3=Louis J. G. |last4=Swaab |first4=Dick F. |title=A sex difference in the human brain and its relation to transsexuality |journal=Nature |volume=378 |issue=6552 |pages=68–70 |year=1995 |pmid=7477289 |doi=10.1038/378068a0}}</ref>
Zhou(1995)는 처음 뇌구조가 원인인지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뇌저신경절을 구성하는 [[분계선조층핵]] (BSTc)이 다르다는 것을 찾아냈다. 이 영역은 성과 [[불안]]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MTF 트랜스젠더들은 여성 평균크기의 FTM 트랜스젠더들은 남성 평균 크기의 [[분계선조층핵]]을 갖고 있었다. 트랜스젠더가 호르몬을 복용하든, 비트랜스젠더가 여러 의학적인 이유로 반대 성의 호르몬을 복용하든 그 크기는 성정체성에 따른 크기를 유지했다. 성적 지향과 [[분계선조층핵]]의 크기 사이의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ref name="Zhou/Gooren">{{cite journal |last1=Zhou |first1=Jiang-Ning |last2=Hofman |first2=Michel A. |last3=Gooren |first3=Louis J. G. |last4=Swaab |first4=Dick F. |title=A sex difference in the human brain and its relation to transsexuality |journal=Nature |volume=378 |issue=6552 |pages=68–70 |year=1995 |pmid=7477289 |doi=10.1038/378068a0}}</ref>


Kruijver(2000)의 후속 연구는 BSTc의 부피 대신 뉴런 수에 집중했다. Zhou(1995)와 같은 결과를 얻었지만, 좀 더 극적인 차이를 찾았다. 한 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은 MTF 트랜스젠더조차도, 시스젠더 여성과 같은 수의 뉴런을 갖고 있었다.<ref name="Kruijver">{{저널 인용 |last1=Kruijver |first1=F. P. M. |last2=Zhou |first2=JN |last3=Pool |first3=CW |last4=Hofman |first4=MA |last5=Gooren |first5=LJ |last6=Swaab |first6=DF |title=Male-to-Female Transsexuals Have Female Neuron Numbers in a Limbic Nucleus |journal=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ume=85 |issue=5 |pages=2034–41 |year=2000 |doi=10.1210/jc.85.5.2034 |pmid=10843193}}</ref>
Kruijver(2000)의 후속 연구는 BSTc의 부피 대신 뉴런 수에 집중했다. Zhou(1995)와 같은 결과를 얻었지만, 좀 더 극적인 차이를 찾았다. 한 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은 MTF 트랜스젠더조차도, 시스젠더 여성과 같은 수의 뉴런을 갖고 있었다.<ref name="Kruijver">{{cite journal |last1=Kruijver |first1=F. P. M. |last2=Zhou |first2=JN |last3=Pool |first3=CW |last4=Hofman |first4=MA |last5=Gooren |first5=LJ |last6=Swaab |first6=DF |title=Male-to-Female Transsexuals Have Female Neuron Numbers in a Limbic Nucleus |journal=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ume=85 |issue=5 |pages=2034–41 |year=2000 |doi=10.1210/jc.85.5.2034 |pmid=10843193}}</ref>


2002년 Chung의 후속 연구는 BSTc의 중요한 [[성적 이형성]](성차)가 성인이 될 때까지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찾았다. Chung은 태아기의 호르몬 농도가 BSTc의 시냅스 밀도, 뉴런 활성도, 뇌화학적인 내용물을 변화시키고, 나중에 BSTc의 크기와 뉴런 수를 바꿀 수 있고 또는 BSTc의 크기는 해부학적 성별과 일치하는 젠더 정체성이 형성되지 못한 것에 영향을 받을수도 있다고 제안했다.<ref>{{저널 인용 |last1=Chung |first1=WC |last2=De Vries |first2=GJ |last3=Swaab |first3=DF |title=Sexual differentiation of the bed nucleus of the stria terminalis in humans may extend into adulthood |journal=The Journal of neuroscience |volume=22 |issue=3 |pages=1027–33 |year=2002 |pmid=11826131}}</ref>
2002년 Chung의 후속 연구는 BSTc의 중요한 [[성적 이형성]](성차)가 성인이 될 때까지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찾았다. Chung은 태아기의 호르몬 농도가 BSTc의 시냅스 밀도, 뉴런 활성도, 뇌화학적인 내용물을 변화시키고, 나중에 BSTc의 크기와 뉴런 수를 바꿀 수 있고 또는 BSTc의 크기는 해부학적 성별과 일치하는 젠더 정체성이 형성되지 못한 것에 영향을 받을수도 있다고 제안했다.<ref>{{cite journal |last1=Chung |first1=WC |last2=De Vries |first2=GJ |last3=Swaab |first3=DF |title=Sexual differentiation of the bed nucleus of the stria terminalis in humans may extend into adulthood |journal=The Journal of neuroscience |volume=22 |issue=3 |pages=1027–33 |year=2002 |pmid=11826131}}</ref>


2006년에 이들 연구를 검토한 논문에서 Gooren은 성전환증이 뇌의 성적 이형이 형성되는데 문제가 일어난 것이라는 이론을 지지한다는 초기 연구를 확인했다.<ref>{{저널 인용 |last1=Gooren |first1=L |title=The biology of human psychosexual differentiation |journal=Hormones and behavior |volume=50 |issue=4 |pages=589–601 |year=2006 |pmid=16870186 |doi=10.1016/j.yhbeh.2006.06.011}}</ref> [[Dick Swaab]] (2004) 역시 이에 동의했다.<ref name="number11">{{저널 인용 |last1=Swaab |first1=DF |title=Sexual differentiation of the human brain: relevance for gender identity, transsexualism and sexual orientation |journal=Gynecological Endocrinology |volume=19 |issue=6 |pages=301–12 |year=2004 |pmid=15724806 |doi=10.1080/09513590400018231}}</ref>
2006년에 이들 연구를 검토한 논문에서 Gooren은 성전환증이 뇌의 성적 이형이 형성되는데 문제가 일어난 것이라는 이론을 지지한다는 초기 연구를 확인했다.<ref>{{cite journal |last1=Gooren |first1=L |title=The biology of human psychosexual differentiation |journal=Hormones and behavior |volume=50 |issue=4 |pages=589–601 |year=2006 |pmid=16870186 |doi=10.1016/j.yhbeh.2006.06.011}}</ref> [[Dick Swaab]] (2004) 역시 이에 동의했다.<ref name="number11">{{cite journal |last1=Swaab |first1=DF |title=Sexual differentiation of the human brain: relevance for gender identity, transsexualism and sexual orientation |journal=Gynecological Endocrinology |volume=19 |issue=6 |pages=301–12 |year=2004 |pmid=15724806 |doi=10.1080/09513590400018231}}</ref>


2008년 Garcia-Falgueras와 Swaab은 BSTc처럼 [[성전환증]]과 관련있다는 성질이 유사한 다른 부위를 찾았다. 시상하부 앞부분(INAH3)의 [[사이질핵]](interstitial nucleus), 시상하부 갈고리핵의 일부였다. Zhou(1995)와 Kruijver(2000)처럼 호르몬 사용 여부를 통제한 실험에서 BSTc보다 더 많은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대조군 남성은 대조군 여성보다 부피가 1.9배, 뉴런의 수가 2.3배였는데 호르몬 복용 여부과 관계 없이 MTF 트랜스젠더는 여성의 범위에, FTM 트랜스젠더는 남성의 범위에 들었다.<ref>{{저널 인용 |last1=Garcia-Falgueras |first1=A. |last2=Swaab |first2=D. F. |title=A sex difference in the hypothalamic uncinate nucleus: relationship to gender identity |journal=Brain |volume=131 |issue=Pt 12 |pages=3132–46 |year=2008 |pmid=18980961 |doi=10.1093/brain/awn276}}</ref>
2008년 Garcia-Falgueras와 Swaab은 BSTc처럼 [[성전환증]]과 관련있다는 성질이 유사한 다른 부위를 찾았다. 시상하부 앞부분(INAH3)의 [[사이질핵]](interstitial nucleus), 시상하부 갈고리핵의 일부였다. Zhou(1995)와 Kruijver(2000)처럼 호르몬 사용 여부를 통제한 실험에서 BSTc보다 더 많은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대조군 남성은 대조군 여성보다 부피가 1.9배, 뉴런의 수가 2.3배였는데 호르몬 복용 여부과 관계 없이 MTF 트랜스젠더는 여성의 범위에, FTM 트랜스젠더는 남성의 범위에 들었다.<ref>{{cite journal |last1=Garcia-Falgueras |first1=A. |last2=Swaab |first2=D. F. |title=A sex difference in the hypothalamic uncinate nucleus: relationship to gender identity |journal=Brain |volume=131 |issue=Pt 12 |pages=3132–46 |year=2008 |pmid=18980961 |doi=10.1093/brain/awn276}}</ref>


[[MRI]] 단층 촬영의 해상도가 충분히 좋지만, 독립적인 핵은 다른 뇌 조직 부위와 별로 대비되지 않기 때문에 구분을 할 수가 없다. 그래서 MRI를 통해서 BSTc나 INAH3과 같은 부위를 볼 수는 없다. BSTC에 대한 연구는 사체를 해부하는 방식만으로 할 수 있다. MRI는 뇌의 큰 구조를 쉽게 연구할 수 있게 해준다. Luders(2009)는 여성 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은 MTF 트랜스젠더 24명을 MRI로 연구했다. MTF 트랜스젠더의 [[회백질]] 밀도는 여자보다 남자에 가까웠다. 오른쪽 [[조가비핵]]이 남자들보다 특별히 부피가 컸다. 많은 초기 연구들과 함께 그들은 성전환증이 있는 사람들은 구별되는 뇌 패턴을 보인다고 결론내렸다.<ref>{{저널 인용 |last1=Luders |first1=Eileen |last2=Sánchez |first2=Francisco J. |last3=Gaser |first3=Christian |last4=Toga |first4=Arthur W. |last5=Narr |first5=Katherine L. |last6=Hamilton |first6=Liberty S. |last7=Vilain |first7=Eric |title=Regional gray matter variation in male-to-female transsexualism |journal=NeuroImage |volume=46 |issue=4 |pages=904–7 |year=2009 |pmid=19341803 |pmc=2754583 |doi=10.1016/j.neuroimage.2009.03.048}}</ref>
[[MRI]] 단층 촬영의 해상도가 충분히 좋지만, 독립적인 핵은 다른 뇌 조직 부위와 별로 대비되지 않기 때문에 구분을 할 수가 없다. 그래서 MRI를 통해서 BSTc나 INAH3과 같은 부위를 볼 수는 없다. BSTC에 대한 연구는 사체를 해부하는 방식만으로 할 수 있다. MRI는 뇌의 큰 구조를 쉽게 연구할 수 있게 해준다. Luders(2009)는 여성 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은 MTF 트랜스젠더 24명을 MRI로 연구했다. MTF 트랜스젠더의 [[회백질]] 밀도는 여자보다 남자에 가까웠다. 오른쪽 [[조가비핵]]이 남자들보다 특별히 부피가 컸다. 많은 초기 연구들과 함께 그들은 성전환증이 있는 사람들은 구별되는 뇌 패턴을 보인다고 결론내렸다.<ref>{{cite journal |last1=Luders |first1=Eileen |last2=Sánchez |first2=Francisco J. |last3=Gaser |first3=Christian |last4=Toga |first4=Arthur W. |last5=Narr |first5=Katherine L. |last6=Hamilton |first6=Liberty S. |last7=Vilain |first7=Eric |title=Regional gray matter variation in male-to-female transsexualism |journal=NeuroImage |volume=46 |issue=4 |pages=904–7 |year=2009 |pmid=19341803 |pmc=2754583 |doi=10.1016/j.neuroimage.2009.03.048}}</ref>


남성호르몬 치료를 아직 받지 않은 트랜스젠더들에게는 다른 특징이 발견됐다. 오른쪽 [[위세로다발]](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us,SLF)의 중앙과 후부에 있는 [[백질]](white matter)의 [[분할 비등방도]](fractional anisotropy) 값이 달랐다. Rametti(2010)가 이 사실을 발견했다. "대조군 여성에 비해, FtM 들은 오른쪽 SLF의 후부와 이마집게(forceps minor)와 겉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에서 에서 더 큰 FA값을 보였다. 대조군 남성에 비해 FTM들은 겉질척수로에서만 더 낮은 FA값을 보였다."<ref>{{저널 인용 |last1=Rametti |first1=G |last2=Carrillo |first2=B |last3=Gómez-Gil |first3=E |last4=Junque |first4=C |last5=Segovia |first5=S |last6=Gomez |first6=A |last7=Guillamon |first7=A |title=White matter microstructure in female to male transsexuals before cross-sex hormonal treatment. A diffusion tensor imaging study |journal=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year=2010 |pmid=20562024 |doi=10.1016/j.jpsychires.2010.05.006 |volume=45 |issue=2 |pages=199–204}}</ref>
남성호르몬 치료를 아직 받지 않은 트랜스젠더들에게는 다른 특징이 발견됐다. 오른쪽 [[위세로다발]](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us,SLF)의 중앙과 후부에 있는 [[백질]](white matter)의 [[분할 비등방도]](fractional anisotropy) 값이 달랐다. Rametti(2010)가 이 사실을 발견했다. "대조군 여성에 비해, FtM 들은 오른쪽 SLF의 후부와 이마집게(forceps minor)와 겉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에서 에서 더 큰 FA값을 보였다. 대조군 남성에 비해 FTM들은 겉질척수로에서만 더 낮은 FA값을 보였다."<ref>{{cite journal |last1=Rametti |first1=G |last2=Carrillo |first2=B |last3=Gómez-Gil |first3=E |last4=Junque |first4=C |last5=Segovia |first5=S |last6=Gomez |first6=A |last7=Guillamon |first7=A |title=White matter microstructure in female to male transsexuals before cross-sex hormonal treatment. A diffusion tensor imaging study |journal=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year=2010 |pmid=20562024 |doi=10.1016/j.jpsychires.2010.05.006 |volume=45 |issue=2 |pages=199–204}}</ref>


Hulshoff Pol(2006)은 피실험자들이 호르몬 치료를 받는 동안 총 뇌 부피 변화를 연구했다. 그들은 피실험자의 총 뇌 부피는 반대 성별의 호르몬으로 치료를 받는 동안 변화했음을 밝혔다. 이 연구의 결론은 conclusion of the study was, "발견된 사실이 제안하는 것은 사는 동안 생식 호르몬은 성별에 따른 인간 뇌의 차이를 유지하는데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였다.<ref name="CSCB">{{저널 인용 |last1=Pol |first1=H. E H. |last2=Cohen-Kettenis |first2=P. T |last3=Van Haren |first3=N. E M |last4=Peper |first4=J. S |last5=Brans |first5=R. G H |last6=Cahn |first6=W. |last7=Schnack |first7=H. G |last8=Gooren |first8=L. J G |last9=Kahn |first9=R. S |title=Changing your sex changes your brain: influences of testosterone and estrogen on adult human brain structure |journal=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volume=155 |pages=S107–S114 |year=2006 |doi=10.1530/eje.1.02248 }}</ref>
Hulshoff Pol(2006)은 피실험자들이 호르몬 치료를 받는 동안 총 뇌 부피 변화를 연구했다. 그들은 피실험자의 총 뇌 부피는 반대 성별의 호르몬으로 치료를 받는 동안 변화했음을 밝혔다. 이 연구의 결론은 conclusion of the study was, "발견된 사실이 제안하는 것은 사는 동안 생식 호르몬은 성별에 따른 인간 뇌의 차이를 유지하는데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였다.<ref name="CSCB">{{cite journal |last1=Pol |first1=H. E H. |last2=Cohen-Kettenis |first2=P. T |last3=Van Haren |first3=N. E M |last4=Peper |first4=J. S |last5=Brans |first5=R. G H |last6=Cahn |first6=W. |last7=Schnack |first7=H. G |last8=Gooren |first8=L. J G |last9=Kahn |first9=R. S |title=Changing your sex changes your brain: influences of testosterone and estrogen on adult human brain structure |journal=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volume=155 |pages=S107–S114 |year=2006 |doi=10.1530/eje.1.02248 }}</ref>


====뇌가소성====
====뇌가소성====
성전환자의 뇌 구조 차이는 다른 것들과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가 없다. [[게이]]와 [[이성애]] 남성, [[레즈비언]]과 이성애 여성은 뇌 구조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이미 언급된 바 있다.<ref name="LeVay 1991">{{저널 인용|author=LeVay S |title=A difference in hypothalamic structure between heterosexual and homosexual men |journal=Science |volume=253 |issue=5023 |pages=1034–7 |date=August 1991 |pmid=1887219 |doi=10.1126/science.1887219 }}</ref><ref name="Byne 2001">{{저널 인용|author=Byne W, Tobet S, Mattiace LA |title=The interstitial nuclei of the human anterior hypothalamus: an investigation of variation with sex, sexual orientation, and HIV status |journal=Horm Behav |volume=40 |issue=2 |pages=86–92 |date=September 2001 |pmid=11534967 |doi=10.1006/hbeh.2001.1680 |url=|display-authors=etal}}</ref>
성전환자의 뇌 구조 차이는 다른 것들과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가 없다. [[게이]]와 [[이성애]] 남성, [[레즈비언]]과 이성애 여성은 뇌 구조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이미 언급된 바 있다.<ref name="LeVay 1991">{{Cite journal|author=LeVay S |title=A difference in hypothalamic structure between heterosexual and homosexual men |journal=Science |volume=253 |issue=5023 |pages=1034–7 |date=August 1991 |pmid=1887219 |doi=10.1126/science.1887219 }}</ref><ref name="Byne 2001">{{Cite journal|author=Byne W, Tobet S, Mattiace LA |title=The interstitial nuclei of the human anterior hypothalamus: an investigation of variation with sex, sexual orientation, and HIV status |journal=Horm Behav |volume=40 |issue=2 |pages=86–92 |date=September 2001 |pmid=11534967 |doi=10.1006/hbeh.2001.1680 |url=|display-authors=etal}}</ref>


많은 최근의 연구들은 [[명상]]과 같이 주어진 상황이나 반복적인 행동은 뇌의 구조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를 [[뇌가소성]]이라고 한다. 2014년 5월, 미국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의 한 발표는 아버지가 아이를 키움으로써 아버지의 뇌는 더욱 남성적이 된다고 보고했다.<ref>{{저널 인용|author=Eyal Abraham, Talma Hendler, Irit Shapira-Lichter, Yaniv Kanat-Maymon, Orna Zagoory-Sharon, and Ruth Feldman|title= Father's brain is sensitive to childcare experiences |journal=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ume=111 |issue=27 |pages=9792–9797 |date=May 2014 |pmid= |doi= 10.1073/pnas.1402569111|url=http://www.pnas.org/content/111/27/9792.abstract}}</ref>
많은 최근의 연구들은 [[명상]]과 같이 주어진 상황이나 반복적인 행동은 뇌의 구조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를 [[뇌가소성]]이라고 한다. 2014년 5월, 미국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의 한 발표는 아버지가 아이를 키움으로써 아버지의 뇌는 더욱 남성적이 된다고 보고했다.<ref>{{Cite journal|author=Eyal Abraham, Talma Hendler, Irit Shapira-Lichter, Yaniv Kanat-Maymon, Orna Zagoory-Sharon, and Ruth Feldman|title= Father's brain is sensitive to childcare experiences |journal=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ume=111 |issue=27 |pages=9792–9797 |date=May 2014 |pmid= |doi= 10.1073/pnas.1402569111|url=http://www.pnas.org/content/111/27/9792.abstract}}</ref>


===뇌기능===
===뇌기능===
신체 외부 기관을 사고로 잃었을 때, 고통스런 경험인 [[헛팔다리]] 증후군이 나타나 마치 없어진 기관이 붙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일이 많다. Ramachandran(2008) 은 비-트랜스젠더 남성이 수술로 음경을 제거하게 되었을 때 2/3가 성기가 달려있는 것처럼 느꼈지만, MTF 트랜스젠더가 [[성전환 수술]]을 받았을 때는 1/3만이 성기가 계속 달려있는 것처럼 느꼈다고 보고했다. 이 연구는 성기절단과 성전환 수술 사이의 차이 때문에 차이가 과장되었을 수 있다. 음경을 절단했을 때 성기와 뇌를 연결하는 신경은 끊기게 된다. 하지만 성전환 수술에서 음경이나 음낭의 일부는 만들어진 질이나 음순, 음핵을 형성하게 되고, 그 신경도 새로운 여성기와 뇌를 잇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대부분의 경우에 뇌와 여성기가 신경을 통해 온전히 연결되기 때문이다.
신체 외부 기관을 사고로 잃었을 때, 고통스런 경험인 [[헛팔다리]] 증후군이 나타나 마치 없어진 기관이 붙어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일이 많다. Ramachandran(2008) 은 비-트랜스젠더 남성이 수술로 음경을 제거하게 되었을 때 2/3가 성기가 달려있는 것처럼 느꼈지만, MTF 트랜스젠더가 [[성전환 수술]]을 받았을 때는 1/3만이 성기가 계속 달려있는 것처럼 느꼈다고 보고했다. 이 연구는 성기절단과 성전환 수술 사이의 차이 때문에 차이가 과장되었을 수 있다. 음경을 절단했을 때 성기와 뇌를 연결하는 신경은 끊기게 된다. 하지만 성전환 수술에서 음경이나 음낭의 일부는 만들어진 질이나 음순, 음핵을 형성하게 되고, 그 신경도 새로운 여성기와 뇌를 잇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대부분의 경우에 뇌와 여성기가 신경을 통해 온전히 연결되기 때문이다.  


한편 FTM 트랜스젠더의 2/3은 어렸을 때 남성기가 달려있다는 느낌을 받아 발기를 포함한 현상을 느꼈다고 보고가 되었다.<ref>{{저널 인용 |last=Ramachandran |first=V. S. |title=Phantom Penises In Transsexuals |journal=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volume=15 |issue=1 |pages=5–16 |year=2008 |url=http://openurl.ingenta.com/content?genre=article&issn=1355-8250&volume=15&issue=1&spage=5&epage=16}}</ref>
한편 FTM 트랜스젠더의 2/3은 어렸을 때 남성기가 달려있다는 느낌을 받아 발기를 포함한 현상을 느꼈다고 보고가 되었다.<ref>{{cite journal |last=Ramachandran |first=V. S. |title=Phantom Penises In Transsexuals |journal=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 |volume=15 |issue=1 |pages=5–16 |year=2008 |url=http://openurl.ingenta.com/content?genre=article&issn=1355-8250&volume=15&issue=1&spage=5&epage=16}}</ref>


Berglund ''et al.''(2008) 은 여성을 좋아하는 MTF 성전환자가 두 성 페로몬, 프로제스테론과 유사한 4,16-androstadien-3-one (AND)과 에스트로젠을 닮은 1,3,5(10),16-tetraen-3-ol (EST)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조사했다. 성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MtF레즈비언의 시상하부계는 여성 이성애자 대조군처럼 AND에 반응했다. 양 그룹 모두 EST가 [[편도핵]]을 활성화시켰다. 이성애 남성 대조군은  EST에 의해 시상하부가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MTF들의 EST에 의한 시상하부 활성화는 제한적이었다. 이 연구자들은 페로몬에 의한 활성화에 있어서 MTF들은 남녀의 한 가운데에 있지만 여성에 가깝다고 결론내렸다.<ref>{{저널 인용 |last1=Berglund |first1=H. |last2=Lindstrom |first2=P. |last3=Dhejne-Helmy |first3=C. |last4=Savic |first4=I. |title=Male-to-Female Transsexuals Show Sex-Atypical Hypothalamus Activation When Smelling Odorous Steroids |journal=Cerebral Cortex |volume=18 |issue=8 |pages=1900–8 |year=2007 |pmid=18056697 |doi=10.1093/cercor/bhm216}}</ref> 그 트랜스젠더들은 호르몬 치료를 받기 전이었는데, 호르몬 농도가 바뀐 상태에서 같은 실험을 반복했을 때도 같은 결과가 확인됐다.<ref>[http://cercor.oxfordjournals.org/content/18/8/1900.full Male-to-Female Transsexuals Show Sex-Atypical Hypothalamus Activation When Smelling Odorous Steroids (full article)]</ref>
Berglund ''et al.''(2008) 은 여성을 좋아하는 MTF 성전환자가 두 성 페로몬, 프로제스테론과 유사한 4,16-androstadien-3-one (AND)과 에스트로젠을 닮은 1,3,5(10),16-tetraen-3-ol (EST)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조사했다. 성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MtF레즈비언의 시상하부계는 여성 이성애자 대조군처럼 AND에 반응했다. 양 그룹 모두 EST가 [[편도핵]]을 활성화시켰다. 이성애 남성 대조군은  EST에 의해 시상하부가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MTF들의 EST에 의한 시상하부 활성화는 제한적이었다. 이 연구자들은 페로몬에 의한 활성화에 있어서 MTF들은 남녀의 한 가운데에 있지만 여성에 가깝다고 결론내렸다.<ref>{{cite journal |last1=Berglund |first1=H. |last2=Lindstrom |first2=P. |last3=Dhejne-Helmy |first3=C. |last4=Savic |first4=I. |title=Male-to-Female Transsexuals Show Sex-Atypical Hypothalamus Activation When Smelling Odorous Steroids |journal=Cerebral Cortex |volume=18 |issue=8 |pages=1900–8 |year=2007 |pmid=18056697 |doi=10.1093/cercor/bhm216}}</ref> 그 트랜스젠더들은 호르몬 치료를 받기 전이었는데, 호르몬 농도가 바뀐 상태에서 같은 실험을 반복했을 때도 같은 결과가 확인됐다.<ref>[http://cercor.oxfordjournals.org/content/18/8/1900.full Male-to-Female Transsexuals Show Sex-Atypical Hypothalamus Activation When Smelling Odorous Steroids (full article)]</ref>


=== 쌍둥이 사이의 성전환증===
=== 쌍둥이 사이의 성전환증===
56번째 줄: 59번째 줄:


=== 태아기의 남성 호르몬 노출 ===
=== 태아기의 남성 호르몬 노출 ===
태아기 남성호르몬 노출이 결핍되었거나, 안드로겐 수용 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트랜스젠더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잘 알려져있다. Schneider, Pickel, Stalla (2006)는 남녀 성전환증인의 [[손가락비]]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손가락비는 검지와 약지 손가락 길이의 비로, 태아기 안드로겐 노출 정도를 평가하는 받아들여진 기준이다. MTF 성전환자는 대조군 남성보다 손가락비가 컸고, 대조군 여성에 비길 만 했다.<ref>{{저널 인용 |last1=Schneider |first1=H |last2=Pickel |first2=J |last3=Stalla |first3=G |title=Typical female 2nd–4th finger length (2D:4D) ratios in male-to-female transsexuals—possible implications for prenatal androgen exposure |journal=Psychoneuroendocrinology |volume=31 |issue=2 |pages=265–9 |year=2006 |pmid=16140461 |doi=10.1016/j.psyneuen.2005.07.005}}</ref>
태아기 남성호르몬 노출이 결핍되었거나, 안드로겐 수용 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트랜스젠더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잘 알려져있다. Schneider, Pickel, Stalla (2006)는 남녀 성전환증인의 [[손가락비]]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손가락비는 검지와 약지 손가락 길이의 비로, 태아기 안드로겐 노출 정도를 평가하는 받아들여진 기준이다. MTF 성전환자는 대조군 남성보다 손가락비가 컸고, 대조군 여성에 비길 만 했다.<ref>{{cite journal |last1=Schneider |first1=H |last2=Pickel |first2=J |last3=Stalla |first3=G |title=Typical female 2nd–4th finger length (2D:4D) ratios in male-to-female transsexuals—possible implications for prenatal androgen exposure |journal=Psychoneuroendocrinology |volume=31 |issue=2 |pages=265–9 |year=2006 |pmid=16140461 |doi=10.1016/j.psyneuen.2005.07.005}}</ref>


== 출처 ==
== 출처 ==
{{각주}}
{{각주}}
[[분류:뇌과학]]
[[분류:성소수자]]
[[분류:성소수자]]
[[분류:트랜스젠더]]
[[분류:트랜스젠더]]
{{번역된 문서|en|Causes of transsexualism|669602562}}
{{번역된 문서|en|Causes of transsexualism|669602562}}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