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상 코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색상 코드'''(Color code)는 개체의 [[색깔]]을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디지털 코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및 [[HTML]] 등에서 사용되며, 표기하는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인쇄물에는 [[CMYK]]나 [[팬톤]]을 사용한다.
== 개요 ==
 
색상 코드란 개체의 색상을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코드이다. 표기하는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 기본 : RGB 색상 코드 ==
== 기본 : RGB 색상 코드 ==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의 3색, 즉 빛의 3원색을 서로 더하는(+) 방식으로 섞어서 색상을 표기하는 방식을 [[RGB]] 가산혼합<ref>색이 진하게 섞이면 섞일수록 하얀색에 가까워진다.</ref>이라고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색상 코드를 표기할 때는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의 3색, 즉 빛의 3원색을 서로 더하는(+) 방식으로 섞어서 색상을 표기하는 방식을 [[RGB 가산혼합]]<ref>색이 진하게 섞이면 섞일 수록 하얀색에 가까워진다.</ref>이라고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색상 코드를 표기할 때는
다음과 같은 표기 방식을 사용한다.
다음과 같은 표기 방식을 사용한다.


{|style="text-align:center;"
[[파일:색상코드 01.png | 400 px]]
! !!colspan=2 style="text-align:left;"|{{색|#FF0000|빨간색의 정도(00~FF)}}!!colspan=2 style="text-align:right;"|{{색|#0000FF|파란색의 정도(00~FF)}}
 
|-
'#'문자 뒤에 [[16진수]] 두 자리를 세 번 나열하여 첫 번째 구간에는 {{색|#FF0000|빨강}}, 두 번째 구간에는 {{색|#00FF00|초록}}, 세 번째 구간에는 {{색|#0000FF|파랑}}의 정도를 표기한다. 그 범위는 00~FF이며, 숫자가 커질 수록(알파벳이 진행될 수록) 더욱 밝아진다.
|<big><big><big><big><big><big>{{|#33759f|#}}</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FF0000|33}}</big></big></big></big></big></big>||colspan=2|<big><big><big><big><big><big>{{|#00FF00|75}}</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big>{{|#0000FF|9F}}</big></big></big></big></big></big>
 
|-
따라서 #000000은 검정색, #FFFFFF는 하얀색이다.
! !!colspan=4 style="text-align:center;"|{{|#00FF00|초록색의 정도(00~FF)}}
 
|}
빨강의 밝기 비교
 
{{색상|#000000|#000000}}, {{색상|#450000|#450000}}, {{색상|#770000|#770000}}, {{색상|#9B0000|#9B0000}}, {{색상|#FF0000|#FF0000}}
 
초록의 밝기 비교
 
{{색상|#000000|#000000}}, {{색상|#004500|#004500}}, {{색상|#007700|#007700}}, {{색상|#009B00|#009B00}}, {{색상|#00FF00|#00FF00}}
 
파랑의 밝기 비교


'#'문자 뒤에 [[16진수]] 두 자리를 세 번 나열하여 첫 번째 구간에는 {{|#FF0000|빨강}}, 두 번째 구간에는 {{|#00FF00|초록}}, 세 번째 구간에는 {{|#0000FF|파랑}}의 정도를 표기한다. 그 범위는 00~FF이며, 숫자가 커질수록(알파벳이 진행될수록) 더욱 밝아진다.
{{색상|#000000|#000000}}, {{색상|#000045|#000045}}, {{색상|#000077|#000077}}, {{색상|#00009B|#00009B}}, {{색상|#0000FF|#0000FF}}


따라서 #000000은 검은색, #FFFFFF는 하얀색이다.
위 예시를 볼 때, 숫자가 45까지 진행되어도 자세히 보지 않으면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거의 검정색에 가까운 명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빨강의 밝기 비교||{{색|#000000|#000000}}, {{색|#450000|#450000}}, {{색|#770000|#770000}}, {{색|#9B0000|#9B0000}}, {{색|#FF0000|#FF0000}}
|-
|초록의 밝기 비교||{{색|#000000|#000000}}, {{색|#004500|#004500}}, {{색|#007700|#007700}}, {{색|#009B00|#009B00}}, {{색|#00FF00|#00FF00}}
|-
|파랑의 밝기 비교||{{색|#000000|#000000}}, {{색|#000045|#000045}}, {{색|#000077|#000077}}, {{색|#00009B|#00009B}}, {{색|#0000FF|#0000FF}}
|}
위 예시를 볼 때, 숫자가 45까지 진행되어도 자세히 보지 않으면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거의 검은색에 가까운 명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ref>표기되는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ref>  
<ref>표기되는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ref>  


2자리의 [[16진수]]가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0~255이므로,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색상 코드로는 총 16,777,216가지(16<sup>6</sup>=2<sup>24</sup>)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2자리의 [[16진수]]가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0~255이므로,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색상 코드로는 총 16,777,216가지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 색상 코드표 ==
== 색상 코드표 ==


각 색상에는 따로 정해진 이름이 있는데, [[색상 이름]] 항목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편의를 위해  [[X11|X11 표준]], [[HTML|HTML 4.01]]을 함께 나열하였다.<ref>모바일에서 원활하게 표기가 되지 않아 X11 표준을 먼저, HTML 4.01을 나중에 나열하였다.</ref>
각 색상에는 따로 정해진 이름이 있는데, [[색상 이름]] 항목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편의를 위해  [[X11|X11 표준]], [[HTML|HTML 4.01]]을 함께 나열하였다.
여기서는 초록의 정도가 가장 강한 색을 lime(#00FF00)이라 표기한다. green은 #008000.
여기서는 초록의 정도가 가장 강한 색을 lime(#00FF00)이라 표기한다. green은 #000800.


{|width="100%"
|width="50%"|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X11 표준
|+X11 표준
429번째 줄: 433번째 줄:


|}
|}
 
|width="50%"|
{|class="wikitable" align="center"
{|class="wikitable" align="center"
|+HTML 4.01
|+HTML 4.01
487번째 줄: 491번째 줄:
|   
|   
|-
|-
|}


|}
|}


== 웹 안전 색상 ==
== 웹 안전 색상 ==
웹 안전 색상이란 호환성을 위해, 즉 '여기서는 구분되던 색상이 저기서는 구분되지 않는 경우'를 피하기 위해 위의 색의 가짓수를 대폭 요약해서 표준으로 설정한 색을 말한다. 각 색에서 256가지 단계를 다 세는 것이 아닌, 255를 5로 나눈 숫자인 51을 기준으로 0에서부터 뛰어세기하여 0, 51, 102, 153, 204, 255의 여섯 번만을 세는 방식이다.


웹 안전 색상은 모두 216가지<ref>각 색상당 여섯 번을 세게 되므로 6x6x6=216이다.</ref>이며 그 중 '가장 안전한 색상' 22가지가 존재한다.
웹 안전 색상이란 호환성을 위해, 즉 '여기서는 구분되던 색상이 저기서는 구분되지 않는 경우'를 피하기 위해 위의 색의 가짓수를 대폭 요약해서 표준으로 설정한 색을 말한다.
각 색에서 256가지 단계를 다 세는 것이 아닌, 255를 5로 나눈 숫자인 51을 기준으로 0에서부터 뛰어세기하여 0, 51, 102, 153, 204, 255의 여섯 번만을 세는 방식이다.
 
웹 안전 색상은 모두 216가지<ref>각 색상당 여섯 번을 세게 되므로 6x6x6=216이다.</ref>이며 그 중 '가장 안전한 색상' 22가지가 존재한다.  
 


== 그 외 ==
== 그 외 ==
[[ASS코드|ASS파일에서 쓰이는 색상코드]]가 따로 있으며, [[CMYK]]라는 미술 시간에 배우던 감산혼합 방식도 있다.


=== 쉘, 커맨드 ===
[[ASS코드|ASS파일에서 쓰이는 색상코드]]가 따로 있다. 관련 항목 참조.
쉘, 명령 프롬프트에도 색상 지정이 가능하다.
 
 
 
 


== 외부 참조 ==
* <small>'''(한국어)'''</small> [http://html-color-codes.info/Korean/ HTML 컬러 코드] (색상표 제공)


{{각주}}
----
{{틀:색 둘러보기}}
<references/>
[[분류:인터넷]]
[[분류:색]]
[[분류:식별자]]
[[분류:컴퓨터 프로그래밍]]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