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태지와 아이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음악 그룹 정보
{{음악 그룹 정보
|그룹이름 = 서태지와 아이들
| 이름      = 서태지와 아이들
|원어이름 =  
| 배경색    =  
|배경색   = #056C87
| 글자색    =
|글자색  = #E9F5CB
| 테두리색   =  
|그림     =  
| 로고      =  
|그림설명 =  
| 그림       =
|다른이름 =  
| 그림배경색 =
|나라    = {{나라|대한민국}}
| 그림글자색 =  
|장르     = 힙합
| 그림설명   =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1월 31일]]
| 국가      = {{KOR}}
|소속사   = 요요기획 <small>(정규 2집)</small><br />We 프로덕션 <small>(정규 3집)</small>
| 출신지역  = {{KOR}} [[서울특별시]]
|레이블  = 예당음향ᆞ반도음반
| 다른이름  = Taiji BoysᆞSeo Taiji & Boys
|팬덤    =  
| 장르       = 힙합
|웹사이트 =  
| 데뷔 음반  = 정규 1집 《서태지와 아이들》
|구성원   = [[이주노]]ᆞ[[양현석]]ᆞ[[서태지]]
| 활동시기  = [[1992년]] ~ [[1996년]]
|전구성원 =
| 레이블    = 예당음향ᆞ반도음반
|비고    =  
| 소속사     = 요요기획 <small>(정규 2집)</small><br />We 프로덕션 <small>(정규 3집)</small>
| 팬덤      =  
| 관련활동  =  
| 웹사이트   =  
| 구성원     = [[이주노]]ᆞ[[양현석]]ᆞ[[서태지]]
| 전구성원   =  
}}
}}
== 소개 ==
== 소개 ==
22번째 줄: 27번째 줄:


== 상세 ==
== 상세 ==
{{YouTube|8J3m-ao43Bs|||center|〈난 알아요>}}
{{YouTube|Dpz-lN6Lo40|||center|〈난 알아요〉 데뷔 공연}}
<br />
<br />
데뷔곡인 〈난 알아요〉부터 대중들한테 강렬한 인상을 남기면서 시작했는데, [[1992년]]에 토요일 황금시간대 TV 프로그램에 갑자기 출연해서 데뷔 무대를 선보였다. 당시로썬 굉장히 생소했던 힙합이라는 장르와 랩이 처음으로 알려지는 순간이었다. 물론 당시 같이 출연했던 음악 평론가들은 "리듬은 좋으나 멜로디 라인이 약하다"는 평을 남겼지만, 거기에 개의치않고 10대 여학생들에게 엄청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H.O.T.]]가 오빠부대를 만들어내기 전에는 이 그룹이 있었다. 당시 음악계는 트로트나 발라드가 양분하고 있었고 댄스곡을 해도 80년대 일본 노래에서 짙게 영향을 받은 곡이 주류였기 때문에, [[서태지]]의 등장은 굉장히 파격적이었다. 서태지와 아이들 이전에도 댄스가수는 있었지만 주류가 되진 못했었고 성인가요에 리듬을 빠르게 한것에 지나지 않았고 현진영이 와와와 함께 흑인음악의 장르를 들고 나왔지만 그렇게 인지도가 크진 않았다.
데뷔곡인 〈난 알아요〉부터 대중들한테 강렬한 인상을 남기면서 시작했는데, [[1992년]]에 토요일 황금시간대 TV 프로그램에 갑자기 출연해서 데뷔 무대를 선보였다. 당시로썬 굉장히 생소했던 힙합이라는 장르와 랩이 처음으로 알려지는 순간이었다. 물론 당시 같이 출연했던 음악 평론가들은 "리듬은 좋으나 멜로디 라인이 약하다"는 평을 남겼지만, 거기에 개의치않고 10대 여학생들에게 엄청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H.O.T.]]가 오빠부대를 만들어내기 전에는 이 그룹이 있었다. 당시 음악계는 트로트나 발라드가 양분하고 있었고 댄스곡을 해도 80년대 일본 노래에서 짙게 영향을 받은 곡이 주류였기 때문에, [[서태지]]의 등장은 굉장히 파격적이었다. 토요일에 등장해서 월요일날 학교를 가보니 다 [[서태지]] 얘기만 하고 있더라는 이야기도 있다.
 
토요일에 등장해서 월요일날 학교를 가보니 다 [[서태지]] 얘기만 하고 있더라는 이야기도 있다.


이후 나오는 곡마다 신드롬 급 인기를 불러일으키며 엄청난 사랑을 받아왔다. 정규 1집 발매했을 때는 인기에 비해 수익배분이 너무 개차반이라, 멤버들이 박차고 나와서 2집부터 직접 기획사를 차려 활동하기 시작했다. 당시 이름은 요요기획이었고 직접 차린 회사답게 수익을 아티스트 위주로 배분했다. 이후 회사 이름을 We 프로덕션으로 바꿨다가 해체 뒤에는 서태지컴퍼니가 되었다.
이후 나오는 곡마다 신드롬 급 인기를 불러일으키며 엄청난 사랑을 받아왔다. 정규 1집 발매했을 때는 인기에 비해 수익배분이 너무 개차반이라, 멤버들이 박차고 나와서 2집부터 직접 기획사를 차려 활동하기 시작했다. 당시 이름은 요요기획이었고 직접 차린 회사답게 수익을 아티스트 위주로 배분했다. 이후 회사 이름을 We 프로덕션으로 바꿨다가 해체 뒤에는 서태지컴퍼니가 되었다.


새로운 음반이 나올 때마다 새로운 장르를 시도하기도 했지만, 노래 가사를 잘 들어보면 당시 사회의 모습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내용이 많았다. 당시 입시와 교육 시스템을 깐 〈교실 이데아〉, 마약 문제를 다룬 〈죽음의 늪〉, 가출한 비행청소년을 보고 집 가라고 하는 〈Come Back Home〉, 전반적인 사회부조리를 깐 〈시대유감〉 등의 노래가 있다.
새로운 음반이 나올 때마다 새로운 장르를 시도하기도 했지만, 노래 가사를 잘 들어보면 당시 사회의 모습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내용이 많았다. 당시 입시와 교육 시스템을 깐 〈교실 이데아〉, 마약 문제를 다룬 〈죽음의 늪〉, 가출한 비행청소년을 보고 집 가라고 하는 〈Come Back Home〉, 전반적인 사회부조리를 깐 〈시대유감〉 등의 노래가 있다.  


그러던 [[1996년]] [[1월 19일]], 마지막 공연을 마치고 [[1월 31일]]에 기자회견을 통해 그룹 해체 및 은퇴 선언을 하고 미국으로 떠났다. 훗날 이야기하길 원래 서태지와 아이들은 은퇴가 예정되어 있었으며, 원래는 3집을 마치고 은퇴하려고 했는데 결국 4집까지 성실히 마치고 나서 떠났던 것.<ref>[http://www.vizucom.co.kr/files/attach/images/304/169/008/f69aca391319af4109b19e5010fda44b.jpg 은퇴 당시 만화가 박제동이 남긴 만평.]</ref> 은퇴를 한 건 새로운 음반을 만들기 위한 창작의 고통이 그 이유였고, 얼마나 사회적 파장이 컸으면 뉴스 보도에 "자신들의 침묵으로 빚어진 사회적 파장에 대해 책임있는 답변은 하지 않았다"는 말이 나왔다.
그러던 [[1996년]] [[1월 19일]], 마지막 공연을 마치고 [[1월 31일]]에 기자회견을 통해 그룹 해체 및 은퇴 선언을 하고 미국으로 떠났다. 훗날 이야기하길 원래 서태지와 아이들은 은퇴가 예정되어 있었으며, 원래는 3집을 마치고 은퇴하려고 했는데 결국 4집까지 성실히 마치고 나서 떠났던 것.<ref>[http://www.vizucom.co.kr/files/attach/images/304/169/008/f69aca391319af4109b19e5010fda44b.jpg 은퇴 당시 만화가 박제동이 남긴 만평.]</ref> 은퇴를 한 건 새로운 음반을 만들기 위한 창작의 고통이 그 이유였고, 얼마나 사회적 파장이 컸으면 뉴스 보도에 "자신들의 침묵으로 빚어진 사회적 파장에 대해 책임있는 답변은 하지 않았다"는 말이 나왔다.
38번째 줄: 41번째 줄:
* 본명: 이상우
* 본명: 이상우
* 출생일: {{출생일과 나이|1967|2|10}}
* 출생일: {{출생일과 나이|1967|2|10}}
* 출생지: {{나라|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 출생지: {{KOR}} [[경기도]] [[부천시]]


팀에서는 제일 맏형이었고, 포지션은 래퍼와 안무를 맡아서 활동을 했었다. 데뷔하기 전에는 [[박철우]],<ref>그 시절 사람들은 [[박철우]]는 누군진 몰라도 그룹명을 들으면 알 것이다. '''[[R.ef]]'''.</ref> [[박남정]]과 함께 1세대 비보이로 활동하면서 백댄서를 전전했었다. 그래서 데뷔하고 나서도 낡은 프레스토 차량을 몰면서 활동했고, 생계 곤란으로 군 면제까지 받았을 정도로 어렵게 살아왔다.
팀에서는 제일 맏형이었고, 포지션은 래퍼와 안무를 맡아서 활동을 했었다. 데뷔하기 전에는 [[박철우]],<ref>그 시절 사람들은 [[박철우]]는 누군진 몰라도 그룹명을 들으면 알 것이다. '''[[R.ef]]'''.</ref> [[박남정]]과 함께 1세대 비보이로 활동하면서 백댄서를 전전했었다. 그래서 데뷔하고 나서도 낡은 프레스토 차량을 몰면서 활동했고, 생계 곤란으로 군 면제까지 받았을 정도로 어렵게 살아왔다.
47번째 줄: 50번째 줄:
* 이름: 양현석
* 이름: 양현석
* 출생일: {{출생일과 나이|1970|1|9}}
* 출생일: {{출생일과 나이|1970|1|9}}
* 출생지: {{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 출생지: {{KOR}} [[서울특별시]] [[종로구]]


무려 15살 때 나이트에서 만난 이주노한테 픽업되어서 백업 댄서로 활동해왔으며, 팀에선 래퍼와 안무를 도맡았었다. [[서태지]]가 클럽에서 알바 뛸 때 양현석을 처음 만났는데, 그 때 [[서태지]]가 춤을 가르쳐달라고 부탁하다가 양현석이 돈을 달라해서 150만원을 줬다고 한다.<ref>두 달치 레슨비가 150만원이었는데, 당시 대졸자의 초입 월급이 40만원이었던 시대였다...</ref> 근데 춤은 안 가르쳐줬는데 보름만에 '''군대영장이 나왔던 것...''' <s>[[먹튀]]</s> 제대하고 나서 수첩을 보니 [[서태지]] 전번이 있길래 전화해봤는데, 개인 앨범을 준비하던 서태지가 데뷔 준비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근데 음악을 들어보니 너무 좋아서 어떻게든 같이 하고 싶어서 팀을 꾸리게 된 거라고 한다.
무려 15살 때 나이트에서 만난 이주노한테 픽업되어서 백업 댄서로 활동해왔으며, 팀에선 래퍼와 안무를 도맡았었다. [[서태지]]가 클럽에서 알바 뛸 때 양현석을 처음 만났는데, 그 때 [[서태지]]가 춤을 가르쳐달라고 부탁하다가 양현석이 돈을 달라해서 150만원을 줬다고 한다.<ref>두 달치 레슨비가 150만원이었는데, 당시 대졸자의 초입 월급이 40만원이었던 시대였다...</ref> 근데 춤은 안 가르쳐줬는데 보름만에 '''군대영장이 나왔던 것...''' <s>[[먹튀]]</s> 제대하고 나서 수첩을 보니 [[서태지]] 전번이 있길래 전화해봤는데, 개인 앨범을 준비하던 서태지가 데뷔 준비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근데 음악을 들어보니 너무 좋아서 어떻게든 같이 하고 싶어서 팀을 꾸리게 된 거라고 한다.


해체한 뒤에는 모두가 알다시피 [[YG엔터테인먼트]]의 수장으로 군림하고 있다. YG은 양현석의 별명 '''양군'''의 준말. 다만 소속 가수 팬들은 애정(?)을 담아 양싸, 양혐석이라고 부른다.
해체한 뒤에는 모두가 알다시피 [[YG엔터테인먼트]]의 수장으로 군림하고 있다. YG은 양현석의 별명 '''양군'''의 줄임말. 다만 소속 가수 팬들은 애정(?)을 담아 양싸, 양혐석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2019년 버닝썬 게이트에 연루되면서 이미지가 추락하고 만다.


=== [[서태지]] ===
=== [[서태지]] ===
* 본명: 정현철
* 본명: 정현철
* 출생일: {{출생일과 나이|1972|2|21}}
* 출생일: {{출생일과 나이|1972|2|21}}
* 출생지: {{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 출생지: {{KOR}} [[서울특별시]] [[종로구]]


팀에서는 제일 막내...지만 팀의 중심을 맡고 있다. 데뷔하고 나서 모든 곡들을 서태지가 맡아 작사작곡을 하고 있으며, 랩도, 댄스도 본인이 직접하는 '''만능인'''. 원래는 고등학교 2학년 때 중퇴를 하고 헤비메탈을 쫓아 시나위라는 밴드에 들어갔는데, 거기서 [[베이스 기타]]를 연주하다가 밴드 자체가 해체되었다.<ref>하지만 이후로도 시나위를 향한 애정이 있었기 때문에, 시나위 노래의 가사를 자기 노래에 인용하기도 하고, 원 멤버인 김종서와 함께 합동 공연을 하기도 했다.</ref> 그러다 혼자서 클럽에서 연주 알바하면서 모은 돈으로 [[MIDI]] 장비를 사모으면서 개인 앨범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바비 브라운과 메탈리카 등등의 해외 아티스트를 좋아했었다고 한다.
팀에서는 제일 막내...지만 팀의 중심을 맡고 있다. 데뷔하고 나서 모든 곡들을 서태지가 맡아 작사작곡을 하고 있으며, 랩도, 댄스도 본인이 직접하는 '''만능인'''. 원래는 고등학교 2학년 때 중퇴를 하고 헤비메탈을 쫓아 시나위라는 밴드에 들어갔는데, 거기서 [[베이스 기타]]를 연주하다가 밴드 자체가 해체되었다.<ref>하지만 이후로도 시나위를 향한 애정이 있었기 때문에, 시나위 노래의 가사를 자기 노래에 인용하기도 하고, 원 멤버인 김종서와 함께 합동 공연을 하기도 했다.</ref> 그러다 혼자서 클럽에서 연주 알바하면서 모은 돈으로 [[MIDI]] 장비를 사모으면서 개인 앨범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바비 브라운과 메탈리카 등등의 해외 아티스트를 좋아했었다고 한다.
74번째 줄: 75번째 줄:
* [[1992년]] 난 알아요
* [[1992년]] 난 알아요
* [[1992년]] 환상 속의 그대
* [[1992년]] 환상 속의 그대
{{youtube|jLG-RM8AdFo}}
* [[1992년]] 내 모든 것
* [[1992년]] 내 모든 것
* [[1993년]] 하여가
* [[1993년]] 하여가
88번째 줄: 88번째 줄:
** 이런 루머들 중 가장 파장이 컸던 게 〈교실 이데아〉 [[피가 모자라]] 사건. 〈교실 이데아〉를 거꾸로 돌려보면 "피가 모자라"라는 말이 나오고, [[서태지]]가 사탄이다, 악마를 숭배한다는 설이 일파만파로 커졌던 사건이다. [[리브레 위키]]에서도 이 문서가 생성되기 전에 이미 [[피가 모자라]]가 생성됐었다. <s>좀 슬프다</s>
** 이런 루머들 중 가장 파장이 컸던 게 〈교실 이데아〉 [[피가 모자라]] 사건. 〈교실 이데아〉를 거꾸로 돌려보면 "피가 모자라"라는 말이 나오고, [[서태지]]가 사탄이다, 악마를 숭배한다는 설이 일파만파로 커졌던 사건이다. [[리브레 위키]]에서도 이 문서가 생성되기 전에 이미 [[피가 모자라]]가 생성됐었다. <s>좀 슬프다</s>
* [[서태지]]가 음악적으로만 새로웠던 게 아니라 '''패션''' 역시 당시 트렌드세터로 불릴만큼 유행을 많이 시켰다. 원래 힙합을 하던 그룹이었던 만큼 힙합스러운 패션을 많이 소화하고 다녔는데, 이게 당시 X세대에게 유행으로 번졌었다.
* [[서태지]]가 음악적으로만 새로웠던 게 아니라 '''패션''' 역시 당시 트렌드세터로 불릴만큼 유행을 많이 시켰다. 원래 힙합을 하던 그룹이었던 만큼 힙합스러운 패션을 많이 소화하고 다녔는데, 이게 당시 X세대에게 유행으로 번졌었다.
* [[양현석]]이 [[믹스나인]]에서 회고하길 "처음 '서태지와 아이들'이란 이름 들었을 때, 이름 지은 사람 죽여버리고 싶었다"고 했었다. 나이 40 들어서도 아이들 소리를 들어서 그랬다고 한다. 더 이전인 [[K팝스타]]에서도 비슷한 이야길 하기도 했는데, 솔직히 서태지와 아이들에서 [[서태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해당 방송이 나가고 나서 [[양현석]]이 굉장한 비판을 받았었다. 이게 현재까지도 이어져와서, 아이돌 그룹 중에서 소속사가 티가 날 정도로 한 멤버만 밀어주는 경우를 "○○와 아이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현재도 아이돌 그룹 중에서 소속사가 티가 날 정도로 한 멤버만 밀어주는 경우를 "○○와 아이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멤버인 서태지가 멤버 중 유일하게 몰락하지 않은 인물이다. 먼저 이주노가 물의를 일으키고 양현석은 괸찮나 싶더니 클럽 사건에 연루되고 말았다.


{{각주}}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분류:대한민국의 보이 밴드]]
[[분류:1992년 데뷔]]
[[분류:1992년 데뷔]]
[[분류:1996년 해체]]
[[분류:해체된 보이 그룹]]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