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 山 ==
{{인용문2|거기에 산이 있으니까<ref>실제로 이말은 잘못전해진 것이라고 한다..</ref><ref>실제로는 Because it is there(왜냐면 그것이 거기 있기때문에)라고 발언했다고 한다</ref>|[[조지 리 맬러리]]}}
Mountain


[[파일:Uluguru Mountain Ranges.jpg]]
주변 지각에 비해 높은 고도로 형성된 지형지물을 일컫는 이름.
== 개요 ==
{{인용문2|Q. 왜 [[에베레스트]]에 오르려고 하는가?<br />A. '''거기에 있으니까'''(Because it's there).|[[조지 리 맬러리]]}}
'''산'''(山, {{영어|mountain|마운틴}})은 주변 [[지각]]에 비해 높은 [[고도]]로 형성된 지형을 가리킨다. 그 중 산으로 쳐주기 애매하게 낮은 지형의 경우는 [[언덕]]이라고 부른다. 산을 오르는 행위를 [[등산]]이라고 한다.


== 형성 ==
속어로 종종 상황이 원래 의도한 것과는 다르게 흘러갈 때(예: 수학 수업시간인데 선생님이 뜬금없이 도덕규범 이야기를 하며 수업시간을 신나게 갉아먹을때) 이러한 상황을 '산으로 간다'고 표현한다. [[무릎팍 도사]]에서도 이 속어를 개그코드로 사용해 출연자가 원래 제시된 주제와 별로 관계 없는 엉뚱한 썰만 주구장창 늘어놓으면(예: 어떤 계기로 음악에 관심을 가졌냐고 물어보았는데 자기 학창시절 점수가 어땠느니 어머님이 미인이라느니 하는 전혀 상관 없는 이야기를 할 때) CG로 산이 나오는 영상을 틀어놓고 화살표를 그려 자신들이 지금 이 산의 이 지점에 있다고 하는 식.  
* 지구의 표면을 구성하는 약 10개의 [[판]]들이 서로 움직이면서 부딪히거나 다른 판의 아래로 들어가거나 하면서, 어떤 곳은 솟아오르고, 어떤 곳은 아래로 꺼진다. 이를 조산 운동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높아지는 곳이 산이 된다.
* [[화산]] 활동에 의해 생성되기도 한다. 마그마가 분출되어 쌓인 곳이 주변보다 높아져서 산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산을 [[화산]]이라고 부른다.
* [[침식]] 작용에 의해 형성되기도 한다. 물이나 빙하가 지나가는 자리의 경우 상대적으로 많이 깎여나가서, 그렇지 않은 주변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산이 되는 것이다.<ref>[http://san.chosun.com/m/svc/article.html?contid=2019013002243 <nowiki>[새연재ㅣ마운틴사이언스 <1>]</nowiki> 산은 어떻게 형성됐고, 왜 높고 낮은가? - 월간산 > 포커스뉴스 > 오피니언&칼럼]</ref>


== 관용어 ==
== ==
속어로 종종 상황이 원래 의도한 것과는 다르게 흘러갈 때(예: 수학 수업시간인데 선생님이 뜬금없이 도덕규범 이야기를 하며 수업시간을 신나게 갉아먹을때) 이러한 상황을 '산으로 간다'고 표현한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속담에서 따온 말. [[무릎팍 도사]]에서도 이 속어를 개그코드로 사용해 출연자가 원래 제시된 주제와 별로 관계 없는 엉뚱한 썰만 주구장창 늘어놓으면(예: 어떤 계기로 음악에 관심을 가졌냐고 물어보았는데 자기 학창시절 점수가 어땠느니 어머님이 미인이라느니 하는 전혀 상관 없는 이야기를 할 때) CG로 산이 나오는 영상을 틀어놓고 화살표를 그려 자신들이 지금 이 산의 이 지점에 있다고 하는 식의 연출을 사용한다.
acid


{{각주}}
[[화학]]에서 [[염기]]에 반대되는 물질을 말한다.
[[분류:산| ]]
 
[[분류:한 글자 문서]]
=== 아레니우스의 정의 ===
물에 녹였을 때, H<sup>+</sup>를 내놓는 물질을 산이라고 한다. 염기는 물에 녹여 OH<sup>-</sup>를 내놓는 물질로 정의된다.
 
===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정의 ===
다른 물질에 양성자를 주는 물질을 산이라고 한다. 이 정의는 양성자를 받는 물질, 즉 염기와 반응할 때에만 정의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이다. 그래서 산일 때도 있고 염기일 때도 있는 물질도 존재하는데, 이것을 양쪽성 물질이라고 부른다. 대표적으로 물(H<sub>2</sub>O)이 양쪽성 물질이다.
 
=== 루이스의 정의 ===
비공유전자쌍을 받는 물질을 산이라고 한다. 반대로 비공유전자쌍을 주는 물질은 염기라고 한다.
 
== 기타 다른 의미 ==
* [[한자]]어로는 셈하다(算), 흩뿌리다(散), 낳다(産), 우산(傘), 달래=산달래(蒜)<ref>[[중국어]]에서는 [[마늘]]이라는 뜻이다.</ref>의 의미가 있다.
* [[포르투갈어]]로 성스러운(São)를 의미한다. 예로 [[산호르헤]](San Jorge). 발음상 [[상]]이라고도 한다.
* [[한국어]]에서 접두어로 붙으면 다양한 의미를 부여한다. 그래서 전통적인 넌센스 문제 중에 '''산토끼의 반댓말은?'''이라는 것이 있다. 참고로 답은 6가지로 죽은토끼=안산토끼<ref>"안산토끼"를 인정하냐 마느냐는 다소 논란<s>뻘림픽</s>이 있다 카더라. <s>실은 경기도 안산 토끼</s></ref>, 집토끼(산돼지-집돼지의 관계와 동일), 강토끼(바다토끼라고도 한다), 판토끼, 염기토끼=알칼리토끼(알칼리와 염기는 같은 말.), 그리고 [[키토산|끼토산(...)]]
 
{{동음이의}}
[[분류:지리]]
[[분류:화학]]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